$\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 소셜 개인방송 서비스의 취약점 분석과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SNS 및 U-Health를 중심으로)
A Study for Vulnerability Analysis and Guideline about Social Personal Broadcasting Service based on Smart-Phone Environment (focus on SNS or U-Health) 원문보기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10 no.6, 2010년, pp.161 - 167  

강장묵 (동국대학교 전자상거래연구소) ,  이우진 (세종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송유진 (동국대학교 정보경영학과)

초록

통신과 방송의 융합 환경에서 소셜한 개인 방송은 급속하게 증가한다. 실시간 개인방송은 다수의 개인이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반면 새롭게 소개되는 개인방송 서비스는 사회, 문화적으로 경험하지 못한 서비스로서 많은 문제점도 예상된다. 새롭게 등장한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는 그 순기능 못지않게 다양한 역기능이 예상된다. 예측된 역기능을 미연에 방지하고 서비스의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취약점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이용방안(가이드라인)의 조성과 실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사이버규범, 사이버윤리, 사이버위험, 사이버민주주의 등을 위협하는 정보화의 역기능을 소셜한 개인방송 서비스 수준에서 점검하고 이에 적절한 이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첫째, 개인방송 서비스에 따른 정보화 역기능 미래 변화 예측 및 대응 전략 그리고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개인방송 서비스에서 새롭게 등장할 수 있는 ICT 기반 서비스의 역기능을 예측하고 바른 이용자 가이드 라인을 마련하여 잠재적 위험 요소를 줄이고 서비스의 순기능을 늘릴 수 있다. 이 글은 신규 ICT융합서비스 중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를 중심으로 뉴미디어적인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역기능 출현 및 심화에 대해 예측한 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cial individualized broadcasting increases rapidly in an environment that combines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Real-time individualized broadcasting is a service that is provided by multiple individuals to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In contrast, newly introduced individualized broadcas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은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른 취약점을 소셜 개인방송 서비스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에 적절한 이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특히 향후 활용될 U-헬스 기반의 의료정보의 공유에 대한 소통에서 신뢰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및 정책(가이드라인)에 대한 선행 연구로 의의를 갖는다.

가설 설정

  • - 클라우드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시스템 기반은 넓은 범위로 공유되는데, 신뢰성은 문제없는가? 예를 들면, 바이러스 등의 부정 프로그램 침입에 의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모든 환경에 영향을 줄 염려는 없는가?
  • 위젯 양식으로 개발될 때, 실시간 방송의 경우 포맷의 변환뿐만 아니라 위법성이 합리적으로 의심되는 콘텐츠의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 위젯 기능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 넷째, 보안 장치 및 도구의 구비이다. 암호화를 통한 인증, PKI를 통한 제 삼자 확약, 해쉬 함수 등을 활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네트워크는 어떻게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나는가? 네트워크 시대가 대두됨에 따라 기술로부터 시작된 변화는 정치, 문화, 교육 등 사회 각 분야로 파급되어 긴밀한 연결 고리를 형성한다. 특히 네트워크는 인간 중심의 관계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1]. 과거 정보 수용자에 머물렀던 소비자는 정보 생산자로 변화하였다.
실시간 개인방송은 어떤 서비스 인가? 통신과 방송의 융합 환경에서 소셜한 개인 방송은 급속하게 증가한다. 실시간 개인방송은 다수의 개인이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반면 새롭게 소개되는 개인방송 서비스는 사회, 문화적으로 경험하지 못한 서비스로서 많은 문제점도 예상된다.
개인방송에게 기대되는 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개인방송은 기존 방송이 가진 콘텐츠 생산과 유통의 제약을 극복하고 콘텐츠의 소통과 확산을 폭발적으로 늘릴 것이며, 소셜 네트워크는 관계 기반의 서비스로 소통의 새로운 경로 및 참여 동기를 제공할 전망이다. 즉 공중파 TV, DMB, 라디오 등의 장점을 유지한 채, 개인 간에 소셜 소통을 확장하는 협송(narrow casting)의 효과가 기대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보편화되면서 U-헬스 기반의 의료, U-정치 기반의 모바일 투표 등 개인과 집단 간 민감한 정보에 대한 소통 부분으로 쓰임새가 커질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강장묵 (2009), 뉴미디어와 소통의 정치학, 서울: 한울. p.15. 

  2. 김종길.김문조 (2006), 디지털 한국 사회의 이해, 서울: 집문당, pp. 205-211. 

  3. 이원태.차재권.홍순식(2008), 웹2.0시대 의사결정방식의 변화와 정책적 대응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14. 

  4. 고상민.황보환.지용구(2008),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5권 제1호, p.12. 

  5. Comm, Joel. Robbins, Anthony. Burge, Ken. (2009). Twitter Power(How to Dominate Your Market One Tweet at a Time), Wiley, p. 177. 

  6. Flores Vivar, Jesus Miguel. (2009). "New Models of Communication, Profiles and Trends in Social Networks." COMUNICAR 33, pp. 73-81. http://www.revistacomunicar.com/numeros_anteriores/archivospdf/33/c33-2009-02-007.pdf(검색일:2010.09.) 

  7. OECD (1980). OECD Guidelines on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ransborder Flows of Personal Data. Paris: OECD.http://www.oecd.org/document /20/0,3343,en_2649_34255_15589524_1_1_1_1,00.html(검색일 : 2010.06.) 

  8. Lih, Andrew.(2009). Wikipedia Revolution, The: How a Bunch of Nobodies Created the World's Greatest Encyclopedia. Hyperion, p. 2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