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억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기억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mory Intensive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Memory Performance, and Self-Esteem in Elderly People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3 no.2, 2010년, pp.161 - 170  

정명숙 (전 안산 I 대학 실버케어센터) ,  김정화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동서간호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memory intensive training program on the elderly people's cognitive function, memory performance, and self-esteem. Method: Using a quasi-experimental or experimental design, 60 elderly aged over 60 years randomly assigned the experimental and 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억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기억수행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기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이용한 유시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들에게 기억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기억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기억강화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기억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억수행을 증진시키는 기억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노인들의 기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하며, 이를 통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생활만족도를 높이고 길어진 노년기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기억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인지기능이 높아질 것이다.
  • · 제 1가설 : 기억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인지기능이 높을 것이다.
  • · 제 2가설 : 기억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기억수행이 높을 것이다.
  • · 제 3가설 : 기억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
  • - 제 1부가설 : 실험군의 즉각기억단어 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 제 2부가설 : 실험군의 재인기억단어 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 제 3부가설 : 실험군의 지연기억단어 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억력이란 무엇인가? 기억력은 학습과정에서 주어진 기억재료와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회상해 낼 수 있는 능력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하는데 꼭 필요한 인지기능이다. 그러므로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선행연구의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집단 음악활동 프로그램(Kim, 2005), 비디오 다이어리 프로그램(Lee, 2008), 다요인 인지 능력 향상 프로그램(Han et al,, 2008) 등을 시행하였으며, 시행한 결과 모두 인지기능이 증가하였음을 보고하였다.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을 얼마나 가치 있게 느끼는가에 대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Rosenberg, 1965)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노인은 곤혹스러운 생애사건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열악한 외적 조건에 대해서도 좌절하지 않고 긍정적 요소를 찾으려고 한다(Kim & Han, 2004). 그러나 노년기로 접어들면서 신체기능의 저하, 지위의 약화, 은퇴로 인한 역할의 상실, 배우자와 친구의 죽음, 노인들이 당면한 주위환경에 대한 조절능력의 저하를 인지하게 됨으로써 자신에 대해 가지게 되는 부정적 인식 등으로 인하여 노년기에는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기 쉽다(Kim & Kim, 2002).
노년기에 자아존중감의 저하가 오는 원인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을 얼마나 가치 있게 느끼는가에 대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Rosenberg, 1965)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노인은 곤혹스러운 생애사건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열악한 외적 조건에 대해서도 좌절하지 않고 긍정적 요소를 찾으려고 한다(Kim & Han, 2004). 그러나 노년기로 접어들면서 신체기능의 저하, 지위의 약화, 은퇴로 인한 역할의 상실, 배우자와 친구의 죽음, 노인들이 당면한 주위환경에 대한 조절능력의 저하를 인지하게 됨으로써 자신에 대해 가지게 되는 부정적 인식 등으로 인하여 노년기에는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기 쉽다(Kim & Kim, 2002). 노년기의 노화현상으로 나타나는 인지적 변화는 자아존중감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자아존중감의 상실은 자신을 무가치하게 생각한 나머지 살아갈 욕망을 잃게 만들므로 노인들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M. O., & Park, H. R. (2005). A comparative study on effects of group music program about the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7, 303-324. 

  2. Chu, S. K., Yoo, J. H., & Lee, J. Y. (2010).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7), 1049-1060.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4. Dan, J. W., & Lee. J. M. (2006). The effect of group fine art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perceptive ability and communications of with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3, 71-102. 

  5. Dellefield, K. S., & McDougall, G. J. (1996). Increasing metamemory in older adults. Nursing Research, 46(5), 284-290. 

  6. Han, J. H., Ko, S. G., Kwon, J. H., Jo, I. H., Ahn, S. M., Han, C. S., et al. (2008). Efficacy of a multifactorial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program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4), 805-821. 

  7. Hyun, S. S. (2002). A comparison between the health behavior and self-esteem of old people taking part in health bath programs provided by health clinics and the health behavior and self-esteem of old people not taking part in dose progra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8. Ju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eonsei Nonchong, 11, 107-129. 

  9. Jung, H. S. (1996). Memory software. Seoul: Gipmoondang. 

  10. Kang, M. H. (2005). Effects of horticultural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on, emotion, communication and problematic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Alzheim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 Jeon. 

  11. Kim, E. J. (2005). Effects of group music activity program using Noraebang instrument on their depression, self-esteem and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internal- ill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ju. 

  12. Kim, J. H. (2000). Effects of memory training progrom using efficacy sources on memory improvement in elderly peop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13. Kim, T. H., & Han, E. J. (2004). Relationship of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experience to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living-alone elderly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Relationship, 9(3), 81-1106. 

  14. Kim, Y. H., & Kim, K. S.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7, 157-189. 

  15. Ko, S. G., & Kwon, J. H. (2007). Efficacy of a multifactorial memory enhancement program for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3), 545-572.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Retrieved from http://www.kostat.go.kr. 

  17. Krase, N. M.(1989).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s and self related health in older adult. The Gerontologist, 27(2), 301-308. 

  18. Kwon, J. Y. (1998).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emented old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Kwon, Y. C., & Park, J. H.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20. Lee, W. H. (2008). A study on episodic memory features and everyday memory enhancement of healthy older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1. McDougall, G. J. (2000). Memory improvement in assisted living elder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1(2), 217-233. 

  22. Min, H. S. (2002). The effects of metamemory personal enhancing program on memory performance in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5(2), 205-216. 

  23. Oh, H. J. (2009).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ocial support and self esteem in solitary old adu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24. Park, H. C.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of memory recollection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nd life qua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Korean Journal of Arts Therapy, 9(1), 1-21. 

  25. Park, K. A. (2007).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reminiscence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cognitive ability of patients with severe dement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Rosenberg, M. (1965). Society at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Song, Y. H. (2008). Relationship among group reminiscence program,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8. Stigsdotter, A. N., & Backman, L. (1993). Effects of multifactorial memory training in old age: Generalizability across tasks and individuals.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50B(3), 134-140. 

  29. Yoo, J. I., Lee, D. Y., Kim, S. Y., Youn, J. C., Lee, K. U., et al. (2004). The Korean version of CERAD neuropsychlogical assessment batter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mpany. 

  30. Youn, Y. H. (2001). Memory and learning in brain science. Seoul: Hackji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