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의 기능성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 GMFCS, GMFM 과 PEDI 중심으로 -
A Study of Functional Asses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1 no.1, 2010년, pp.13 - 42  

유선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  김보경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 for assesment of cerebral palsy(CP), especislly focusing on function assesment Methods: We searched the recent date of the publication and paper in Cerebral Palsy Results: Measuring the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s mobility, self-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뇌성마비 환자의 실태와 한방치료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등이 있으나 뇌성마비 환아를 치료하고 상담할 때 기능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도구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실제 임상에서는 다양한 평가도구가 사용 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한의학계의 응용이 전무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진단 및 치료 성적 평가에 사용 할 수 있는 각종 도구들 중 특히 한의사들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평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임신, 출산 등에 관계된 병력과 영아기에 겪은 병력에 대해 상세히 알아본다. 운동발달단계의 시기에 대한 질문을 하여 통상 백일 때 목을 가누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의 유병률은 어떻게 보고되고 있는가? 2%정도로서 연간 인구 10만 명당 7명의 비율로 새로 발생한다.유병률은 생후 12개월에 1,000명당약 5.2명 정도에서 뇌성마비 증상을 보이지만 7세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약 50%의 환아 에서 신경근육계의 증상이 소실되었다고 보고되고 있다1).
뇌성마비 아동의 수지기능과 운동 형태를 평가하는 QUEST는 어떤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가 이루어지는가? 특별히 뇌성마비 아동의 수지기능과 운동 형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측정 도구로서 정량적인 면과 정성적인 면을 모두 평가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이 검사는 해리동작(dissociated movement),쥐기(grasp),보호 신전(protective extension), 체중부하(weight bearing)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게 된다.QUEST의 점수는 최대 100점일 때 정상 기능을 나타내며 이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된다20).
뇌성 마비의 정의는 무엇인가? 뇌성 마비란 하나의 질병이 아니라 비슷한 임상적 특징을 가진 증후군들을 집합적으로 일컫는 용어로서,발달상태에 있는 미숙한 뇌에 대한 비진행성 병변,혹은 뇌의 손상으로 인하여 지속적이지만 변할 수 있는 운동 및 자세의 이상을 보이는 임상 증후군으로 정의할 수 있다.그 밖에 정신 지체,간질,언어장애,시청각 장애 등의 동반 증상의 빈도가 무척 높고 이들은 예후에큰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때문에 미성숙한 뇌에 대한 비진행성 병변 또는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 근육계의 결함과 동반 증상이 나타나는 임상 증후군으로 정의를 내리기도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소아신경학. 대한소아신경학회. 군자출판사. 2007:87. 

  2. 江育仁, 張奇文主編. 實用中醫科學. 제2판.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5:719-22. 

  3. 劉昊相, 吳旼錫, 宋泰元. 뇌성마비의 동서의학적 문헌고찰.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9;9(1):469-501 

  4. 곡수영, 이승연, 유선애. 뇌성마비의 조기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최근 중의잡지를 중심으로.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3):35-62. 

  5. 하수연, 민상연, 김장현. 뇌성마비의 침자 치료에 대한 문헌적 고찰-최근 중의잡지를 중심으로. 대한 한방소아과학회지. 2009;23(1):205-28 

  6. 韓侖廷, 金璋顯. 뇌성마비의 한의학적 접근에 관한 최신 동향: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3;17(2):173-98. 

  7. 조영진, 민군식, 長進軍. 뇌성마비에 대한 신경발달학적 치료와 침술의 효과. 재활연구. 1996;17:9-25. 

  8. 蔡鐘杰, 李相龍. 腦性麻痺 患者의 實態와 韓方治療 認識에 關한 調査硏究.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1998;7(1):909-20. 

  9. 대한소아재활의학회. 소아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06:54,176-85. 

  10. Dorman JP, Ellegrino L. Caring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rookes Publishing. 1998. 

  11. Russell DJ, Rosenbaum PL, Govoland C, Hard S, Lane M, Plew 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anual. 2nd ed. Hamilton (ont): Gross Motor Measure Group; McMaster University. 1993 

  12. Haley SM, Coster WJ, Ludlow LH, Haltiwanger JT, Andrrellos P.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Boston: PEDI Reasarch Group. 1992. 

  13. 김승국, 김옥기. 사회성숙도 검사. 서울:중앙적성출판사. 1985. 

  14. Sharron EG. Quality of life among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es. Unpublished Dotoral dissertation. George mason University. 1998. 

  15. Lovell DJ, Howe S, Shear E. Development of a disability tool for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the Juvenile Arthritis Functional Assessment Scale. Arthritis Rheumatology. 1989;32:1390-5. 

  16. Palisano R. Rosenbaum P, Walter S, Russell D, Wood E, Galuppi B.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ogy. 1997;39(4):214-2 

  17. Morris C, Bartlett 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mpact and utilit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004;46(1):60-5. 

  18. Kennes J, Rosenbaum P, Hanna SE, Water S, Russell D, Raina P, Bartlett D, Galuppi B. Health stau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formation from a population-based sample. Developmental Medicineand Child Neurology. 2002;4(4):240-7 

  19. Schneider JW, Gurucharri LM, Gutierrez AL, Gaebler-Spira D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outcomes measure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and Child Neurology. 2001;43(9):601-8. 

  20. Lundkvist A, Granant E, Nordmark E, Westbom I.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tion Classfication system in a Swedish versio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 1999;41(Suppl.81):18 

  21. Nordmark E, Hagglund G, Jarnlo GB.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in cerbral palsy. Scandinavia Journal Rehabilitation Medicine. 2000;29(1):25-8. 

  22. Fawke J. Neurological outcomes following preterm birth. Seminars in Fetal&Neonatal Medicine. 2007;12:374-82 

  23. 김세주, 이은하, 이상헌. 뇌성마비아 부모의 욕구조사. 대한재활의학회지. 2000;24(6):1070-8. 

  24. 박창일, 신지철, 박은숙. 뇌성마비의 조기진단을 위한 이학적 평가항목의 개발. 대한재활의학회지.1997;21(4):679-88. 

  25. 김태호, 권오윤, 김덕화, 김성엽, 노정석, 두정희, 양희송, 오재섭, 이현주, 정도영, 최종덕. 소아물리치료. 서울:탑메디오피아. 2006:90. 

  26. 오수영. 뇌성마비의최신지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7;50(9):1192-5. 

  27. 최석주, 양순하, 노정래, 김종화, 오수영. 산전부신피질 호르몬 요법이 태아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6;49(1):40. 

  28. 김진호, 한태륜. 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1997:454-6. 

  29. 이인구. 뇌성마비. 대한소아과학회지. 부록 제2호. 2003;46(7):221-9. 

  30. 김경숙. 뇌성마비아의 재활치료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1994;17(12):69 

  31. 김영화, 장석근, 김영일, 홍권의, 이형, 이병렬. 소아 뇌성마비 환자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19(4):89-100. 

  32. Palisano RJ, Hanna SE, Rosenbaum PL, Russell DJ, Walter SD, Wood EP, Raina PS, Galuppi BE. Validation of a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ical Therapy. 2000;80(10):974-85. 

  33. Russell D, Rosenbaum P, Lane M, Gowland C, Gowland C, Goldsmith C, Boyce W, Plews N. Training users in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Phys Ther. 1994;74:630-6. 

  34. 이충휘, 황선관, 최흥식. 대동작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5;2(1):1-13. 

  35. 송진엽, 최진숙. 뇌성마비 아동 운동발달 예후 지표로 대동작 기능 분류법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 2008;20(1):49-56. 

  36. Seid M, Sadler BL, Peddercord KM, Kurtin PS. Child health outcome research: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issues, definition and direction. san Diego: Unpublished manuscript.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