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아동의 소아 균형검사(PBS)와 대동작기능평가(GMFM)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Pediatric Balance Scale(PBS)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GMFM) Scor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2, 2010년, pp.281 - 288  

고명숙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물리치료실) ,  정재훈 (국립중앙의료원) ,  전혜선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ediatric Balance Scale(PBS)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GMFM) with cerebral palsy(CP) children. Methods : 31 ambulatory children with CP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PBS is a modified version of the Berg’s Bal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대동작 운동기능을 평가하는 대동작운동기능평가와 소아균형 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소아균형검사가 중증이나 경증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소아균형검사 총점과 대동작운동기능평가 항목 중 D (서기) 영역, E(걷기, 달리기, 도약) 영역의 항목은 상관계수(r)가 .
  • 이러한 연구들은 선 자세에서의 균형정도를 측정하는 검사가 보행능력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제안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아균형검사와 대동작운동기능평가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소아균형검사가 중증이나 경증 뇌성마비 아동의 대 동작운동기능을 예측하기 위한 도구로서 유용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소아균형검사와 대동작 운동 기능수준을 평가하는 대동작운동기능평가 항목 중 D (서기) 영역과 E(걷기, 달리기, 도약) 영역의 항목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소아균형검사가 중증이나 경증의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을 예측하기 위해 유용한지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 아동은 어떤 능력에 제한이 있는가? 뇌성마비 아동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와 운동조절의 결손으로 일상생활 활동에서 자발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자세안정과 외부적 변화에 대해 신체가 반응하는 균형능력이 부족하다(Cohen 등, 1993). 자세 안정은 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무게 중심을 유지하고 조절할 수있는 움직임이며, 자세 안정의 조절은 고유수용성 감각, 전정기능과 시각 되먹임의 유지 등과 같은 근 신경계 구조와 관련이 있다.
자세 안정의 조절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뇌성마비 아동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와 운동조절의 결손으로 일상생활 활동에서 자발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자세안정과 외부적 변화에 대해 신체가 반응하는 균형능력이 부족하다(Cohen 등, 1993). 자세 안정은 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무게 중심을 유지하고 조절할 수있는 움직임이며, 자세 안정의 조절은 고유수용성 감각, 전정기능과 시각 되먹임의 유지 등과 같은 근 신경계 구조와 관련이 있다. 대뇌조직의 손상은 균형감각의 결핍, 비정상적인 자세조절, 원시적 반사와 비정상적인 자세의 발달로 균형 유지에 있어 안정성의 부족을 가져온다(Diener 등, 1984).
대동작운동기능평가의 평가항목에는 어떤 활동들이 있는가? 대동작운동기능평가는 기준준거(criterion) 에 근거하여 뇌성마비아동의 발달과 대동작 기능 수준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도구이다. 이 도구의 평가항목은 누운 자세(lying and rolling), 앉은 자세(sitting), 기기(crawling), 무릎도구(kneeling), 도구(standing), 걷기(walking), ng(running) 및 도약(jumping)의 활동을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는 5세 아동의 경우에는 모든 항목을 수행할수 있 도약(jumping)의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고명숙, 이남현, 이정아 등. 한글판 아동 균형척도(pediatric balance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1):86-95. 

  2. 박혜정. 발달지연 아동 및 뇌성마비 아동의 평가실태와 물리치료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3. 이정림, 조상현, 권오윤 등. 뇌성마비 아동에서 대동 작기능평가(GMFM)와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와의 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1;8(1):20-34. 

  4. Atwater SW, Crowe TK, Deitz JC, et al.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wo pediatric balance tests. Phys Ther. 1990;70(2):79-87. 

  5.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 J Public Health. 1992;83 supple2:S7-11. 

  6.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1992; 73(11):1073-80. 

  7. Bohannon RW. Standing balanc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walking performance of patients referred for physical therapy. Percept Mot Skills. 1995;80(2):379-85. 

  8. Bohannon RW, Leary KM.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 over the course of acut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1):994-6. 

  9. Cohen H, Blatchly CA, Gombash LL. A study of the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and balance. Phys Ther. 1993;3(6):346-51. 

  10. Damiano DL, Abel MF. Relation of gait analysis to gross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996;38(5):389-96. 

  11. Diener HC, Dichgans J, Bacher M, et al. Quanti-fication of postural sway in normals and patients with cerebellar disease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84;57(2):134-42. 

  12. Drouin LM, Malouin F, Richards CL,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cores and gait spatiotemporal measures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s. Dev Med Child Neurol. 1996;38:1007-19. 

  13. Ferdjallah M, Harris GF, Smith P, et al. Analysis of postural control synergies during quiet standing in healthy children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2;17(3): 203-10. 

  14. Fonseca ST, Holt KG, Saltzman E, et al. A dynamical model of locomotion in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influence of walking speed. Clin Biomech. 2001;16(9):793-805. 

  15. Franjoine MR, Gunther JS, Taylor MJ. Pediatric balance scale: a modified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the school-age child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 Pediatr Phys Ther. 2003;15:114-28. 

  16. Gunsolus P, Welsh C, Houser C. Equilibrium reactions in the feet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of normal children. Dev Med Child Neurol. 1975;17(5):580-91. 

  17. Horak FB. Clinical measurement of postural control in adults. Phys Ther. 1987;67(12):1881-5. 

  18. Keenan MA, Perry J, Jordan C.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ke. Clin Orthop Relat Res. 1984;182:165-71. 

  19. Kembhavi G, Darrah J, Magill-Evans J.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to distinguish balance abilit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ediatr Phys Ther. 2002;14(2):92-9. 

  20. Loewen SC, Anderson BA. Predictors of stroke outcome using objective measurement scales. Stroke. 1990 ;21(1):78-81. 

  21. Nordmark E, Hagglund G, Jarnlo GB.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in cerebral palsy. Scand J Rehabil Med. 1997;29(1):25-8. 

  22.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2):142-8. 

  23. Russell D, Rosenbaum P, Gowland D, et al.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anual. 2nd ed. Owen Sound, Gross Motor Measures Group. 1993. 

  24. Russell DJ, Avery LM, Rosenbaum PL, et al. Improved scaling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videnc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Phys Ther. 2000;80(9): 873-85. 

  25. Shumway-Cook A, Hutchinson S, Kartin D, et al.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recovery of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3;45(9):591-602. 

  26. Whitney SL, Poole JL, Cass SP. A review of balance instruments for older adults. Am J Occup Ther. 1998;52(8):666-71. 

  27. Woollacott M, Shumway-Cook A, Hutchinson S, et al.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muscle activity used in recovery of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Dev Med Child Neurol. 2005;47(7):455-61. 

  28. Woollacott MH. Sveistrup H. Changes in the sequencing and timing of muscle response coordination associated with developmental transitions in developmental tra. Humel Movement Sci. 1992;11:23-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