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면환자의 수면의 질 척도와 한방진단시스템 병기(病機)와의 연관성 연구
Study on the Association of DSOM Pathogenic Factor in the Insomnia Patients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1 no.1, 2010년, pp.89 - 108  

이동화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김보경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and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DSOM) in the Insomnia Patients. Methods: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PSQI and DSOM of 92 patients with insomnia who have come to Kijang public health center and 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은 무엇인가? 수면은 인간 생활에서 하루의 약 1/3을 차지 하는 중요한 사건이며, 수면장애는 삶의 질뿐만이 아니라 건강과 수명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여러 수면장애 중에서도 유병률이 가장 높은 불면증은 우리나라 성인의 30%가 경험하며1),대부분 장시간 동안 지속된다2).
불면증을 유발하는 요인은? 불면증은 수면의 시작이나 유지를 방해하는 환경적 자극, 정신적 스트레스,약물,일주기 리듬의 변화,수면무호흡증 같은 수면장애,정신과 질환,내과적질환,통증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유발된다3-5).
불면의 정도를 파악하고 변증유형을 분석하는 객관적이고 계량화된 도구는? 이러한 점은 한의사와 환자 간의 소통 및 한의사간의 학술교류에도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불면의 정도를 파악하고 변증유형을 분석하는 객관적이고 계량화된 도구가 필요하다. 한방진단시스템(DiagnosSystem ofOrientalMedicine :DSOM)은 여성 질환을 문진하는 진단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왔으며,설문지 조사를 통해 환자의 신체 상태를 氣虛,血虛등 16개의 病機로 분류하고 결과를 점수화하고,다시 병기 결과와 문항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는 한의학적 진단 시스템으로 남성을 포함한 부인과 질환 이외의 환자에게도 한의학적인 변증을 분석하기 위해 응용되어 왔다8-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김린, 최윤경, 서광윤. 서울 거주 일반인의 수면위생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신경정신의학. 1997;36(4):712-22. 

  2. Mendelson WB. Long-term follow-up of chronic insomnia. Sleep. 1995;18(8):698-701. 

  3. Buysse DJ, Reynolds CF III, Kupfer DJ. Clinical diagnosis in 216 insomnia patients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 DSM-IV and ICD-10 categories : a report from the APA/NIMH DSM-IV field trial. Sleep. 1994;17:630-7. 

  4. Coleman RM, Roffwarg HP, Kennedy SJ, Guilleminault C, Cinque J, Cohn MA, Karacan I, Kupfer DJ, Lemmi H, Miles LE, Orr WC, Phillips ER, Roth T, Sassin JF, Schmidt HS, Weitzman ED, Dement WC. Sleep-wake disorders based on polysomnographic diagnosis: a national cooperative study. JAMA. 1982;247:997-1003. 

  5. Jacobs EA, Reynolds CF III, Kupfer DJ, Lovin PA, Ehrenpreis AB. The role of polysomnography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hronic insomnia. Am J Psychiatry. 1988;145:346-9. 

  6. 이상만, 지규용, 엄현섭. 영위생리와 각성, 수면시스템의 비교를 통한 음양의 함의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5):1154-61. 

  7.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편. 한방신경정신의학. 집문당. 2005:239-53, 630-41, 697-705. 

  8. 김규곤. 한방 통계분석방법에 관한 사례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3;5(4):907-17. 

  9. 배경미. 한방부인과 변증 진단 설문지에 대한 평가와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11-27. 

  10. 이인선, 이용태, 지규용, 김종원, 김규곤, 전란희, 조혜숙, 배경미, 김미진. 한방부인과 진단용 설문지의 신뢰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701-12. 

  11. 이인선, 전란희, 김규곤. 한방부인과 진단설문지에 대한 평가와 연구(2).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60-6. 

  12. 이인선, 조영진, 조혜숙, 김규곤. 한방부인과 설문지의 病機가중치 부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19-35. 

  13. 김미진, 이인선, 조혜숙, 엄윤경, 유주희, 이용태, 지규용, 김규곤. 한방진단설문지 DSOM(r) S.1.1의 신뢰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5):1146-53. 

  14. 지규용, 김종원, 이용태, 김규곤, 이인선. DSOM 변수와 일반혈액검사 및 일반화학검사와의 상관관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1):308-17. 

  15.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 a new instrumne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9:193-213. 

  16. 이인선, 전란희, 김규곤. 한방부인과 진단 설문지에 대한 평가와 硏究(II).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7(1):160-6. 

  17. DSOM. 한방진단시스템.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circledC}$ 2005-01-122-004154, 동의대학교 (이인선, 김규곤), http://www.dsom.or.kr. 2005. 

  18. 이대희. 임상 신경학 총론. 2nd ed. 고려의학. 1999:287-317. 

  19. Hauri PJ. Insomnia. Clin Chest Med. 1998;19(1):157-68 

  2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1994. 

  21. American Sleep Disorders Association. Diagnostic and coding manual. Rochester MN. 1997. 

  22. Consensus Conference. Drugs and insomnia. JAMA. 1984;251:2410-14. 

  23. Ohayon MM, Caulet M, Lemoine P. Comorbidity of mental and insomnia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Comprehensive Psychiatry 1998;39:185-97. 

  24. Ford DE, Kamerow DB. Epidemiologic study of sleep disturbances and psychiatric disorders. An opportunity for prevention Jama.1989;262(11):1479-84. 

  25. Drake C, Richardson G, Roehrs T, Roth T. Vulnerability to stress related sleep disturbance and hyperarousal. Sleep. 2004;27:285-91. 

  26. 최병만, 이상룡, 김명진. 불면증을 주소로 입원한 환자 33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1):169-82. 

  27. 이길홍, 이재우, 김헌수, 박두병, 나철, 이재광. 정신과 외래 불면증환자의 MMPI. 한국의과학. 1987;19(1):41-6. 

  28. 최소현, 김인, 서광윤. 서울거주 일반성인의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2;31:289-309. 

  29. 정근화, 손진욱. 경남 일부지역 농민들의 수면습관. 신경정신의학. 1996;35(6):1339-52 

  30. 변영순, 정은주. 성격유형과 우울정도에 따른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1999;11(1):43-55. 

  31. Morawetz D. Insomnia and depression: Which comes first?. Sleep Research online. 2003;5:77-81. 

  32. Baker TL. Introduction to sleep and sleep disorder.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1985;69:1123-53. 

  33. Drake CL, Roehrs T, Roth T. Insomnia causes, Consequences, and the rapeutics: An overview. Depression and Anxiety. 2003;18:163-76. 

  34. 홍원식. 정교 황제내경.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5:39. 

  35. 배병철譯. 今繹 黃帝內經 靈樞. 성보사. 1995:513,620 

  36. 허준. 동의보감. 남산당 1995:1, 79 

  37. 양사수, 장수생, 전경화. 동의임상내과학 I. 법인문화사. 1999:440-53. 

  38. 오경민, 김보경. 불면환자의 수면의 질 척도, 우울척도, 한방진단시스템과의 연관성 연구 (1).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3):89-119. 

  39. 김미보, 변석미, 신상호, 고우신, 윤화정. 한방진단시스템(DSOM)을 통한 이명환자와 건강대조군의 변증 비교분석.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8;21(3):166-83. 

  40. 김미진, 이인선, 조혜숙, 엄윤경, 유주희, 이용태, 지규용, 김규곤. 한방진단설문지 DSOM(r) S.1.1의 신뢰도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5):1146-53. 

  41. Mellinger GD, Balter MB, Uhlenhuth EH. Insomnia and its treatment : Prevalence and correlates. Arch Gen Pschiatr, 1985;42:232-335. 

  42. Lack LC, Thorn SJ. Sleep Disorders : Their prevalence and behavioral treatment.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behavioral medicine vol 2 ed by Byrne DG and Caddy GR. Norwood, Albex Publishing. 1991. 

  43. 손진욱, 이태우. 일개 대학병원 초입원환자의 불면증 유병률,원인 및 약물처방에 관한 연구. 수면정신생리. 1997;4(1):77-88. 

  44. 양동호, 오경민, 김보경. 수면장애와 동반된 임상증상에 따른 심박변이도와 수면 관련 설문간의 상관성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19(3):143-69. 

  45. 황의완, 김지혁 편저. 동의정신의학. 현대의학서적사. 1987;679-93. 

  46.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정담. 2002:105-16. 

  47. 손창호. 노인에서의 불면증. 수면,정신생리. 2001;8(1):5-10. 

  48. Foley DJ, Monjan AA. Brown SL, Simonsick EM, Wallace RB, Blazer DG. Sleep complaints among elderly persons: An epidemiologic study of three communitier Sleep. 1995;18(6):425-32. 

  49. Kales A, Caldwell AB, Soldatos CR, Bixler EO, Kales JD. Biopsychobehavioral correlates of insomnia. Psychosomatic Medicine. 1983;45:341-56. 

  50. Kirsti M, Markku P, Joel H, Pekka L, Helka U, Ilkka V. The impact of somatic health problems on insomnia in meddle age. Sleep Medicine. 2003;4;201-6. 

  51. Endeshaw YW, Johnson TM, Kutner MH, Ouslander JG, Bliwise DL.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nocturia in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2004;52:957-60. 

  52. Guilleminault C, Lin CM, Goncalves MA, Ramos E. A prospective study of nocturia and thequality of life of elderly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r sleep onset insomnia. Joura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4;56(5):511-5. 

  53. Umlauf MG, Chasens ER, Greevy RA, Arnold J, Burgio KL, Pillion DJ. Obstructive sleep apnea, nocturia and polyuria in older adults. Sleep. 2004;27:139-44. 

  54. 전국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한방병리학. 일중사. 2001:340-52. 

  55. Nicassio PM, Wallston KA. Longitudnal relationships among pain,sleep problems, and depression in rhematoid arthritis. J Abnorm Psychol. 1992;101:514-20. 

  56. Smith MT, Perlis ML, Smith MS, Giles DE, Carmody. Sleep quality and presleep arousal in chronic pain. J of Behavioral Med. 2000;23:1-13. 

  57. 김재홍, 윤영란, 신재국. 정신과 영역에서의 불면증 환자에 대한 Haloxazolam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임상약리학회지. 1995;3(1):36-44. 

  58. Harvey SC. Hypnotics and sedatives. In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7th ed, eds by Gilman AG, Goodman LS, Rall TW. New York:Macmillan. 1985:339-71. 

  59. Daly JD. Sleep disorders in the elderly. Prim Care. 1989;16:475-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