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삼음삼양(三陰三陽) 인식(認識)
Understanding of the Sameum-Samyang in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3 no.1, 2010년, pp.303 - 316  

장우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jema's four constitution theory is the result of creative succession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shaped up as "Sanghanron(傷寒論)", the key of Ijema's theory would be the re-explnation of the Sameum-Samyang pattern identification.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that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서론적 성격의 내용으로 사상의학에서 辨人物과 辨病證의 관련에 대해 검토하고, 이어서 辨人物의 원리로서 人稟臟理와 辨病證의 원리로서 腹背表裏의 의의 및 관련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어서 삼음삼양병증의 해석틀로서 복배표리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상한론》의 삼음삼양병증이 《동의수세보원》 〈병증론〉에서 어떻게 재해석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고찰 대상에서 태양인은 제외하였다.
  • 이에 본고에서는 이제마 ‘腹背表裏’의 개념의 실체를 《東武遺稿》, 《內經》 등의 관련 내용을 통해 추론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傷寒論》의 三陰三陽病證이 사상인의 臟腑性理라는 구도 하에서 어떻게 변용되고 있는지 하는 문제에 대해 간략하게 고찰해 보았다.
  • 좀더 구체적으로 太少陰人에 해당하는 ‘闔鎭左上’, ‘右耳目不如左耳目’의 문제를 검토해 보겠다.

가설 설정

  • 여기서 “外爲陽, 內爲陰”의 外內는 곧 表裏이며, “背爲陽, 腹爲陰”은 곧 腹背이다.7) 腹背가 몸 즉 本體라면 表裏는 用 즉 끊임없는 精神氣血의 轉化를 표상한다. 이제마는 《동무유고》에서 四象人의 臟理에 따라 腹背表裏의 기화 형식이 동일하지 않음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제3판.동의수세보원 신축본. 2006. p.12, 13, 14, 15, 17, 18, 19, 22, 23, 37, 43, 44, 51, 54, 57, 63, 73, 75. 

  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제3판.동무유고.해동. 2006. p.12. 

  3.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 陰陽應象大論.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5. p.20, 25. 

  4. 허준. 동의보감. 경남 하동. 동의보감출판사. 2005. p.1052, 1067. 

  5. 이남구 현토주석. 장개빈 저. 현토주석 유경. 서울. 법인문화사. 2006. p.59. 

  6. 李順保 編著. 傷寒論板本大全.注解傷寒論. 北京. 學苑出版社. 2000. p.880. 

  7. 한동석. 동의수세보원주석. 서울. 대원출판사. 2005. p.491. 

  8. 손병욱. 사상의학의이해. 서울. 행림출판사. 1997. 

  9. 原本周易. 서울. 명문당. 1999. p.10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