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육경병(六經病) 전변(傳變)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ransmutation among Six-channels in Shanghanlu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8 no.3, 2015년, pp.27 - 43  

이상협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김훈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Zhang Zhong-jing's Shanghanlun is based on Six-channels system to classified a disease. This paper is planning to describe the Transmutation among Six-channels system. Six-channels change not fixed in either direction and each is relative to each other. Methods : I will try to describ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傷寒論』의 六經病의 내용 구성의 특징은? 하지만 각 篇으로 구분된 六經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해당되는 六經病의 내용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誤治나 시간적인 경과에 따라서 다른 六經病으로 傳變되는 과정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며, 혹은 증상이 비슷하여 對照하여 鑑別해야 할 목적으로 다른 六經病의 내용이 섞여서 출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仲景이 六經病을 ‘太陽病-陽明病-少陽病-太陰病-少陰病-厥陰病’의 순서대로 편집한 이유는? 『傷寒論』에서 六經病이 편집된 순서를 살펴보면 ‘太陽病-陽明病-少陽病-太陰病-少陰病-厥陰病’의 순서대로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仲景이 이렇게 순서를 정한 까닭은 外感의 邪氣가 인체에 침입한 후 六經病이 심해지는 순서에 따라 篇을 구분하여 점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방편으로 차례를 정하였다고 짐작할 수 있다.
柯琴은 『傷寒論』에 나오는 日數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하였는가? 하지만 柯琴은 이곳에 나오는 日數에 대해서 설명하기를 “이것은 모두 ‘症狀이 나타나는 期日’을 말한 것이지, ‘六經이 이러한 차례대로 相傳하는 순서’가 되는 것이 아다.”7)라고 강조하면서 『傷寒論.』에 나오는 日數에 대해서 ‘六經의 차례대로 傳經한다’라고 했던 당시 의가들의 잘못을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e qin. Sanghanlaisuji. Seoul. Yizhongshe. 1992. p.78, 101, 168, 190, 194, 195. pp.179-180.(柯琴. 傷寒來蘇集. 서울. 一中社. 1992. p.78, 101, 168, 190, 194, 195. pp.179-180.) 

  2. Wu qian. Yizongjinjian. Beijing. Renminweisheng Publisher. 1982. p.177, 234.(吳謙. 醫宗金鑑.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p.177, 234.) 

  3. Wang bing. Huang Di Nei Jing Suwen. Beijing. Renminweisheng Publisher. 1995. pp.183-184.(王?. 黃帝內經素問.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pp.183-184.) 

  4. Wang wuchuan. Sanghangujinlun. Beijing. Publisher of China Chinese medicine and Technology. 2000. pp.9-10.(王梧川. 傷寒古今論.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00. pp.9-10.) 

  5. You zaijing. Youzaijingyixuequanshu. Beijing. Publisher of China Chinese medicine. 2005. p.88.(尤在涇. 尤在涇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5. p.88.) 

  6. Yu jiayan. Yujiayanyixuequanshu. Beijing. Publisher of China Chinese medicine. 1999. p.52.(喩嘉言. 喩嘉言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52.) 

  7. Liu duzhou. Sanghanlunjiangyi. Seoul. Mulgogisup. 2014. p.569. pp.650-651.(劉渡舟. 傷寒論講義. 서울. 물고기숲. 2014. p.569. pp.650-651.) 

  8. Li xinji. Sanghanlunyinanxiedu. Beijing. Renminweisheng Publisher. 2000. pp.61-62.(李心機. 傷寒論疑難解讀.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0. pp.61-62.) 

  9. Lin huizhen. Sanghanlunxinxie. Taibei. Yiqun Bookstore. 1987. p.43, 46, 47, 48. pp.44-45.(林輝鎭. 傷寒論新解. 臺北. 益群書店. 1987. p.43, 46, 47, 48. pp.44-45.) 

  10. Zhang nan. Yimenbanghe. Seoul. Daeseongmunhwasa. 1989. p.135.(章楠. 醫門棒喝. 서울. 大星文化社. 1989. p.135.) 

  11. Zhang zhongjing. Zhongjingquanshu. Seoul. Daeseongmunhwasa. 1989. p.125, 128.(張仲景. 仲景全書. 서울. 大星文化社. 1989. p.125, 128.) 

  12. Zhangzhicong. Zhangzhicongyixuequanshu. Beijing. Publisher of China Chinese medicine. 2010. p.688, 690.(張志聰. 張志聰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10. p.688, 690.) 

  13. Chen yiren. Sanghanlunyishi. Shanghai. Publisher of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1997. p.477, 550, 904, 1120.(陳亦人. 傷寒論譯釋.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7. p.477, 550, 904, 1120.) 

  14. Publishing committee of Sanghanlun textbook. Sanghanlunjingxie. Seoul. Yizhongshe. 2003.(전국한의과대학 상한론교재 편찬위원회. 傷寒論精解. 서울. 一中社. 2003.) 

  15. Qian huang. Shanghansuyuanji. Beijing. Xueyuanchubanshe. 2013. p.238, 368, 379.(錢潢. 傷寒溯源集. 北京. 學苑出版社. 2013. p.238, 368, 379.) 

  16. Choi YS. The clinical lectures of zhongjing formulae. Daejeon. Chorakdang. 2013. p.50.(최용선. 중경방임상강좌. 대전. 초락당. 2013. p.50.) 

  17. Heo Jun. Dongeuibogam. Seoul. Namsandang. 2001. p.379.(許浚. 東醫寶鑑. 서울. 南山堂. 2001. p.379.) 

  18. Jung SC, Park HK. A Study on history of development in Shang Han thoery.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1999. p.87.(鄭城采, 朴炫局. 傷寒 理論의 發展史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9. p.87.) 

  19. Zhang jilie, Ju liyi. To reading Sanghanlun using the movements points of view. Chinese medicine modern distance education of china. 2014. 12(8). pp.13-19.(張繼烈, 鞠鯉亦. 用動態觀點讀傷寒論. 中國中醫藥現代遠程敎育. 2014. 12(8). pp.1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