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완대체의학의 정의 변화와 국내 관련 연구 분석
Changing Definition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Related Research Analysi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6 no.2 = no.29, 2010년, pp.43 - 55  

이태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맹웅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한국전통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But the term 'CAM' often causes confusion, for the perception of CAM is determined by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AM and Conventional Medicine is established. Methods : In this paper, we researched the concep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8년은 미국 NIH 산하의 기관이었던 OAM이 NCCAM으로 확대 개편된 때로, 이를 계기로 국내에서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럼 각 항목별로 국내의 연구에 대해 고찰해보도록 하자.
  • 본 논문에서는 보완대체의학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그 개념이 형성되어 온 과정을 정의의 변천을 통해 고찰해보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국내에서 그 동안 진행된 보완대체의학 논의를 소개하였다. 국내에서는 한의학이 다른 국가들과는 다르게 체제의학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 보완대체의학의 개념을 다룬 13편의 논문들을 저술한 저자의 출신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자. [Figure 2]를 보면, 그 결과 의사가 7편의 논문을 발표하여 가장 활발한 연구 양상을 보였고, 다음으로는 한의사가 4편으로 그 뒤를 이은 것을 알 수 있다.
  • 때문에 현재 한국에서 보완대체의학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으며, 누구에 의해, 어떤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는지를 살펴 보는 것은 앞으로 국내의 의료계에서 보완대체의학의 향방을 논의하는데 필수적인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국내외의 보완대체의학의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의 관련 연구를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 본 논문에서는 보완대체의학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그 개념이 형성되어 온 과정을 정의의 변천을 통해 고찰해보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국내에서 그 동안 진행된 보완대체의학 논의를 소개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CAM에 대한 정의에 대해서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연도별로 변화해 온 CAM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완대체의학으로의 관심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보완대체의학1)(CAM :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수준이 과거에 비해 전반적으로 향상되면서 사람들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평균 수명이 높아짐에 따라 질병의 양상도 다양해져 만성적인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보완대체의학으로의 관심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보완대체의학의 경우, 정확한 정의가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보완대체의학’이라는 용어는 종종 의미의 혼동을 야기한다. 보완대체의학은 본래 독립적으로 생겨난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정의가 요구된다. 즉, 무엇을 ‘보완(complementary)’하고 ‘대체(alternative)’한다는 것 자체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상대적인 의미이기 때문이다.
해석학과 같은 관정을 통해 보완대체의학의 합리성을 획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이와 같은 논의는 보완대체의학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완대체의학의 현대적 적용에 있어서 가장 크게 요구되어 왔던 주장은 과학화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보완대체의학을 무작정 서양 과학적 실험 방식으로 검증하고자 한다면 본연의 가치를 잃을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황이 주장하듯, 현대의학의 연구 방식은 인간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이를 객관화하는데 주력해왔다. 이로 인한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대두된 보완대체의학을 마찬가지로 현대의학의 방식으로 재단하려는 것은 보완대체의학의 가치 의미에 모순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석학과 같은 관정을 통해 보완대체의학의 합리성을 획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나대웅. 대체의학 관점에서 본 東醫寶鑑의 신체관. 한국정신과학학회지 2009;13(1). 

  2. 류영수. 대체의학과 한의학의 비교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7;8(2). 

  3. 박석련. 全體性醫學과 東西醫學.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East-West Medicine Research. 1986. 

  4. 백영한. 동서의학의 체계간의 협력 증진 -동서양의학의 입장에서 보는 접근방법-.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West Medicine(국제학술대회 논문집). 1991;1991(3). 

  5. 송병기. 동서의학의 체계간의 협력 증진 -한방병원의 입장에서 본 접근방법-.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West Medicine(국제학술대회 논문집). 1991;1991(3). 

  6. 안명옥. 대체의학의 허와 실. 한국모자보건학회 춘계 학술대회 연제집. 2003;13. 

  7. 우호, 박현국. 張錫純의 학술사상에 관한 연구.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1998;7(1). 

  8. 윤병한, 하안례, 이용환. 간 질환 환자들의 대체의학 이용실태. 고신보건과학연구소보. 2002;12. 

  9. 이종찬. 대체의학. 본질적 대안인가 지류에 불과한가. 과학사상. 2001;39. 

  10. 전세일. 대체의학. 과학사상. 1999;28. 

  11. 전세일. 현대의학과 대체의학. 과학사상. 2001;39. 

  12. 정우열. 한의학과 대체의학 - 한의학자의 입장에서 본 대체의학 -. 과학사상. 2001;39. 

  13. 채수용. 동서의학의 체계간의 협력.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West Medicine(국제학술대회논문집). 1991;1991(3). 

  14. 최찬호. 탈 의료화로서의 대체의학에 관한 논점.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11(1). 

  15. 황임경. 환자. 의사 그리고 텍스트-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의료. 의철학연구. 2007;3. 

  16. Barrie R. Cassileth, Gary De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cancer. Oncologist.. 2004;9(1). 

  17. Catherine Zollman, Andrew Vickers. ABC of complementary medicine. what is complementary medicine. BMJ. 1999 Sep. 11;319. 

  18. Curtis H. Jones. The spectrum of therapeutic influences and integrative health care: classifying health care practices by mode of therapeutic action. J Altern Complement Med.. 2005 Oct.;11(5). 

  19. Douglas J. Tataryn. Paradigms of Health and Disease: A Framework for Classifying and Understan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J Altern Complement Med.. 2002 Dec;8(6). 

  20. Eisenberg DM. Kessler RC. Foster C. Norlock FE. Calkins DR. Delbanco TL. Unconventional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costs. and patterns of use. N Engl J Med.. 1993 Jan 28;328(4). 

  21. Eisenberg DM. Davis RB. Ettner SL. Appel S. Wilkey S. Van Rompay M. Kessler RC. Trends in alternative medicine use in the United States. 1990-1997: results of a follow-up national survey. JAMA. 1998 Nov. 11;280(18). 

  22. Ernst E. Complementary Medicine - A Definition [letter].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1995;5. 

  23. Ernst E. Complementary medicine: common misconceptions. J R Soc Med.. 1995;88. 

  24. Jacqueline C. Wootton, Andrew Sparber. Survey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art I. General Trends and Demographic Groups. J Altern Complement Med.. 2001 Apr;7(2). 

  25. Jacqueline C. Wootton. Classifying and defin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J Altern Complement Med.. 2005 Oct.;11(5). 

  26. Marcia Angell, Jerome P. Kassirer. Alternative medicine--the risks of untested and unregulated remedie. N Engl J Med.. 1998 Sep. 17;339(12). 

  27. Opher Caspi, Lee Seehrest, Howard C. Pitluk, Carter L. Marshall, Iris R. Bell, Mark Nichter. On the definition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and integrative medicine societal mega-stereotypes vs. the patients' perspectives. Altern Ther Health Med.. 2003 Nov.-Dec.;9(6). 

  28. R. Newman Turner. A proposal for classifying complementary therapies.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1998;6. 

  29. Ted J. Kapchuk, Eisenberg DM. Varieties of Healing. 2 A Taxonomy of Unconventional Healing Practices. Ann Intern Med.. 2001 Aug. 7;135(3). 

  30. Defining and describ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anel on Definition and Description. CAM Research Methodology Conference. April 1995. Altern Ther Health Med.. 1997 Mar.;3(2). 

  31. House of Lords. (2000). "House of Lords: Science and Technology - Sixth Report". www.parliament.uk. . (2010.6.30). 

  32. Rona Achilles. (2001). "Perspectives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Health Care: Defin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Health Care".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10.6.30). 

  33. White House Commission. (2002). "FINAL REPORT of the White House Commission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olicy". White House Commission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olicy. . (2010.6.30). 

  34. "What i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NHS Evidence -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2010.6.30). 

  35. "What Is CAM?". NCCAM. . (2010.6.30). 

  36. Manheimer E. Berman B. (2008). "Cochrane Complementary Medicine Field". The Cochrane Library. . (2010.6.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