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보완대체의학 사용 실태조사 연구의 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Korea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3 no.1, 2012년, pp.24 - 41  

김슬기 (한국한의학연구원 침구경락연구그룹) ,  이상훈 (한국한의학연구원 침구경락연구그룹) ,  서현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백승민 (한국한의학연구원 침구경락연구그룹) ,  최선미 (한국한의학연구원 침구경락연구그룹)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research trends concerning the preval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use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ppropriate to medical circumstances in Korea. Methods: We searched for surveys of CAM use in 8 databases including 6 Korean datab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사용실태 조사를 통해 보완대체의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보완대체의학에서 한의학의 위상 파악을 통해 향후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보완대체의학 실태조사 연구를 분석한 결과 실태조사의 연도별 발표 건수는 1998년 이후부터 매년 평균 5-6건이었으며 2004년에 13편으로 크게 증가하였다가 이후로는 평균 8편 정도를 유지하였다.
  • 연구 추이는 논문의 출판수를 1년 단위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용어 사용 실태는 제목에 사용된 용어를 중심으로 변화양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12)등의 연구는 보완대체의학의 개념을 중점으로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오16) 등은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 현황을 비교 제시하였으나 시간에 따른 연구 동향과 보완대체의학과 한의학의 영역에 대한 고찰은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보완대체의학 실태조사 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의 보완대체의학 연구의 수행 주체 분포 및 보완대체의학 및 유관 분야 지칭 용어의 시간에 따른 변화, 실제 보완대체의학 연구의 대상요법 발췌 등의 분석을 통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정의 및 분류기준에서 연구자들의 한의학에 대한 인식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보완대체의학 영역에서 한의계의 위상 정립과 연구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실태조사 92건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보완대체의학의 연구주체는 의사 및 간호사 등이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만성및 중증질환에서 다양한 질환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2. 보완대체의학의 용어는 2003년 이후 보완대체 의학으로 완전히 통일되었으나 실제 사용된 정의는 55.4%에서 “주류의학외의 모든 의료” 형태의 포괄적 정의를 사용하였으며 분류기준에있어서는 자의적 기준이 전체의 60%를 차지하였다. 3. 보완대체의학과 한의학과의 구분에서는 치료 방법의 예를 들어 한의학을 정의한 경우가 15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문특성 및 시술 주체에 따라 구분되었으나 실제 요법의 구분에 있어서는 한의학에 포함될 수 있는 경계요법이다수 확인되었다.
보완대체의학은 언제부터 관심을 받아오기 시작하였는가? 보완대체의학(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은 1992년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OAM(The Office of Alternative Medicine)을 신설한 이후 각국 보건당국 및 의학계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1). 최근에는 미국인구의 38%2), 영국인구의 46%3), 호주인구의 약 44%4)가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보완대체요법의 사용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보완대체의학에 포함된 것은? 보완대체의학에는 마사지, 명상등의 심신중재요법과 식물요법, 민간요법 및 동종요법 등 다양한영역이 포함되는데 NCCAM(National Center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서는 이러한 보완대체의학의 정의에 대해 “그 어떤 것도 정확하다고 할 수 없으며 주류의학(Conventional medicine) 의 일부로 여겨지지 않는 다양한 의료체계를 포괄하는 것”이라 하였으며 보완대체의학과 주류의학의경계 역시 매우 모호하며 끊임없이 진화, 변화하고 있다고 하였다5) 한의학은 서양의학에 비해 그 경계가 민간요법과 더욱 모호한데 오등6)은 이에 대해 “한국의 의료 제도는 삼국 시대에서부터 향약을 이용한 민간 의료의 지식보급에 적극적이었다.”고 하였으며 “동의보감의 탕액 편에서는 한글명을 함께 기록하여 약재를 쉽게 구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개 병증에 대해서도 병증의 설명이 끝날 때마다 단방을 기술하여 민간 요법적 의미를 서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Shin HK, Lee KK, Huang D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CAM world market. Seoul:KIOM. 2007:29-30 

  2. Horrigan BJ. New NHIS survey reveals That 38% of American adults sse CAM, Explore(NY). 2009;5(2):71-3. 

  3. Thomas KJ, Nicholl JP, Coleman P. Use and expenditure on complementary medicine in England: A population based survey. Complement Ther Med. 2001;9(1):2-11. 

  4. Xue CC, Zhang AL, Lin V, Da Costa C, Story D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Australia: A national population-based survey. J Altern Complement Med. 2007;13(6):643-50. 

  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Exploring the sci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hird strategic plan: 2011-2015. NIH. 2011: 1, 29 

  6. OH SC, Kim KJ. Researches on the phase institution of the folk remedies in Dongyibogam.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6;20(1):1-9 

  7. Lee SI, Khang YH, Lee MS, Koo HJ, Kang WC, Hong C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Korea: Prevalence, pattern of use, and out-of-pocket expenditures. Korean J Prev Med. 1999;32(4):546-555 

  8. Ock SM, Choi JY, Cha YS, Lee JB, Chun MS, Huh CH et al.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a general population: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in 2006. J Korea Med. 2009:24(1):1-6 

  9. Lim BM, Min JH, Jang US, Min MH. The use and expenditure of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Korea. J Korean Oriental Med. 2004;25(1):142-151 

  10. OH SC, Kwon YK, Kim KJ. Study on socialconsciousness about the folk remedies of oriental medicine doctor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3;17(1):25-30 

  11. Lee TH, Kim NM, Maeng WJ. Changing definition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related research analysis in Korea. Korean J oriental medicine. 2010;16(2):43-55 

  12. Lee TH, Kang YS, Cha WS. The analysis of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related study trend registered in the Korean Journal-focusing on the treatises listed at DBpia.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2009;22(1):69-80 

  13. Han KS, Im NY, Song KA, Hong YH, Kim JI, Kim KH et al. The Analysis of Trends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CAT) in Nursing Research in Korea. J Korean Acad Funda Nurs. 2003;10(3):392-398 

  14. Yang NY, Shin KR.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CAT) in nursing of Korea. Journal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3;15(2):226-235 

  15. Oh KS, Kim KS, Kwon SH, Park JW. Research Tren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5):721-731 

  16. Oh SC, Kwon YK, Yang CH, Kim KJ. Study on Social-communicating Situation of the Folk Remedie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2;16(3):443-451 

  17. Kim YH, Lee MH. Research on the Attitude and Technique of Physicians toward Alternative Therapy. J. Beau. Tricho. 2006;2(3):163-170 

  18. Kang SM. Survey for Request of Cancer Patient who Undergo Radiation Therapy Research on Alternative Therapy Utilization Actual Conditions. J. Kor. Soc. Hygienic Sciences. 2009;15(2):1-17 

  19. Lee BH. A Study on the Use and Percep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 Soc. Hygienic Sciences. 2009;15(2):125-134 

  20. Kim CY. Yang DH. Kang JW. Hwang EH. Korean Medicin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CAM) Therapy after Gastrectomy of Gastric Cancer in a Hospital.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7;28(3):86-99 

  21. Lee MS, Lee MS, Yang CY, Lee SI, Joo MC, Shin BC.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in Korea. Clinical Rheumatology. 2008;27(1):29-33 

  22. Park AJ, Park JY, Han CH. Utilization Pattern of Complementary Therapy in Hypertension, Diabetes and Chronic Arthritis Patients Visited to Local Health Center. Korean J of Rural Med. 2003;(28)2:107-122 

  23. Jung EY. Han DW. Choi BH. Kim YK. Park YH.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Cancer Patients in Kore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7;21(6):1590-1596 

  24. Ho MR, Choue Rw. A Study of the Folk Remedies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1998;31(7):1151-1157 

  25. Kim JS. Survey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Alternative Medicine for General Hospital Patient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0;7(1):5-33 

  26. Jo SJ. The Comparison on the use of Alternative medicin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2004;5(1):28-44 

  27. Nam MS, KIM KR, Cho JH, Lee KM, Park HY, Lee EJ et al. Study on the Folk Remedies by the Questionnaries in Korean Diabetic Patients.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1994;18(3):242-248 

  28. Uhm DC, Lee YS.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Folk Medicin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Eastwest nursing research. 1997;1(1):72-81 

  29. Lee EO, Kang HS, Lee IS, Eun Y, Lee JS. Model Construction for Treatment-Seeking Behaviors in Patients with Arthritis. The Journal of Rhumatology Health. 1997;4(2):177-196 

  30. Cheong YS, Park EW, Yoo SM, Kim KS, Jung HW, Kim SK et al. Use of Traditional Medicine and Folk Remedies in Hypertensive Patients- based on Cheonan Practice- Based Research Network-.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1998;19(2):141-149 

  31. Kim JI, Kang HS. Self Management of Pain by Folk Remedies in Patient with Chronic Arthritis. The Journal of Rhumatology Health. 1999;6(2):242-252 

  32. Kim JI, Kang HS, Lee MJ, Kim SA. A Study of Discomfort and Folk Remedies of Women with Arthritis.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2000;3(1):15-20 

  33. Koh BK, Lee HJ, Kim DJ, Ha SJ, Ha HJ, Park YM et al. Alternative Therapy for Atopic Dermatitis. Korean J Dermatol 2001;39(1):16-21 

  34. Lee SR, Shin SY, Lew SH ,Kim HJ, Youn BB. Folk remedies in Korean rheumatioid arthrit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2;23(2):205-214 

  35. Kim JY, Lee WJ, Lee SJ, Kim DW, Kim TH, Jun JB. Investigation on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Psoriasis. Korean J Dermatol. 2010;48(6):494-502 

  36. Lee HJ, Lee JH, Lee YW, Kim CW, Dhong HJ, Park HS. Multicenter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Unproved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Other than Herbal Medication in Allergy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1;80(1):68-77 

  37. Kim SW, Kim SW, Kim JJ, Kim HS, Min KS, Park KS. Evalu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Erectile Dysfunction. Korean Journal of Urology. 2006;47(9):987-993 

  38. Landers SH. Why health care is going home. N Engl J Med. 2010;363(18):1690-1. 

  39. Barnes PM, Powell-Griner E, Kim M, Nahin R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adults: United States, 2002. Seminars in Integrative Medicine. 2004;2(2);54-71 

  40. Weidenhammer W, Lewith G, Falkenberg T, Fonnebo V, Johannessen H, Reiter B et al. FP7 Project 'CAMbrella' to build European research network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sch Komplementmed. 2011;18(2):69-76 

  41. Zhou X.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Trend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ese Medicine.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1. 

  42. Guidance of Industry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roducts and Their Regulation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Draft 

  43. Cong WH, Chen KJ. FDA acknowledge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elonging to whole medical system.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2007;27(6):485-486. 

  44. Michael H.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Legal Boundaries and Regulatory Perspectives. 1st.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8. 

  45. Yoon BB. Forum of health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7;5(2):34-35. 

  46. No authors listed., Defining and describ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en. Panel on Definition and Description. CAM Research Methodology Conference. April 1995. Altern Ther Health Med. 1997;3(2):49-27 

  47. Chu DY. Alternative medicine. A new idea of medical care. Journal of Eastern Liaoning University Social Sciences. 2007;9(3):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