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금음자(對金飮子)가 알코올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간 지방 병증과 면역억제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
Preventive Effects of Daekumeumja on Fatty Degeneration of Liver and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Alcohol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6 no.2 = no.29, 2010년, pp.167 - 179  

김정자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과) ,  서부일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과) ,  최홍식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과) ,  김승모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과) ,  우창훈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과) ,  구진숙 (부부한의원) ,  박규열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s of Daekumeumja on fatty degeneration of liver and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alcohol in rats. Method : Except for the normal group, we fed rat on 25% alcohol for 55 days. And Daekumeumja(DK) extract was admin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정상 군과 알코올 대조군(간 지방 병증과 면역저하 유발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체중 100 g 당 1 ml를 하루에 한번씩 8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DK 투여군(간 지방 병증과 면역억제 유발하면서 對金飮子를 투여한 군) 에는 같은 기간 동안 동결 건조된 對金飮子를 흰쥐에게 50 mg/kg, 200 mg/kg을 同量의 생리식염수와 함께 매일 하루 한 번씩 알코올 섭취기간과 동일하게 8주(55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 DK(對金飮子)가 장기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지방 병증과 면역저하의 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혈액 생화학적 검사, 장기중량의 변화, 간 조직 내 triglyceride의 함량 변화, 조직형태계측,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통한 비교 실험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간 조직 내 triglyceride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부 간 조직(우엽)을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homogenize한 다음, chloroform과 methanol(2:1) 혼합물을 이용하여 지질 성분을 추출하였다14-16). 이후 Zeolite(Sigma, MO, USA)를 첨가하여 인지질(phospholipids) 을 제거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 시킨 다음, Plasmanate(1 ml)에 용해시켜, triglyceride 함량을 kits(Kyowa Modex,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15-17).
  • 간, 가슴 샘 및 비장의 일부를 조직을 분리하여, 세로(cross)로 절단 한 다음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하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고, 3-4 μm 의 절편을 제작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 최종 희생 일에 간, 가슴 샘 및 비장을 적출하여 절대 중량을 전자저울(Precise Instrument, Switzland)을 이용하여 g 단위로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각 개체의 체중에 따른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최종 희생의 체중에 대한 상대중량(% of body weight)을 각각 산출하였다.
  • . 또한 일정기간의 알코올(ethanol) 투여에 의해 간 지방병증28-31)과 면역 저하32-36)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실험에서는 對金飮子가 알코올성 간 지방 병증 및 면역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장기 중량, 혈액생화학적 방법, 조직병리학적 방법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 . 또한 일정기간의 알코올(ethanol) 투여에 의해 간 지방병증28-31)과 면역억제32-36)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실험에서는 對金飮子가 알코올성 간 지방 병증 및 면역저하에 미치는 효과를 장기 중량, 혈액생화학적 방법, 조직 병리학적 방법을 통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 실험 흰쥐를 동물실에서 1주일 동안 안정을 시킨 후 정상 군, 알코올 대조군, DK 투여군(對金飮子 投與群, 50 mg/kg, 200 mg/kg)의 4개의 그룹으로 10마리씩을 임의로 분리하였다. 정상군은 전 실험기간 동안 식이와 물을 제한 없이 섭취하였으며, 알코올 대조군과 DK 투여군은 전 실험기간 동안 식이를 제한 없이 섭취하게 하였으나, 물은 전 실험기간 동안 제한 없이 섭취하게 하였다.
  • . 이후 Zeolite(Sigma, MO, USA)를 첨가하여 인지질(phospholipids) 을 제거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건조 시킨 다음, Plasmanate(1 ml)에 용해시켜, triglyceride 함량을 kits(Kyowa Modex,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15-17).
  • 최종 부검 시 복대정맥(vena cava)에서 약 8 ml의 혈액을 vacuum tube(Beacton, Dickinson and company, plrmouth, UK)에 채취하여,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청(serum)을 분리하였다. 이후 자동 혈액 분석 장치(Hemagen Analyst, Hemagen Diagnostic, MO, USA 또는 SP-4410, Spoto chem Tokyo, Japan)을 이용하여, 혈청 중 AST(UV-Rate method; IU/l), ALT(UV-Rate method; IU/l), albumin(BCG method; g/dl), ALP(P-NPP method; IU/l), 및 TG(triglyceride, Enzyme method; mg/dl)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 정상군은 전 실험기간 동안 식이와 물을 제한 없이 섭취하였으며, 알코올 대조군과 DK 투여군은 전 실험기간 동안 식이를 제한 없이 섭취하게 하였으나, 물은 전 실험기간 동안 제한 없이 섭취하게 하였다. 정상 군과 알코올 대조군(간 지방 병증과 면역저하 유발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체중 100 g 당 1 ml를 하루에 한번씩 8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DK 투여군(간 지방 병증과 면역억제 유발하면서 對金飮子를 투여한 군) 에는 같은 기간 동안 동결 건조된 對金飮子를 흰쥐에게 50 mg/kg, 200 mg/kg을 同量의 생리식염수와 함께 매일 하루 한 번씩 알코올 섭취기간과 동일하게 8주(55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 실험 흰쥐를 동물실에서 1주일 동안 안정을 시킨 후 정상 군, 알코올 대조군, DK 투여군(對金飮子 投與群, 50 mg/kg, 200 mg/kg)의 4개의 그룹으로 10마리씩을 임의로 분리하였다. 정상군은 전 실험기간 동안 식이와 물을 제한 없이 섭취하였으며, 알코올 대조군과 DK 투여군은 전 실험기간 동안 식이를 제한 없이 섭취하게 하였으나, 물은 전 실험기간 동안 제한 없이 섭취하게 하였다. 정상 군과 알코올 대조군(간 지방 병증과 면역저하 유발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체중 100 g 당 1 ml를 하루에 한번씩 8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 체중은 실험하기 직전, 실험 시작 후 4주, 실험 시작 후 8주에 각각 측정하였다.
  • 총 100개의 간세포 중, 10% 이상의 지방소적(lipid droplets)을 함유한 간세포의 수 (cells/100 hepatocytes), 간 실질 조직 mm2 당 지방소적이 차지하는 비율(%/mm2 of hepatic parenchyma), 간세포 직경(μm/hepatocyte), 세로로 절단한 가슴 샘 소엽 전체 및 피질 부분의 두께 (mm/cross trimmed thymus), 세로로 절단한 비장 조직표본에서 정중부(from apex of anterior border to centre of posterior border)의 비장 전체 두께 (mm/spleen), 백색수질(white pulp)의 수(white pulp/mm2 of spleen) 및 백색수질의 직경 (mm/white pulps)을 조직 자동영상 분석 장치(DMI-300 Image Processing ; DMI, Korea)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 최종 희생 일에 간, 가슴 샘 및 비장을 적출하여 절대 중량을 전자저울(Precise Instrument, Switzland)을 이용하여 g 단위로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각 개체의 체중에 따른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최종 희생의 체중에 대한 상대중량(% of body weight)을 각각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 SLC (JAPAN)에서 구입한 雄性의 Sprague Dawley Rat(200-250 g)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동물은 일정한 온도 (25 ± 2℃)와 습도 (50 ± 5%)가 유지되며 12시간의 명암주기 (12hr ;12hr)가 조절되는 동물실에서 사육되었다.
  • 對金飮子 추출물은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환류 냉각장치에서 80℃로 가열, 3시간 3회를 추출, Whatman (No. 1) 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이 추출액을 다시 減壓濃縮한 다음 동결건조(LABCONCO, model freeZone, USA)하여 최종 추출물 對金飮子(收得率;15.5%)를 얻어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對金飮子(陳皮(중국산), 厚朴(중국산), 蒼朮(한국산), 甘草(중국산)) 韓藥材는 대원약업사(대구)에서 구입한 다음, 대구한의대학교 본초학교실에서 감정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유발동물들은 동물실에서 모든 그룹에게 처음 7일 동안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았고 정상군은 고형사료와 물을 임의로 섭취하게 하였다. 알코올 대조군과 DK 투여군에는 고형사료와 25% 알코올 용액(C2H5OH) 순도 99.8%(Merck, Germany)를 8주간 경구투여를 하여 Sprague Dawley계 흰쥐를 알코올성 간 지방 병증과 면역저하를 유발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약 2주일간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평균체중이 247 ±2.00 g인 흰쥐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수치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다중 비교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고, 분산 동질성을 Levene test를 실시하여 검증 하였다. 등분산일 경우, one way ANOVA test를 실시한 다음 leastsignif-icant differences(LSD) test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비등분산일 경우에는 비모수검증인 Kruskal-Wallis H 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에는,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W를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모든 수치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다중 비교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고, 분산 동질성을 Levene test를 실시하여 검증 하였다.
  • 등분산일 경우, one way ANOVA test를 실시한 다음 leastsignif-icant differences(LSD) test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비등분산일 경우에는 비모수검증인 Kruskal-Wallis H 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에는,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W를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Release 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주에 의한 질병비용은 전체 진료비 중 몇 %에 달하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간한 자료에 의하면 폭음하는 비율이 세계적으로 가장 높으며, 연간 음주율이 계속 증가추세에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1). 또한 음주에 의한 질병비용도 전체 진료비 중 약 11.4 % 에 달하고 있다2).
적당량의 알코올 섭취의 장점은? 적당량의 알코올 섭취는 HDL - Cholesterol 농도를 상승시키고, 동맥경화를 비롯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며3), 하루 적정 정도의 알코올 섭취는 건강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4). 그러나 술을 과도하게 지속적으로 섭취 하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발생 시키게 되는데, 간질환5), 심혈관질환6), 신경계통의 기능 장애7), 뇌 감각의 이상7) 등을 야기하며, 또한 알코올은 강력한 면역저하제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면역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알코올 중독자는 비 알코올 중독자에 비하여 미생물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높게 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오상우. 음주가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2009;18(1):1-7. 

  2. 정영호, 고숙자. 흡연, 음주, 비만에 기인한 질병의 사회 경제적 비용 및 관련품목 조세제도. 2009 한국사회보장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9:275-309. 

  3. 유옥순. 알코올 섭취자와 비섭취자의 영양섭취실태 및 혈청 지질수준에 대한 비교연구. 1997.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William M.H. Effect of small and moderate doses of alcohol on exercise heart rate and oxygen consumption. Res Q. 1972 Mar;43(1):94-104. 

  5. Lieber C. S. Hepatic, metabolic and toxic effects of ethanol:1991 update. Alcohol Clin. Exp. Res. 1991;15:573-592. 

  6. 박성희, 강영희, 박현영. 한국인에서 알코올 섭취가 관상동맥질환 관련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년). 한국영양학회지. 2008;41(3):232-241. 

  7. Morrow. A. L. Researchers study alcohol's channels to the brain. Center Line. 1997;(8):1-3. 

  8. Macgregor RR. Alcohol and immune defense. JAMA. 1986 Sep 19;256(11):1474-9. 

  9. 김병운, 우홍정, 김덕호, 강병기, 임재훈, 강윤호 외 3인. 간계내과학. 서울: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9:109-111, 598-611. 

  10. 박종현, 김연섭. 酒傷에 관한 문헌적 고찰. 제한동의학술원논문집. 2000;5(1):22-30. 

  11. 徽宗. 太平惠民和劑局方.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1996:48-49. 

  12. 허준 지음, 동의문헌연구실 옮김. 신대역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2007:826, 1164, 1208, 1848. 

  13. Liu S.J. Ramsey, R.K. Fallon, H.J. Effects of et hanol on hepatic microsomal drug-metabolizingenzymes in the rat. Biochem. Pharmacol. 1975;24(3):369-378. 

  14. Folch J. Lees M. Stone-Stanley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1957;226:497-509. 

  15. Brodie BB. Butler WM. Horning MG. Maickel RP. Maling HM. Alcohol-induced triglyceride deposition in liver through derangement of fat transport. Am J Clin Nutr. 1961;9:432-435. 

  16. Butler WM. Maling HM. Horning MG. Brodie BB. The direct determination of liver triglycerides. J Lipid Res. 1961;2:95-96. 

  17. Bucolo G. David H.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s by the use of enzymes. Clin Chem. 1973;19:476-482. 

  18. 장수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음주문제와 영향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08;28:152-174. 

  19. 박승만, 조종관. 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동서의학적 연구. 한의학논문집(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3;2(1):67-78. 

  20. 황태현, 최준혁, 임성우. 에탄올과 스트레스로 유발된 생쥐의 공장 점막 손상에 대한 對金飮子의 방어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4):735-746. 

  21. 이태호, 이은용. 대금음자 약침이 알코올 독성 흰쥐의 해마에서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3(3):37-45. 

  22. 김현중, 김이화, 이은용. 對金飮子 약침이 알코올 독성 흰쥐의 해마에서 신경세포생성과 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3(5):187-198. 

  23. 공경환. Alcohol, indomethacin 및 burn-stress로 유발된 생쥐의 위 점막 손상에 대한 對金飮子, 益胃湯, 柴胡疏肝散의 효과. 大韓韓醫學會誌. 2007;28(2):166-184. 

  24. 류기원, 구본홍. 주상병에 응용되는 加味對金飮子가 ethanol로 인한 白鼠의 肝損傷에 미치는 영향. 경희한의대논문집. 1980;3:1-14. 

  25. 박영준, 선중기, 조철준, 문병하, 김제관, 박주한, 구창모. 加味對金飮子 處方을 사용한 알코올성 간염환자의 치험 2례.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003;9(2):8-14. 

  26. Klassen LW. Thiele GM. Duryee MJ. Schaffert CS. DeVeney AL. Hunter CD. Olinga P. Tuma DJ. An in vitro method of alcoholic liver injury using precision-cut liver slices from rats. Biochem Pharmacol. 2008 Aug 1;76(3):426-36. Epub 2008 May 21. 

  27. 이재혁. 지방간의 병리 소견. 대한간학회지. 2008;14(4s): 22-28. 

  28. Adeneye AA. Benebo AS. Oral metformin-ascorbic acid co-administration ameliorates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Nig Q J Hosp Med. 2007;17:155-159. 

  29. Faremi TY. Suru SM. Fafunso MA. Obioha UE. Hepatoprotective potentials of Phyllanthusamarus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Food Chem Toxicol. 2008;46:2658-2664. 

  30. Gopumadhavan S. Rafiq M. Azeemuddin M. Mitra SK. Ameliorative effect of Partysmart in rat model of alcoholic liver disease. Indian J Exp Biol. 2008;46:132-137. 

  31. Pari L. Suresh A. Effect of grape (Vitis vinifera L.) leaf extract on alcohol 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Food Chem Toxicol. 2008;46:1627-1634. 

  32. Jerrells TR. Marietta CA. Weight FF. Eckardt MJ. Effect of adrenalectomy on ethanol-associated immunosuppression. Int J Immunopharmacol. 1990a;12:435-442. 

  33. Jerrells TR. Smith W. Eckardt MJ. Murine model of ethanol-induced immuno -suppression. Alcohol Clin Exp Res. 1990b;14:546-550. 

  34. Saad AJ. Jerrells TR. Flow cytometric and 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 of ethanol-induced changes in splenic and thymic lymphoid cell populations. Alcohol Clin Exp Res. 1991;15:796-803. 

  35. Holsapple MP. Eads M. Stevens WD. Wood SC. Kaminski NE. Morris DL. Poklis A. Kaminski EJ. Jordan SD. Immuno-suppression in adult female B6C3F1 mice by chronic exposure to ethanol in a liquid diet. Immunopharmacology. 1993;26:31-51. 

  36. Budec M. Leposavi G. Karapetrovi B. Kosec D. Naltrexone prevents ethanol-induced changes in rat thymus. Alcohol. 1996;13:533-537. 

  37. Kudo T. Tamagawa T. Shibata S. Effect of chronic ethanol exposure on the liver of Clock-mutant mice. J Circadian Rhythms. 2009 Apr 1;7:4. 

  38. Jimenez V. Cardinali DP. Alvarez MP. Fernandez MP. Boggio V. Esquifino AI. Effect of chronic ethanol feeding on 24-hour rhythms of mitogenic responses and lymphocyte subset populations in thymus and spleen of peripubertal male rats. Neuroimm unomodulation. 2005;12(6):357-65. 

  39. 김진택, 박인식, 안상현. 장기간 알콜 투여가 생쥐 가슴샘에서 T 림프구의 분화와 IL-2 분비 저해에 미치는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he Journal of Dongguk Oriental Medicine. 1996;5(1):187-196. 

  40. Khanal T. Choi JH. Hwang YP. Chung YC. Jeong H G. Protective effects of saponins from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gainst fatty liver in chronic ethanol feeding via the activation of AMP-dependent protein kinase. Food Chem Toxicol. 2009 Nov;47(11):2749-54. Epub 2009 Aug 13. 

  41. 趙涓修. 에틸 알코올이 ICR계 생쥐의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1989.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Blalock JE. Harbour-McMenamin D. Smith EM. Peptide hormones shared by the neuroendocrine and immunologic systems. J Immunol. 1985 Aug;135(2 Suppl):858s-861s. 

  43. Sztein MB. Goldstein AL. Thymic hormones-a clinical update. Springer Semin Immunopathol. 1986; 9(1):1-18. 

  44. Cyster JG. Chemokines and cell migration in secondary lymphoid organs. Science. 1999 Dec 10;286(5447):2098-102. 

  45. 류덕선, 김선희, 이동석. 함초 추출물의 마우스 면역 증강 활성.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08;36(2):135-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