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왕제비꽃 자생지의 환경요인, 토양 특성 및 식생을 조사하고 각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왕제비꽃의 자생지는 총 7개 지역으로 해발고도 343-991 m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경사는 $1-33^{\circ}$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형성하였다.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로 확인되었으며, 포장용수량은 평균 28.97%, 유기물함량은 16.63%, pH는 5.62, 유효 인산함량은 14.75 ${\mu}g/g$으로 나타났다. 18개 방형구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133분류군이었으며, 교목층에는 고로쇠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고로쇠나무가 가장 높은 중요치를 보였다. 초본층에서는 왕제비꽃의 중요치가 9.6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벌깨덩굴(8.53%), 개별꽃(6.51%), 피나물(5.15%), 큰괭이밥(4.52%), 덩굴개별꽃(4.15%) 등이 높게 나타나 이 종류들이 왕제비꽃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1.32였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08과 0.89로 산출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조사 및 토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관분석 결과 왕제비꽃의 피도는 미사 및 모래함량, 관목층 이상 상층수목의 피도는 종풍부도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식생구조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는 크게 3개의 군으로 구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oil and veg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ven different habitats of Viola websteri. These habitats, according to investigations, are mostly located on the slope of mountai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왕제비꽃의 자생지 환경에 대한 연구로는 자생지 중 한 지역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송 등(2009a)과 강 등(2008)의 연구 외에는 이루어진 바가 없어 왕제비꽃의 생육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생지 전반에 걸친 생태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왕제비꽃의 추가적인 자생지를 확인하는 동시에 환경요인, 토양 특성 및 식생을 조사하고 각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왕제비꽃 자생지의 환경요인, 토양 특성 및 식생을 조사하고 각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왕제비꽃의 자생지는 총 7개 지역으로 해발고도 343-991 m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경사는 1-33°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형성하였다.
  • 수백만 년에 걸쳐 발달해 온 생물군집이 인류에 의해 황폐화되고, 수천 종 또는 수백만의 개체군들이 다가오는 수십년 내에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됨에 따라(Lawton and May, 1995; Levin, 2001; Jackson, 2002) 자연환경 및 생물다양성의 변화가 인간에게 미칠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강조되고 있다. 이에 IUCN에서는 위협을 받고 있는 생물들을 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평가기준을 확립하여 근거를 제시하는 동시에 다양한 연구와 출판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자 하고 있다. 현재 위협을 받고 있다고 인정되는 생물은 약 16,928종류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관속식물 이상의 고등식물은 약 8,043종류에 달한다(IUCN,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이 후기에 구성 비율이 높아질 가능성을 가지는 종류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역별 상층수목의 식생형은 홍천군, 삼척시, 제천시, 보은군 등 4지역이 고로쇠나무군락으로 확인되었으며, 가평군 두 지역과 정선군은 신갈나무군락으로 나타났다. 우점 또는 비우점 종들 간의 경쟁에서 야기되는 산림천이는 궁극적으로 종 구성의 변화가 거의 없어지는 극상림(climax forest)에 도달하게 되는데 천이 후기에 구성 비율이 높아질 가능성을 가지는 종류로는 서어나무, 느티나무, 신갈나무, 때죽나무, 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알려져 있다(Kim, 1993). 따라서 왕제비꽃 자생지는 천이 초기 단계를 지난 비교적 안정된 상층식생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왕제비꽃이 수분 공급이 원할한 환경조건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는 근거는? 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분류군들은 여러 지역에서 높은 피도와 빈도를 보여 왕제비꽃과 친화도가 높은 종류로 판단되며, 주로 계곡이나 습기가 많은 계곡주변 또는 사면에서 자라는 종류들이기 때문에(Lee, 1996a; Lee, 2003) 왕제비꽃이 수분 공급이 원활한 환경조건을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삼척시의 포장용수량이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9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1). 이는 삼척시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모래함량과 낮은 미사, 점토함량의 입경 분포로 인해 큰 공극을 가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llen, S.E. 1989. Chemical analysis of Ecological Materials 2n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2.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The Benjamin Publishing Company. Inc., California. 

  3.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 27: 325-349. 

  4.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Iowa. pp. 1-184. 

  5. Buurman, P., van Langen and E.J. Velthorst. 1996. Manual for soil and water analysis. Backhuys Publishers, Leidin. pp. 58-61. 

  6. Chang C.S., H.S. Lee, T.Y. Park and H. Kim. 2005.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 Ecol. 28: 305-320.(in Korean) 

  7. Feodoroff, A and R. Betriemieux. 1964. Une methods de laboratorire pour la determination de la capacite au champ. Science du sol. p. 109. 

  8. Forbes, F.B. and W.B. Hemsley. 1886. Enumeration of all the plants known from china proper, formosa, hainan, the corea, the luchu brchipelago, and the island of hongkong together with their distribution and synonymy. Linn. Soc. Journ. Bot. 23: 56-57. 

  9. Jackson, R. 2002. The earth remains forever: generations at a crossroads. University of Texas Press, Austin, Texas. 

  10.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 Korean For. Soc. 91: 694-700.(in Korean) 

  11. Jeong, T.H. 1956. Korean flora(Herbaceous). Shinjisa, Seoul. p. 427. 

  12. Kalra, Y.P. and D.G. Maynard. 1991. Methods manual for forest soil and plant analysis. Foresty Canada. 

  13. Kim, J.H. 1993. The estimation of climax index for broadleaved tree species by analysis of ecomorphological properties. Jour. Korean For. Soc. 82: 176-187.(in Korean) 

  14. Kim, J.S., B.C. Lee, J.M. Chung and J.H. Park. 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Koran J. Pl. Taxon. 35: 337-364.(in Korean) 

  15. Kim, J.W., Y.M. Park, E.J. Lee, J.G. Jae and K.R. Choi. 2006.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3rd ed.). Sinauer Associates, Inc. and World Science Publishing Co.(in Korean) 

  16. Korean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7. IUCN. 2009. 2008 IUCN Red List summary statistics. Retrieved May 28, 2010 from http://www.iucn.org/about/work/programmes/species/red_list/2008_red_list_summary_statistics. 

  18. IUCN. 2010.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Retrieved May 28, 2010 from http://www.iucnredlist.org/apps/redlist/search. 

  19. Lawton, J.H. and R.M. May (eds.). 1995. Extinction rate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 Lee, S.W. 1981. Studies on forest soils in Korea(II). Jour. Korean For. Soc. 54: 25-35.(in Korean) 

  2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22. Lee, W.T. 1996a.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Seoul. 

  23.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Seoul. 

  24.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25.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I, II. Kyo-Hak Publishing Co., Seoul. 

  26. Levin, S.A. (ed.). 2001. Encyclopedia of biodiversity. Acadi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 

  27. Mangel, M. and C. Tier. 1994. Four facts every conservation biologist should know about persistence. Ecology 75: 607-614. 

  28. Menges, E.S. 1992. Stochastic modeling of extinction in plant populations. In P.L. Fiedler and S.K. Jain(eds.), Conserva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Chapman and Hall, New York. pp. 253-275. 

  29. Nakai T. 1909. Flora Koreana. Pars prima. J. Coll. Sci. Imp. Univ. Tokyo 26: 64. 

  30. Odum, E.P. 1984. Basic ecology. W.B. Saunders Co. Ltd., Philadelphia. p. 613. 

  31.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32. Oh, B.U., K.S. Kim, S.C. Ko, B.H. Choi,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C.G. Jang, S.H. Kang and C.H. Lee. 2008.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 Central Province, Gyeonggi-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33.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C.G. Jang and S.H. Kang.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 Central province(Gangwon-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3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35. Pearson, K. 1895. Royal Society Proceedings 58: 241. 

  36.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37.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38.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39. W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40. 강신호, 서상원, 강세찬. 2008. 한반도 희귀식물 왕제비꽃(제비꽃과) 자생지의 생태학적 구조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21: 84. 

  41. 김준호, 서계홍, 정연숙, 이규송, 고성덕, 이점숙, 임병선, 문형태, 조강형, 이희선, 유영한, 민병미, 이창석, 이은주, 오경환. 2007. 현대생태학. 교문사, 경기. 

  42. 김진수. 2010. 유전다양성에 근거한 산림식물 표본 추출 전략개발. In 김진수, 유기억. 산림식물 보존을 위한 표본 추출 전략 개발. 산림청. 

  43. 도봉섭. 1936. 조선식물목록 1권-중부조선편. 경성약전식물동호회. p. 67. 

  44. 송재모, 최기호, 이기영, 이재선. 2009a. 멸종위기 식물 왕제비 꽃의 자생지 토양특성 및 식생구조. 한국임학회 정기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60-162. 

  45. 송재모, 김천응, 이기영, 함광준, 김민수, 이재선. 2009b. 온 도가 멸종위기 식물 왕제비꽃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 하계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243-244. 

  46. 환경부. 2006. 제 3차 전국자연화경조사 지침(수정본). 환경부.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