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 식물 왕제비꽃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Environment of Natural Habitat of an Endangered Plant, Viola websteri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3=no.190, 2010년, pp.267 - 276  

송재모 (강원도 자연환경연구사업소) ,  이기영 (강원도 자연환경연구사업소) ,  김남영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이재선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부 멸종위기 식물과 산림청 희귀식물로 지정된 왕제비꽃의 5개 지역 천연집단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을 조사한 결과 돌배나무-신나무-산뽕나무 우점군락(강원도 홍천군 내면), 신갈나무-물푸레나무-산뽕나무 우점군락(경기도 연인산), 층층나무-당단풍-산뽕나무 우점군락(경기도 유명산), 고로쇠나무-찰피나무(신갈나무)-고추나무 우점군락(경기도 대부산), 일본잎갈나무-고로쇠나무-물푸레나무 우점군락(충북 월악산)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생지의 평균 산도는 pH 5.23, 전기전도도 0.30 ds/m, 유기물함량 12.6%, 전질소함량 0.68%, 유효인산 21.66 ppm양이온치환용량 23.45 cmol(+)/kg로 나타났으며, 치환성양이온의 경우 $Ca^{2+}$ > $Mg^{2+}$ > $K^{2+}$순으로 감소하였다. 왕제비꽃은 둥굴레 및 이질풀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포아풀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본층에서는 대부산 지역이, 초본층에서는 월악산 지역의 종다양성지수가 각각 0.9656, 1.3295로 가장 높았으며, 최대종다양도는 목본층의 경우 홍천군 내면 지역이 1.3010, 초본층의 경우 대부산 지역이 1.6435로 가장 높았다. 균재도의 경우 목본층은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인 월악산 지역(0.5330)을 제외하면 0.6185~0.8947 범위에, 초본층은 0.6984~0.8356 범위에 있었으며, 우점도는 목본층의 경우 월악산 지역(0.4670)을 제외하면 0.1053~0.3815, 초본층은 0.1644~0.3016의 범위에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basic data about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environment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viola websteri in five natural habitats. The dominant species of Hongcheon habitat were Pyrus pyrifolia (tree layer), Morus bombycis (subtree layer), Pyrus pyrifolia (shrub l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까지 왕제비꽃의 서식지 분포현황이나 자생지의 생육환경, 생장특성, 생리·생태적 연구 및 번식 등에 관한 선행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로,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식물들을 서식지 외에서 보호하기 위해 지정해 놓은 ‘서식지 외 보전기관’들의 지정식물에도 왕제비꽃은 빠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부 멸종위기 식물과 산림청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왕제비꽃의 자생지별 식생분포와 종다양성지수 및 토양분석 등을 통하여 인공증식, 자생지의 보호 및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른 제비꽃과 비교하여 왕제비꽃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제비꽃의 종류는 약 50종 정도로 그 중왕제비꽃과 선제비꽃은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이며, 금강제비꽃은 산림청에서 지정한 희귀식물이다. 왕제비꽃의 가장 큰 특징은 원줄기가 곧추서며 그 길이가 40~60 cm로 다른 제비꽃과의 식물에 비해 매우 키가 큰 종이다. 또한 북방계 식물로 남한에서는 자생지의 수가 적고, 면적이 협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식물이다.
왕제비꽃의 보호가 필요한 이유는? 왕제비꽃의 가장 큰 특징은 원줄기가 곧추서며 그 길이가 40~60 cm로 다른 제비꽃과의 식물에 비해 매우 키가 큰 종이다. 또한 북방계 식물로 남한에서는 자생지의 수가 적고, 면적이 협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기존도감에는 경기도 및 백두산 지역의 습지에 자생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최근 경기도 뿐 아니라 강원도(삼척, 춘천) 충북(단양, 보은, 옥천)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다(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10).
왕제비꽃은 언제 피는가?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턱잎은 피침형이고 깃처럼 깊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피며 흰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6 cm이며, 꽃받침 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6 cm이며, 꽃잎은 길이 12~13 mm이다. 삭과는 난상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털이 없다(이창복,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강원도자연환경연구사업소. 2007. 자연환경연구공원 자 연자원조사 보고서. 예문사 pp. 162. 

  2.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wkbik0 (2010. 04. 10) 

  3. 이수욱. 1981. 한국의 삼림토양에 관한 연구(II). 한국임학회지 54:25-35. 

  4.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763. 

  5.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 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6. 한국의 산하. 1999. http://www.koreasanha.net/san/daebu.htm (2009. 10. 05). 

  7.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Journal of Ecology 32: 476-496. 

  8. Greig-Smith, P. 1983. Quantitative Plant Ecology, 3rd ed. Blackwell Scientific Pub. Oxford, U.K. pp. 359. 

  9. Kim J.H. and Keun, K.H. 1991. Analysis of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covariation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0(4): 360-368. 

  10. Ludwig, J.A. and Reynolds, J.F. 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329. 

  11.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168. 

  12. Sorensen, T. 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Detkong Dandske Vidensk. Selsk. Biol. Skr. 5: 1-34. 

  13. Whittaker, R.H. 1975. Communities and ecosystems. Macmillian Publishing Co., Inc., New York. pp. 3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