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고사리삼은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일대는 상록활엽수림 및 관목림, 초지 등의 식생이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이들 지역에 독립적인 소택지 형태로 나타났다.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주변 보다 낮은 함몰구 형태로써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1과 112속 147종 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피자식물이 136 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 내의 식물상에 대한 생활형 분석 결과 주변의 식생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상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자생지환경의 보존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보호구역 설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제주고사리삼은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일대는 상록활엽수림 및 관목림, 초지 등의 식생이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이들 지역에 독립적인 소택지 형태로 나타났다.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주변 보다 낮은 함몰구 형태로써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1과 112속 147종 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피자식물이 136 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 내의 식물상에 대한 생활형 분석 결과 주변의 식생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상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자생지환경의 보존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보호구역 설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The distribution of the Mankyua chejuense was restricted to the northeast region of Jeju Island. It grows in the isolated pit crater-like swamp areas of various extent and shape, where the height is lower compared to the adjacent areas, and the adjacent regions contained a evergreen broad-leaved for...
The distribution of the Mankyua chejuense was restricted to the northeast region of Jeju Island. It grows in the isolated pit crater-like swamp areas of various extent and shape, where the height is lower compared to the adjacent areas, and the adjacent regions contained a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 shrubbery, and a grassland vegetation. It contained 147 taxa of 61 families, 112 genera and 147 species in the habitats. The life form of the flora showed that the habitat of M. chejuense is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others, in particular, the ratio of the Therophytes and the Hydrophytes appeared highly. Preservation of habitat conditions is very important for stable maintenance the flora,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habitats has to be designated a protection area for habitat preservation.
The distribution of the Mankyua chejuense was restricted to the northeast region of Jeju Island. It grows in the isolated pit crater-like swamp areas of various extent and shape, where the height is lower compared to the adjacent areas, and the adjacent regions contained a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 shrubbery, and a grassland vegetation. It contained 147 taxa of 61 families, 112 genera and 147 species in the habitats. The life form of the flora showed that the habitat of M. chejuense is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others, in particular, the ratio of the Therophytes and the Hydrophytes appeared highly. Preservation of habitat conditions is very important for stable maintenance the flora,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habitats has to be designated a protection area for habitat preserv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고사리삼의 자생지에 대한 분포범위를 밝히고, 자생지 내의 식물상 정리 및 분석을 통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제주고사리삼에 대한 연구 및 보호방안 마련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제주고사리삼의 분포 범위에 대한 조사는 제주도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2005년부터 7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제주고사리삼의 지상부가 출현하는 8월에서부터 이듬해 3월까지 실시하였다. 확인된 자생지는 GPS를 이용하여 지리좌표를 기록하였고, 자생지의 입지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자생지 주변의 식물군락과 자생지 주요 식물군락을 기록하였으며, 자생지의 물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고도, 자생지의 규모, 깊이, 암석노출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자생지의 식물상 조사는 2006년 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제주고사리삼의 분포가 확인된 소택지 형태의 자생지 내에 출현하는 전체 식물을 기록하고, 채집된 확증표본은 제주대학교 표본관(JNUB)에 보관하였다. 기록된 식물 목록은 자생지의 식물구계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환경부의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2007)에 따라 구분하였으며(환경부, 2007), 생활형분석을 실시하였다(이, 1996).
제주고사리삼의 분포 범위에 대한 조사는 제주도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2005년부터 7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제주고사리삼의 지상부가 출현하는 8월에서부터 이듬해 3월까지 실시하였다. 확인된 자생지는 GPS를 이용하여 지리좌표를 기록하였고, 자생지의 입지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자생지 주변의 식물군락과 자생지 주요 식물군락을 기록하였으며, 자생지의 물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고도, 자생지의 규모, 깊이, 암석노출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이론/모형
자생지의 식물상 조사는 2006년 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제주고사리삼의 분포가 확인된 소택지 형태의 자생지 내에 출현하는 전체 식물을 기록하고, 채집된 확증표본은 제주대학교 표본관(JNUB)에 보관하였다. 기록된 식물 목록은 자생지의 식물구계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환경부의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2007)에 따라 구분하였으며(환경부, 2007), 생활형분석을 실시하였다(이, 1996).
성능/효과
본 조사에서 제주고사리삼이 분포하는 자생지는 총 104지점이 확인되었으며, 제주도의 북동부의 일부 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1). 제주고사리삼이 확인된 조천읍 선흘리, 구좌읍 동복리, 김녕리 등은 행정구역상 서로 인접하고 있는 지역으로써 이 일대의 동서 약 5.
1). 제주고사리삼이 확인된 조천읍 선흘리, 구좌읍 동복리, 김녕리 등은 행정구역상 서로 인접하고 있는 지역으로써 이 일대의 동서 약 5.7 ㎞, 남북 약 4 ㎞ 범위 내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주고사리삼의 자생지는 해발 약 200 m 이내에 소택지 형태를 갖추고 있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나타났다. 지형적으로는 주변 환경보다 낮은 함몰구와 유사한 형태로 깊이는 약 0.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에 분포하는 식물은 61과 112속 147종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이를 분류군에 따라 살펴보면, 양치식물은 4과 9속 11종으로 가는쇠고사리, 쇠고비, 홍지네고사리 등 난대성양치식물이 분포하였다.
). 이를 분류군에 따라 살펴보면, 양치식물은 4과 9속 11종으로 가는쇠고사리, 쇠고비, 홍지네고사리 등 난대성양치식물이 분포하였다. 피자식물은 57과 103속 136종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쌍자엽식물이 103종으로 전체 출현식물의 70.
이를 분류군에 따라 살펴보면, 양치식물은 4과 9속 11종으로 가는쇠고사리, 쇠고비, 홍지네고사리 등 난대성양치식물이 분포하였다. 피자식물은 57과 103속 136종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쌍자엽식물이 103종으로 전체 출현식물의 70.1 %를 차지하였다. 각 과에 따른 종의 구성은 사초과(14분류군)가 가장 많았으며, 마디풀과(11분류군), 벼과(9분류군), 장미과(7분류군), 면마과(6분류군), 현삼과(6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5분류군), 제비꽃과(5분류군) 국화과(5분류군), 백합과(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1 %를 차지하였다. 각 과에 따른 종의 구성은 사초과(14분류군)가 가장 많았으며, 마디풀과(11분류군), 벼과(9분류군), 장미과(7분류군), 면마과(6분류군), 현삼과(6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5분류군), 제비꽃과(5분류군) 국화과(5분류군), 백합과(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특히, 백서향나무는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종으로써 오랫동안 무단채취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자생지의 대규모 개발, 산림벌채 등에 의해 야생에서의 멸종할 위험도가 높다고 평가된(김 등, 2008) 종으로 자생지 내에서 드물게 확인되었다. I 등급 식물은 쇠고비(Cyrtomium fortunei J. Sm.), 홍지네고사리(Dryopteris erythrosora (Eaton) O. Kuntze),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C. Prel)등 15종이 조사되어 총 26과 31속 32종으로 전체 출현 종의 21.8%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자생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현삼과 선개불알풀(Veronica arvensis L.), 큰개불알풀(Veronica persica Poir.), 국화과 애기망초(Conyza parva Cronquist), 망초(Erigeron canadensis L.) 등 2 과 2 속 4종으로 일부 자생지에서 드물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대한 군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생활형의 분석 결과는 일년생식물(Th: Therophytes, 20.4%)과 수생식물(HH: Hydrophytes, 16.3%)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형 및 소형 지상식물(M: Mega and Microphanerophytes 15.6%), 반지중식물(H: Hemicrytophytes, 15.0%), 저목식물(N: Nanophanerophytes, 12.2%), 지중식물(G: Geophytes, 11.6%)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이처럼,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것은 이 일대가 제주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연 강수량이 많으며, 또한 강우 시 자생지가 일정 기간 동안 물이 고여 있기 때문으로써, 이러한 자생지의 독특한 입지환경은 좁은잎미꾸리낚시(Persicaria praetermissa (Hook.
둘째, 개발 지 내의 자생지를 현장에서 보호하는 방안 역시 개발 시 나타나는 분진 및 토사의 자생지로의 유입으로 제주고사리삼 개체의 감소 및 소멸을 일으킬 수밖에 없으며, 직접적인 소멸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적절한 생육조건을 갖지 못할 경우 향후 개체의 번식 및 생존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어 본질적인 보호방안은 되지 못한다. 셋째, 제주고사리삼의 희소성 등으로 인해 최근 들어 무분별한 채취가 이루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개체의 크기가 매우 작아 간단한 도구만으로도 채취할 수 있어 더욱 쉽게 행해지고 있다.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주변 보다 낮은 함몰구 형태로써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1과 112속 147종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피자식물이 136 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 내의 식물상에 대한 생활형 분석 결과 주변의 식생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1과 112속 147종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피자식물이 136 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 내의 식물상에 대한 생활형 분석 결과 주변의 식생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상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자생지환경의 보존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보호구역 설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후속연구
본 조사에서 제주고사리삼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자생지의 환경과 매우 유사한 곳이 주변 지역에서 다수 확인되었으며, 이들 지역에 대한 추가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많은 자생지가 확인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입지조건이 유사한 지역은 향후 제주고사리삼이 이주가 가능한 잠재자생지로써의 가치 뿐 아니라, 앞으로 제주고사리삼의 복원과 증식을 위한 적합한 장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조사에서 제주고사리삼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자생지의 환경과 매우 유사한 곳이 주변 지역에서 다수 확인되었으며, 이들 지역에 대한 추가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많은 자생지가 확인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입지조건이 유사한 지역은 향후 제주고사리삼이 이주가 가능한 잠재자생지로써의 가치 뿐 아니라, 앞으로 제주고사리삼의 복원과 증식을 위한 적합한 장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이 개발의 대상이 되면서 많은 자생지가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이식된 개체가 정상적으로 생장과 번식을 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둘째, 개발 지 내의 자생지를 현장에서 보호하는 방안 역시 개발 시 나타나는 분진 및 토사의 자생지로의 유입으로 제주고사리삼 개체의 감소 및 소멸을 일으킬 수밖에 없으며, 직접적인 소멸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적절한 생육조건을 갖지 못할 경우 향후 개체의 번식 및 생존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어 본질적인 보호방안은 되지 못한다. 셋째, 제주고사리삼의 희소성 등으로 인해 최근 들어 무분별한 채취가 이루지고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고사리삼은 어떤 식물인가?
H. Kim)은 최근에 새롭게 보고된 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의 신속, 신종으로서, 고사리삼과 내에서의 진화양상에 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등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식물이다(Sun et al., 2001; Sun, 2002).
제주고사리삼의 분포 지역은 어떠한가?
제주고사리삼은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일대는 상록활엽수림 및 관목림, 초지 등의 식생이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이들 지역에 독립적인 소택지 형태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의 식생 분포는 어떠한가?
제주고사리삼은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일대는 상록활엽수림 및 관목림, 초지 등의 식생이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이들 지역에 독립적인 소택지 형태로 나타났다.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주변 보다 낮은 함몰구 형태로써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17)
Koh, J.-G., M.-O. Moon, and C.-S. Kim. 2008. Flora of Baengnokdam Crater and Dongsuak Crater of Mt. Hall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and Environmental Design (1):1-11.(in Korean)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1.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Kim, C.-H. 2004. Conservation Status of the Endemic Fern Mankyayua Chejuense(Ophioglossaceae) on Cheju Island, Republic of Korea. Oryx 38:2 217-219.
Raunkiaer C. 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harendon Press. p.632.
Kim, C.-S., J.-G. Koh, M.-O. Moon, G.-P. Song, H.-J. Hyun, K.-M. Song and M.-H. Kim. 2007. Flora and Life Form spectrum of Hallasan Natural Reserve,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11): 1257-1269.(in Korean)
Sun, B.-Y. 2002. Characteristics of fern flora of Korea with emphasis on the endemic genus Mankyua(Ophioglossaceae) from Cheju Island, Korea. First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 Hungary Academy of Science Bilateral Symposium Proceedings 1: 62-6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