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의 생장 형태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
Growth Pattern and Phenology of 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1, 2014년, pp.95 - 101  

현화자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문명옥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  최형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김찬수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cm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 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잎은 10월까지 생장을 마치고 이후 성숙된 포자낭에서 포자가 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1월부터 잎의 노화가 시작되어 이듬해 2월이 되면 대부분의 포자엽과 영양엽이 노화되고 4월 이후에는 잎 전체가 시들어 없어졌다. 이와 같이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육기간은 7월에서부터 이듬해 4월까지 10개월이었으며, 노화의 시기는 자생지 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자생지의 미세 환경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ttern of growth and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which belong to the Ophioglossaceae family. M. chejuense asexually reproduced using rhizomes, and a clone of the species grew up to 52 cm based on root gr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제주고사리삼의 포자나 근경을 이용한 번식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고사리삼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지하부의 생장 형태와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 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치식물의 생활사는 어떤 것으로 구성되는가? 양치식물의 생활사(life cycle)는 포자, 배우체, 수정란, 어린 개체 및 성숙한 포자체 등의 생활환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포자를 이용한 유성생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양치식물의 생활사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양치식물의 유성생식 과정 에서의 해부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Sheffiled and Bell, 1987)를 비롯하여 최근에는 종의 보존을 위한 개체 증식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Anderson and Cariveau, 2004).
제주고사리삼 어떻게 번식하는가?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cm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 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언제부터 노화가 시작이 되는가?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잎은 10월까지 생장을 마치고 이후 성숙된 포자낭에서 포자가 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1월부터 잎의 노화가 시작되어 이듬해 2월이 되면 대부분의 포자엽과 영양엽이 노화되고 4월 이후에는 잎 전체가 시들어 없어졌다. 이와 같이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육기간은 7월에서부터 이듬해 4월까지 10개월이었으며, 노화의 시기는 자생지 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erson, D.G. and D. Cariveau. 2004. Botrychium eco W.H. Wagner (reflected grapefern): a technical conservation assessment. [online]. USDA Forest Service, Mountain Region. 1-55. 

  2. Arens, N.C. 2001. Variation in performance of the tree fern Cyathea caracasana (Cyatheaceae) across a successional mosaic in an andean cloud forest. Am. J. Bot. 88(3):545-551. 

  3. Chiou, W.-L., J.-C. Lin and J.-Y. Wang. 2001. Phenology of Cibotium taiwanense (Dicksoniaceae). Taiwan J. For. Sci. 16(4):209-215. 

  4. Goswami, H. K. 2007. Biology of Ophioglossum L. Bionature 27(1&2):1-173. 

  5. Hong, S.S. 1993. Vascular meristem and secondary growth in the rhizome of Botrychium ternatum. Phytomorphology 34(3,4):251-260. 

  6. Hyeon, H.-J., C.-H. Kang, K.-M. Song, M.-O. Moon, G.-P. Song and M.-H. Kim. 2010. Flora and the conditions of Mankyua chejuense habitats. Korean J. Plant Res. 23(4):350- 359 (in Korean). 

  7. Hyeon, H.-J., M.-O. Moon and M.-H. Kim 2011.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Mankyua chejuense habitats. Korean J. Plant Res. 24(4):359-403 (in Korean). 

  8. Johnson-Groh, C. L. and J. M. Lee. 2002. Phenology and demography of two species of Botrychium (Ophioglossaceae). Am. J. Bot. 89(10):1624-1633.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http://www.kma.go.kr/ 

  10. Lee, P.-H., Y.-M. Huang and W.-L. Chiou. 2008. The Phenology of Osmunda clytoniana L. in the Tataka area, Central Taiwan. Taiwan J. For. Sci. 23(1):71-79. 

  11. Lee, P.-H., T.-T. Lin and W.-L. Chiou. 2009. Phenology of 16 species of ferns in a subtropical forest of northeastern Taiwan. J. Plant Res. 122:61-67. 

  12. Lee, P.-H., W.-L. Chiou and Y.-M. Haung. 2009. Phenology of three Cyanthea (Cyatheaceae) ferns in Northern Taiwan. Taiwan J. For. Sci. 24(4):233-242. 

  13. McVeigh, I. 1937. Vegetative reproduction of the fern sporophyte. The Botanical Review 3(9):457-497. 

  14. Sato, T. 1982. Phenology and wintering capacity of sporophytes and gametophytes of ferns native to Northern Japan. Oecologia (Berl) 55:53-61. 

  15. Sato, T. 1985. Comparative life history of aspidiaceous ferns in Northern Japan with reference to fertility during sporophyte development in relation to habitats. Bot Mag Tokyo 98:371-381. 

  16. Sharpe, N.M. 1997. Leaf growth and demography of the rheophytic fern Thelypteris angustifolia (Willdenow) Proctor in Puerto Rican rainforest. Plant Ecol. 130:203-212. 

  17. Sheffield, E. and P. R. Bell. 1987. Current studies of the pteridophyte life cyle. The Botanical Review 53:442-490. 

  18. Singh, A.P., S. Mishra, S. Cupta, S.K. Behera and P.B. Khare. 2009. Studies on the genus Ophioglossum L. in Pachmarhi Biosphere Reserve, Madhya Pradesh-Indea. Taiwania 54(4): 353-364 

  19. Smith, A.R., K.M. Pryer, E. Schuettpetz, P. Korall, H. Schneider and P.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3):705-731. 

  20. Strandberg, J.O. 2003. Seasonal variations in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leatehrleaf fern leaves. Ann. Appl. Biol. 143:235-243 

  21. Sun, B.-Y., M.-H. Kim, C.-H. Kim and C.-W. Park. 2001. Mankyua (Ophioglossaceae): A new fern genus from Cheju Island, Korea. Taxon 50:1019-1024. 

  22. Sun, B.-Y., T.G. Baek, Y.-D. Ki and C.S. Kim. 2009. Phy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with special emphasis on genus Mankyua. Korean J. Pl. Taxon. 39(3):135-14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