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산 처리 숙성홍어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nges in Fermented Skate (Raja kenojei) Treated with Organic Acids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4 = no.212, 2010년, pp.438 - 444  

김형주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어지현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  김선재 (전남대학교 식품수산생명의학부)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숙성홍어에 3, 5, 7% 초산 및 구연산을 처리한 후 $4^{\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기산 처리에 의한 홍어육의 색소 침출 또는 미오글로빈산화에 의해 육색의 변화가 발생하였고, 홍어육 단백질의 응고를 초래하여 조직의 경도가 증가하였다. 유기산의 농도가 진할수록 TMA 함량은 감소하였고, 홍어 특유의 향미를 나타내는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저장 3일 째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이는 숙성홍어에 유기산을 처리함으로써, 어류 특유의 비린내 뿐만 아니라, 홍어 특유의 이취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저장 6일 째 부터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다시 증가하였는데, 이는 숙성홍어가 저장 중에도 지속적으로 요소를 분해하여 암모니아를 생성시키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숙성홍어에 7% 구연산을 처리하는 것이 홍어의 이취를 감소시켜 현대인의 기호에 부합할 것이라고 생각되며, 관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rmented skate has a unique ammonia-like flavor. The flavor is preferred by a few lovers of skate muscle, while women and young people may be sensitive to the odor. Organic acids were used to reduce the ammonia-like odor in fermented skate an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erme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영양 및 기능성을 지닌 숙성홍어를 섭취하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에 맞추고자, 숙성홍어 이취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암모니아취를 저감하기 위해 숙성홍어의 육에 유기산을 처리하여, 이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어가 주로 어획되는 해역은? 홍어(Raja kenojei)는 연골, 저서성 어류로써 대부분의 전 세계 해역에 분포하고 있으며(1), 한국의 남서해와 동중국해, 일본 중부이남 해역 등에서 주로 어획되고 있다. 홍어는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즐겨 애용하는 전통 식품으로, 숙성홍어의 영양성과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홍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홍어의 연골에 다량 함유된 성분은? 홍어에는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고 성장 발달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타우린과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그리고 에이코사펜타노익산(EPA), 도코사헥사노익산(DHA)와 같은 오메가 지방산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2). 또한, 홍어의 연골에는 뮤코다당 단백질인 콘드로이친 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관절염,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홍어의 육에는 요소와 트리메틸옥사이드(TMAO)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은 홍어의 숙성 기간 중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각각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TMA)을 발생시킨다(3).
홍어의 육에 함유되어 있으며, 홍어의 숙성 기간 중 효소에 의해 분해가 되어 암모니아나 TMA를 발생시키는 성분은? 또한, 홍어의 연골에는 뮤코다당 단백질인 콘드로이친 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관절염,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홍어의 육에는 요소와 트리메틸옥사이드(TMAO)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은 홍어의 숙성 기간 중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각각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TMA)을 발생시킨다(3). 이 때 생성된 암모니아는 위산을 중화시키거나 장의 잡균을 제거하고 체내에서 유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지만(4), 암모니아나 TMA와 같은 홍어의 강한 이취는 일부 홍어를 즐겨먹는 소비자를 제외한 냄새에 민감한 젊은 층이나 현대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지 않지 않은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 SH, Lee BD, An H, Eun JB. Kenojeinin I, antimicrobial peptide isolated from the skin of the fermented skate, Raja kenojei. Peptides 26: 581-587 (2005) 

  2. Cho HS, Kim K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lices of skate Raja kenoje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214-220 (2008) 

  3. Smith CP, Wright PA.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elasmo-branch urea transporter. J. Am. Physiol. 45: 622-626 (1999) 

  4. Lee EJ, Seo JE, Lee JK, Oh SW, Kim YJ. Microbi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eady-to-eat skate in Korean market. J. Food Hyg. Saf. 23: 137-141 (2008) 

  5. Linda JH, Larry RB, Theresa MK, Thomas EW, Charles HT. Efficacy and reproducibility of a produce wash in killing Salmonella on the surface of tomatoes assessed with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produce sanitizers. Food Protect. 64: 1477-1482 (2001) 

  6. Ubonrat S, Romanee S, Vichaya N. An alternative freshness index method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ed abalone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LWT-Food Sci. Technol. 42: 343-349 (2009) 

  7. Kim JH, Yoo JS, Lee CH, Kim SY, Lee SK. Quality properties of soybean pastes made from meju with mold producing protease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7-14 (2006) 

  8. Cho EJ. Changes of the quality during storage of Raja kenojei meat. Kyungsung University. MS thesis, Busan, Korea (1994) 

  9. Choi MR, Yoo EJ, Lim HS.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kate. Korean J. Life Sci. 13: 675-683 (2003) 

  10. Kim KH, Kim CR. Physical and chemical evaluations of refrigerated flatfish treated with organic acids. Korean J. Food Nutr. (1998) 

  11. Masniyom P, Benjama O. Effect of lactic, acetic, and citric acids on quality changes of refrigerated green mussel, Perna viridis (Linnaeus, 1758).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9: 1123-1134 (2007) 

  12. Mendonca AF, Molins RA, Kraft AA, Walker HW.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changes in fresh vaccum-packaged pork treated with organic acids and salts. J. Food Sci. 54: 18-21 (1989) 

  13. Lin KW, Chuang CH. Effectiveness of dipping with phosphate, lactate, and acetic acid solutions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pork loin chop. J. Food Sci. 66: 494-499 (2001) 

  14. Forrester PN, Prinyawiwatkul W, Godber JS, Plhak LC. Treatment of catfish fillets with citric acid causes reduction of 2-methylisoborneol, but not musty flavor. J. Food Sci. 67: 2615-2618 (2006) 

  15. Woolthuis CHJ, Mossel DAA, Logtestijn JGV, Kruijf JM, Smulders FJM.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porcine liver with lactic acid and hot water. J. Food Protect. 47: 220-226 (1984) 

  16. Arganosa GC, Marriott NG. Organic acids as tenderizers of collagen in restructured beef. J. Food Sci. 54: 1173-1176 (1989) 

  17. Ahmed J, Ramaswamy HS, Raghavan GSV. Dielectric properties of soybean protein isolate dispersions as a function of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pH. LWT-Food Sci. Technol. 41: 71-81 (2008) 

  18. Connell JJ. Methods of assessing and selecting for quality. pp. 122-150 In: Control of Fish Quality (3rd ed). Fishing News Books, Oxford, UK (1990) 

  19. Ahn JW, Oh KY, Park SY, Lee KH, Kim YH, Kim KH. Characterization of odorous emissions from decaying food samples: A case study on trimethylamine and ammonia. Korean J. Odor Res. Eng. 6: 172-182 (2007) 

  20. Wood CM, Prt P, Wright PA. Ammonia and urea metabolism in relation to gill function and acid-base balance in a marine elasmobranch, the spiny dogfish (Squalus acanthias). J. Exp. Biol. 198: 1545-1558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