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용 식품원료의 Bacillus cereus와 일반세균 모니터링 및 제조공정 중 미생물 품질제어
Monitoring Bacillus cereus and Aerobic Bacteria in Raw Infant Formula and Microbial Quality Control during Manufacturi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4 = no.212, 2010년, pp.494 - 501  

정우영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엄준호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김병조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주인선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김창수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김미라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변정아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박유경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손상혁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이은미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정래석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나미애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육동연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강지연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허옥순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윤민호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 유아용 식품에 주로 사용되는 원료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총 10종(n=20)의 원료 중 B. cereus가 검출된 원료는 2종(n=4, 20%) 이었고, $1.02{\pm}1.36\;\log\;CFU/g$으로 나타났으며, B. cereus가 검출된 원료로는 organic brown rice powder(C사)와 mixed orgarnic vegetable powder(C사) 이었다.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거나 낮게 검출된 원료는 제조공정에 살균, 분무건조, 팽화 및 압출 등의 열처리 공정이 있었다. 각 원료에 대한 일반세균수를 알아보기 위해 10종(n=20) 검사결과 4종(n=8) 검출(40%)되었으며, $3.21{\pm}3.64\log\;CFU/g$으로 나타났다. 원료에서 분리한 미생물 분포를 조사한 결과 총 11종이 분리 되었으며, 분리된 일반세균 중 76%를 차지하는 우점종은 S. paucimobilis, P. fluorescens, R. radiobactor, St. maltophilia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영 유아식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원료 생산공정에 살균 등의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며, 미생물에 오염된 원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생산공정에 드럼건조(drum surface temperature: $100-135^{\circ}C$), 분무건조(inlet air temperature: $135-204^{\circ}C$), 살균(pasteurization, UHT $130-150^{\circ}C$/1-4 sec), 미생물 저감화 방안의 제조공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은 일반세균, 대장균군, B. cereus가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또한, 영 유아용 식품을 제조할 경우 명확한 살균조건을 설정하고, 공정품의 품질평가를 거쳐야만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ce of Bacillus cereus,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in the raw material of infant formulas and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erms of microbial safety. Among ten kinds of raw infant formula material samples (n=20), Bacillus cereus app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ereus의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로부터 분리된 균주들에 대하여 독소 gene 확인시험을 한 결과, 모두 하나 이상의 enterotoxin gene을 보유하였으나, cereulide 생성균의 빈도는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학적 오염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B. cereus, 대장균군, 일반세균수를 조사하였으며, 일반세균을 동정하여 오염균종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유아용 식품과 원료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조사하기 위해 살균(pasteurization), 분무건조(spray dry), 팽화(popping) 및 압출(extrusion) 등의 열처리 여부를 조사하였다.
  • 이를 통해, 국·내외 문헌 및 상용화된 영·유아용 식품 설비 제조업체인 Niro사의 권장 제조공정과 본 연구에 사용된 Infant formula M(H사) 제조사의 미생물 품질관리 방안의 적합성을 비교하여, 미생물 적으로 안전한 영·유아용 식품의 생산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cereus를 측정하였다. 즉, 완제품 Infant formula M(H사)의 제조공정에 대장균군, B. cereus 등에 오염된 원료를 배합, 가공하여 완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용 식품에 대하여 미생물 기준을 어떻게 설정, 관리되고 있는가? 영·유아용 식품은 성인이 섭취하는 식품과는 다르게 국내의 경우 식품공전(2008년,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대장균군(coliforms) 음성, Bacillus cereus는 102 CFU/g 이하로 미생물 기준을 설정, 관리되고 있다. 영·유아는 성인과 달리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세균성 설사나 장염 등에 의해서도 신체적, 경제적 손실이 크게 발생함에 따라 완제품이나 원료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현황을 제어하고 조사할 필요가 있다.
Bacillus cereus은 무엇인가? Bacillus cereus는 토양 및 야채, 곡류, 우유 등 식품 원료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그람양성균으로, 대부분의 식품 가공 처리 과정에서도 생존 가능한 포자 형성균이다(2,3). B.
살균을 통한 병원성 미생물의 제어가 필요하나, 조제분유 제조를 위해 과도한 살균은 제품의 품질저하를 가져온다고 보고된 이유는? Bryan(20)은 조제분유와 이유식에 주요 원료로 사용하는 원유(raw milk)에 결핵(tuberculosis), 브루셀라병(brucellosis), 디프테리아(diphtheria), 성홍열(scarlet fever), Q-열(Q-fever), 위장염(gastroenteritis) 등과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 가능성을 제기하였고, Muytjens 등(21)은 35개 국가에서 생산하는 141개의 조제분유의 52%에서 Enterobacteriaceae를 분리하였다. Park 등(22)은 우유를 UHT(ultra high temperature)살균 후 보존할 경우 포자 형성균 발아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살균을 통한 병원성 미생물의 제어가 필요하나, 조제분유 제조를 위해 과도한 살균은 제품의 품질저하를 가져온다고 보고 하였다(23,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wang JY, Lee JY, Park JH.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otential pathogen monitering for powdered formulas from the local market.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8: 555-561 (2008) 

  2. Kim SJ, Jung JH, Tahk HM, Baek SY, Lee SY. Effect of factors on the sporulation of Bacillus cereus and their thermal resistance. J. Fd. Hyg. Safety 24: 256-261 (2009) 

  3. Ankolekar C, Rahmati T, Labbe RG. Detection of toxigenic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spore in U.S. rice. Int. J. Food Microbiol. 128: 460-466 (2008) 

  4. Kramer JM, Gilbert RJ.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ecies. In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Doyle MP (ed). Marcel Dekker Inc, London, UK, pp. 21-70 (1989) 

  5. Monica ES, Fricker M, Scherer S. Bacillus cereus the causative agent of an emetic type of food-borne illness. Mol. Nutr. Food Res. 48: 479-487 (2004) 

  6. Yeun CH, Song YB, Yoon CY, Jung WY, Cho SY, Kim MG, Song YM, Lee JH, Kang CS, Kuk JH, Bae MS, Kim JH, Joo IS, Kwak IS, Lim CJ, Lee KH, Kim OH.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in food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Annual Report of KFDA, Korea. 11: 70-92 (2007) 

  7. Duc Le H, Dong TC, Lagan NA, Sutherland AD, J.Taylor SM. Cutting, cases of emesis associated with bacterial contamination of an infant breakfast cereal product. Int. J. Food Microbiol. 102: 245-251 (2005) 

  8. Rowan NJ, Anderson JG. Diarrhoeal enterotoxin production by psychrotrophic Bacillus cereus present in reconstitued milk-based infant formulae(MIF). Lett. Appl. Microbiol. 26: 161-165 (1998) 

  9. Sarrias JA, Valero M, Salmeron MC. Enumerati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strains from spanish raw rice. Food Microbiol. 19: 589-595 (2002) 

  10. Reyes JE, Bastias JB, Gutierrez MR, Rodriguez MO.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in dried milk products used by children school feeding program. Food Microbiol. 24: 1-6 (2007) 

  11. Wijnand LM, Dufrenne JB, Rombouts FM, PH in Veld, Leusden FM van. Prevalence of potentially pathogenic Bacillus cereus in food commodities in the netherlands. J. Food Protect. 69: 2587-2594 (2006) 

  12. Park HW, Federici BA. Genetic factors affecting insecticidal crystal protein synthesis in Bacillus thuringiensis. Int. J. Indus. Entomol. 1: 1-7 (2000) 

  13. Choi SY, Cho MS, Kim TH, Kim JS, Park SK, Youn YN, Hong SS, Yu YM. Bioactive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CAB133 isolated from domestic soil. Korean J. Appl. Entomol. 47: 175-184 (2008) 

  14. Hsieh YM, Sheu SJ, Chen YL, Tsen HY. Enterotoxigenic profile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detection of Bacillus cereus group cells and B.cereus strains from foods and food-borne outbreaks. J. Applied microbiol. 87: 481-490 (1999) 

  15. Kim JH, Lee SY, Kim KBWR, Song EJ, Kim AR, Park SM, Han CS, Ahn DH. Antimicrobial activity of electrolyzed alkaline water against spoilage of microorganisms in rice warehous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1-116 (2007) 

  16. Gillian AF, Christopher T, David O.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nol. 34: 1-22 (1999) 

  17. Choi SH, Lee SB, Choi JW. Microbiological Safety of infant formula and baby food. J. Korean Dairy Technol. Sci. 23: 65-71 (2005) 

  18. Vagn Westergaard. 5th. Milk Powder Technology Evaporation and Spray Drying. K. Masters, Niro A/S, Copenhagen, Denmark. pp. 1-337 (2004) 

  19. Jeong SG, Ham JS, Kim DH, Ahn CN, Chae HS, You YM, Kwon IK, Lee SG. Researc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olostrum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s employed.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9: 457-465 (2009) 

  20. Bryan FL. Epidemiology of milk-borne diseases. J. Food Protect. 46: 637 (1983) 

  21. Muytjens HL, van der Roelofs-Willemse H, Jasper GHL. Quality of powdered substitutes for breast milk with regard to members of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J. Clin. Microbiol. 26: 743-746 (1988) 

  22. Park SY, Park JM, Yang JO, Jung HK, Chun HN, Lee BH. Microbial qualities and post-pasteurization contaminations of UHT milk produced in Korea. J. Korean Dairy Technol. Sci. 24: 9-18 (2006) 

  23. Whitney R Mcl. 3rd. Proteins of Milk. Fundamentals of Dairy Chemistry, Van Nostrand-Reinhold, New York, NY, USA, pp. 81-169 (1988) 

  24. Brown RJ. 3rd. Milk Coagulation and Protein Denaturation. Fundamentals of Dairy Chemistry, Van Nostrand-Reinhold, New York, NY, USA, p. 583 (1988) 

  25. Jeon JW, Yun SS, Juhn SL, Chun HN. The current quality control and state of scorched particles in infant formula in Korea. Korean J. Dairy Sci. Technol. 25: 55-60 (2006) 

  26. Keum JS. Pathogenic bacterias in milk and their characteristics. Korean Dairy Technol. 16: 35-43 (1998) 

  27. Shin HW, Lim YH, Lee JK, Kim YJ, Oh SW, Shin CS. Effect of commercial antimicrobial in combination with heat treatment on inactivation of Bacillus cereus spore. Food Sci. Biotechnol. 17: 603-607 (2008) 

  28. Park SI. A study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virus heat treated milk. J. Fd. Hyg. Safety. 10: 19-22 (1995) 

  29. Lee SC, Kim EM, Chang KS. Optimization of fluidized bed agglomeration in the production of weaning food. Food Eng. Progress. 11: 89-95 (2007) 

  30. Cho YS, Jung EY, Lee MK, Yang CY, Shin DB. Surviv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sunshik. J. Fd. Hyg. Safety. 23: 343-347 (2008) 

  31. Choi BK, Park SY, Ha SD, Kum JS, Lee HY, Park JD. Effect of drying methods of rice flour on growth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95-298 (2007) 

  32. Lee MS, Chang DS. Growth rate of Bacillus cereus and heat resistance of its spo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11-15 (1982) 

  33. Woon JH, Lee JY, Lim KJ. Strengthening measures of the hygiene control for infant formula based on milk. Safe Food 2: 5-19 (2007) 

  34. Bae KW, Kim JH, Kim YS, Park JS, Jee YK, Lee KY.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metal components in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during yellow sand phenomena at Taean region in 2003. Tuberculosis Resp. Dis. 58: 167-17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