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설 "혼불" 속 전통음식의 문화적 이해 - 통과의례음식을 중심으로 -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in the Novel "Hon-bool" - Focused on 'rites of passage' Foods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5 no.4, 2010년, pp.416 - 427  

정혜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우나리야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미혜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based on a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the Korean novel. To achieve this, food characteristics related to 'rites of passage' were analyzed in the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work "Hon-bool", which describes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편소설 혼불의 작가는? 여류소설가 최명희(1947~1998)의 장편소설 『혼불』은 1980년부터 쓰기 시작해 1996년에 17년 만에 원고지 1만 2000장 분량의 전10권(5부)으로 완간된 대하소설이다. 『혼불』은 일제강점기인 1930~40년대 전라북도 남원의 한 유서 깊은 가문 ‘매안 이씨’ 문중에서 무너져가는 종가(宗家)를 지키는 종부(宗婦) 3대와, 이씨 문중의 땅을 부치며 살아가는 상민마을 ‘거멍굴’ 사람들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혼불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혼불』은 일제강점기인 1930~40년대 전라북도 남원의 한 유서 깊은 가문 ‘매안 이씨’ 문중에서 무너져가는 종가(宗家)를 지키는 종부(宗婦) 3대와, 이씨 문중의 땅을 부치며 살아가는 상민마을 ‘거멍굴’ 사람들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매안 이씨 가문의 삼대를 이루는 ‘청암 부인’과 그 아들 ‘이기채 부부’, 손자 ‘이강모·허효원 부부’와 거멍굴 천민인 ‘춘복이’ 등의 주요 인물의 삶을 통해 작가 최명희는 한국인의 역사와 정신을 생생하게 표현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수준을 한 차원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Park & Lee 2009).
혼불의 주요 내용은? 여류소설가 최명희(1947~1998)의 장편소설 『혼불』은 1980년부터 쓰기 시작해 1996년에 17년 만에 원고지 1만 2000장 분량의 전10권(5부)으로 완간된 대하소설이다. 『혼불』은 일제강점기인 1930~40년대 전라북도 남원의 한 유서 깊은 가문 ‘매안 이씨’ 문중에서 무너져가는 종가(宗家)를 지키는 종부(宗婦) 3대와, 이씨 문중의 땅을 부치며 살아가는 상민마을 ‘거멍굴’ 사람들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매안 이씨 가문의 삼대를 이루는 ‘청암 부인’과 그 아들 ‘이기채 부부’, 손자 ‘이강모·허효원 부부’와 거멍굴 천민인 ‘춘복이’ 등의 주요 인물의 삶을 통해 작가 최명희는 한국인의 역사와 정신을 생생하게 표현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수준을 한 차원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Park &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ingheogak Lee, Translated by Jeong YW. 1975. 閨閤叢書. Pochinchai. Paju. p 117 

  2. Byeon HY. 2005. The Study of People-oriented Discourse in Honbul, a Long Historical Novel. 現代文學理論硏究, 26(0):127-149 

  3. Choe JS, Park HS. 2009. A Case Study on Storytelling Application of Native Local Fo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4(2):137-145 

  4. Choi HS. 2003. Image culture of digital age. Somyong. Seoul. pp96- 97 

  5. Choi MH. 2009. Hon Bul . Maean. Seoul. 1-10券 

  6. Choi JS, Bae HJ, Kim YC, Park NH, Kim TB, Choi YJ, Choi EY, Park SM, Choi IS. 2008. Nutrition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in Market. Journal of Life Science, 18(3):387-394 

  7. Chung HK. 2009. Korea Cuisine-A Cultural Journey. Itreebook. Seoul. p 117 

  8. Chung HK, Lee JH. 1996. Food of Seoul-Traditional and Contemporary dietary constructions among seoulites-The encounter between nutritional science and anthropology. Seoul laboratory. Seoul. pp 39-42 

  9. Hahm HH. 2009. Local character and its meaning of after giving birth. The presentation collection of historic cultural society's conference, (6):133 

  10. Hong MS (流巖 洪萬選:1643-1715年). 17th-18th. 山林經濟. 山 林經濟 第4券. 治藥.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 jsp 

  11. Kim MH, Chung HK. 2009. A Study on the Food-culture's Property of the Traditional Generation through the Oral Interview.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4(6):613- 630 

  12. Kim YD. 1994. Cultural History of Korea. Milalbook. Seoul. pp 166-220 

  13. Lee EJ, Sung MK. 2001. (Effect of Fiber-Rich Sea Mustard Feeding on AOM-Induced Colon Aberrant Crypt Formation and Colonic Cell Proliferation in Sprague Dawley Ra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0(3): 535-539 

  14. Lee SW. 1985. The cookery cultural history of Korea. Kyomoon-sa. Seoul. p 323 

  15. NRA 2002. Restqurant Industry Forecast. Natl. Reas. Assn. Washington D. C. www. restaurant. org 

  16. Park DB, Lee YW. 2009. The theory of narrative and the folk belief in Honbul. 文學硏究, 28(0):97-130 

  17. Prak SC. 1993. Ethanol oxidation is accelerated by augmentation of malate-aspartate shuttle with aspartate. Korean J. Biochemistry 25(2):137-143 

  18. Park YS. 1999. The discourse's character and Korean identigy in the Hon Bul . The research of modern novel, (11):311-328 

  19. Rolf JS. 1999. The dream society: How the coming shift from information to imagination will transform your business. New York; McGraw-Hill, p 7 

  20. Seoul Cultural Heritage Committee. 1993. The 4'th edition of Seoul's general folk survey-Volume of rite of passage. Seoul. p 281 

  21. Van Gennep, Arnold. Chun KS translation. 1994. The Rites of passage. Eulyoo Moonwhasa. Seoul. p 41 

  22. Seo Geung (徐兢). Around 1123年. 高麗圖經. 宣和奉使高麗圖經 第23券. 雜俗2.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 jsp 

  23. Yu JH, Han MS. 1997. Analysis of The Rite of Passage and Costume in Novel, HON-BU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5(2):169-180 

  24. Yoon SS. 1999. The food-life cultural history of Korea. Shinkwang. Seoul. pp 449-451 

  25. Yoon SK. 2001. The 3'rd part of Korean general food survey-The table-setting of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ual fomalities.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Seoul. p 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