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설 "토지"에 나타난 경상남도 향토 음식문화
A Study on the Kyungsangnamdo Native Local Food Culture in the Novel "Toji"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6, 2011년, pp.583 - 598  

김미혜 (호서대학교 에코푸드연구소) ,  정혜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outl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in the area of Kyungsangnamdo and its modernization by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novel Toji, which was set in Hadong, Jinjoo in the area of Kyungsangnamdo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yungs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남 하동지역의 호박풀떼기는 무엇으로 만드는가? 경남 하동 지방 역시 지리산자락의 내륙 농촌지역이기 때문에 일반서민들은 팥, 호박 등을 섞어서 걸쭉하고 달콤한 호박풀떼기를 즐겨 만들어 먹었다. 본문에서와 같이 경남 하동지역의 호박풀떼기는 가을걷이가 끝난 후 말려둔 서리 맞은 호박오가리를 가지고 만든다. 경상북도 칠곡군에는 섣달 16일에 호박으로 죽을 끓여 먹는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콩국수란 무엇인가? 경상남도는 곡물음식 중에서 국수를 즐기나, 날콩가루를 넣는 칼국수를 좋아한다(Kang 2002). 특히 불린 콩을 삶아 맷돌에 갈아 낸 즙을 차게 해서 국수를 말아먹는 음식인 콩국수는 입맛이 없고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 별미일 뿐 아니라 보양음식이기도 하다. 1800년대 말, 경상북도 상주의 반가에서 필사한 조리서 <시의전서(是議全書)>에도 콩국수와 깻국수가 언급되어 있다.
토지 5부에서 나타나는 일제 말기에 경상남도 지역에서 발달한 된장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다섯째, 『토지』5부(1940년-1945년)에서는 일제 말기 경상남도 지역의 일반적인 음식특성으로 된장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의 발달을 들 수 있다. 경상남도의 풍성한 어패류를 넣은 홍합 된장찌개, 된장 속에 박은 콩잎장아찌, 생된장으로 만든 냉국인 챗국, 미역과 파래로 만든 설치국 등이 그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강인희. 2002.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 서울. p 424 

  2. 국립문화재연구소(NRICH). 2002. 경상남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울. pp 219-985 

  3. 국립문화재연구소(NRICH). 2002. 경상북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울. p 911 

  4. 농촌진흥청(RDA). 2008. 한국의 향토음식 100선.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수원. p 36 

  5. 농촌진흥청(RDA). 2010. 전통 향토음식 용어 사전. 교문사. 수원. pp 155-230 

  6. 민족문화추진회(ITKC). 1989. 고전국역총서43 신증동국여지승람(IV). 민문고. 서울. pp 181-185 

  7. 박경리. 2010. 토지(土地). 나남. 경기 파주. 전21권 

  8. 박명규. 1995. 토지와 한국 근대사: 사회사적 이해. 솔. 서울. p 126 

  9. 윤숙경 編譯. 1998. 수운잡방, 주찬, 수운잡방(김유. 1552). 신광 출판사. 서울. p 198 

  10. 이성우 編著.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 도문대작(屠門大嚼)(허균. 1611). 수학사. 서울. pp 212-216 

  11. 이성우 編著.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 음식보(飮食譜)(작자미상. 1700년대초). 수학사. 서울. p 316 

  12. 이성우 編著.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 산림경제(山林經濟)(홍만선. 1715). 수학사. 서울. pp 321-351 

  13. 이성우 編著.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 조선무쌍식신요리제 법(이용기. 1924). 수학사. 서울. pp 1670-1736 

  14. 이성우. 1999.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서울. pp 221-267 

  15. 이재선. 2002. 현대소설의 서사시학. 학연사. 서울. p 232 

  16. 이태원. 2004. 현산어보를 찾아서. 자산어보(정약전. 1814) 청어람미디어. 서울. p 271 

  17. 이효지 編著. 2004. 시의전서, 是議全書(작자미상. 1800년대말). 신광출판사. 서울. p 188 

  18. 이효지, 조신호, 정낙원, 차경희 編譯. 2007. 임원십육지-정조지, 林園十六志(서유구. 1827). 교문사. p 340 

  19. 정양완 編譯. 2008. 규합총서, 閨閤叢書(빙허각이씨. 1815). 보진재. 파주. pp 37-38 

  20. 정상박. 1981. 한국구비문학대계 8-4 경남 진주시 진양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1278 

  21. 조동원, 김대식, 이경록, 이상국, 홍기표 共譯. 2005. 고려도경(서긍. 1123). 황소자리. 서울. p 290 

  22. 진주문화원. 2001. 진주의 역사와 문화 :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고장-진주. 진주문화원. 경상남도. p 157 

  23. 최상진 編譯. 2007. 조선의 상식, 조선 상식 문답(최남선. 1946). 두리미디어. 서울. p 95 

  24. 한복려, 한복선, 한복진 編譯. 2004. 다시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 음식디미방(안동장씨. 1670).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pp 86-115 

  25. An SW. 2004. A Study on (The Land) and the Chronotope of the Road.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21: 205-221 

  26. Cho YA. 2003. Study of Space in Park Kyong-ni's novel Toji.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21:287- 326 

  27. Chung TY, Kim MA, Daniel J.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acids isolated from Jindalae flowers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Agric Chem Biotechnol, 39:506-511 

  28. Han O. 1994. Development and prevalence of native local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27(2):15-37 

  29. Hwang GI. 2001. A Specialized stratagem for autonomous community. 地方行政 50(578):91-95 

  30. Kim MH. 2008.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Literature and Painting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 Focused on Five Pansori texts, Korean Customs Poetry, Genre Paintings. Ph. D.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pp 2-3 

  31. Kim MH, Chung HK. 2010. Development on Native Local Food Contents through Literatur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5):639-654 

  32. Kwon DH. 1998. A Comprartive Study on and . MS Thesis. KonKuk University. p 21 

  33. Lee GL. 2006. A study on family ideology reflected on the Park Kyun-Ri's Novel. Ph. 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pp 5-205 

  34. Lee MH. 2008. Post-colonial Feminism Shown in Toji Written by Park Kyeongni: Centered on Nationalism, Culture, and Differance Used as Resistance Consciousness. Thesises on Korean literature, 49:139-162 

  35. Lee MH. 2011. Study on That Created the Creative Culture in Toji by Park Kyung-ree. Korea Council of Humanities & Social Research Institute, 12(1):109-136 

  36. Lee OH, Lee HB, Son JY.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frac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204-210 

  37. Lee SJ. 2005. History of Jinju A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Park Kyong-ni's Toji.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27:95-131 

  38. Lee SJ. 2009. The East Asian Cities in Toji, Criticism on Colonialism and Materialism.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37: 385-413 

  39. Lee ST, Lee YH, Lee HJ, Cho JS, Hoo JS. 2005. Germanium Contents of Soil and Crop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4(1):34-39 

  40. Park EJ. 2006. A Study on the Health Functionalities and Food Development of Bamboo Shoot. Ph. D. Dissertation. Jeonnam University. pp 5-170 

  41. Park HE, Kwon MH, Han HM, Sung HJ, Yang HC. 1998. Effects of the Glycoprotein Isolated from Pteridium aquilinum on the Immune Function of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976-982 

  42. Park JC, Hur JM, Park JG. 2002. Biological activities of Umbelliferae family plants and their bioactive flavonoi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7:30-34 

  43. Shin BB. 2010. Fishery's Situations of Busan.Gyeong-Nam in The Chronicle of Korean Fisheries - Compared with Booklet of Gyeongsangnam Province's Situations (慶尙 南道道勢要寶)). Korea Council of Humanities & Social Research Institute, 11(2):55-83 

  44. Shin SL, Lee CH.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Ostrich Fern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Solvents. Journal of Life Science, 21(1):56-61 

  45. Yang J, Meyers KJ, Heide J, Lui RH. 2004. Varietal differences i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nions. J Agric Food Chem 52:6787-6793 

  46. Yoon MS, Heu MS, Kim JS. 2010.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Amino Acid and Mineral Contents of Commercial Kwamegi. J. Korean Fish. Soc. 43(2):100-108 

  47. Yoon SK. 1994. Study on Native Local Foods in Andong Region. Korean J. Dietary Culture, 9(1):61-69 

  48. http://Jinju.grandculture.ne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