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한시(漢詩)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 기속시(紀俗詩)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Chinese Poetry in the Latterly Chosun Dynasty - Focused on Korean Customs Poetry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2 no.5, 2007년, pp.528 - 543  

김미혜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혜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through the written folk poetries which were described vividly the life customs peculiar to the Nation and so much that were Korean National customs papers written by Chinese poetry -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period. It is used the...

주제어

참고문헌 (24)

  1. 강명관. 2002. 조선후기 한시와 회화의 교섭-풍속화와 기속시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 연구, 30(0):299 

  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한국 민속의 세계 제5권. 창작마을. 서울. p 225 

  3.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조선후기 문집편. 민속원. 서울 

  4. 김경미. 1987. 대보름 풍속시 상원리곡(上元俚曲) 25首에 대하여. 우리문학연구6. 7:144-167 

  5. 김명순. 1994. 조선후기 서울의 풍속 세태를 다룬 기속시 연구. 동방한문학회. 동방한문학. 10:149-150 

  6. 김명순. 1997. 홍석모의 도하세시기속시 연구. 대동한문학회. 대동한문학 9(0): 240-242 

  7. 김명순. 1998. 조수삼의 기속시 연구. 동방한문학회. 동방한문학 14(0): 210-212 

  8. 김명순. 2005. 조선후기 한시의 민풍수용연구. 보고사. 서울. pp 15-23 

  9. 김상홍. 2003. 조선조 한문학의 조명. 이회문화사. 서울. pp461-512 

  10. 김향희, 황춘선. 1991. 한국 절식의 여행실태에 관한 지역별 비교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6(2): 155-173 

  11. 방현아. 1994. 강이천과 한경사. 민족문화사연구, 5(0): 194-224 

  12. 배영희. 1995. 무가에 나타난 수 '구'의 상징성, 한국민속학회, 5(0): 67-92 

  13. 서형주. 1999. 유만공의 세시풍요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pp 1-8 

  14. 오세영, 이헌. 2004. 한국인이 공동체의식과 식문화에 대한 소고.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5):556-565 

  15. 이관성. 2003. 도애 홍석모의 한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pp 115-137 

  16. 이성우. 1985.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서울 

  17. 이정선. 2002. 조선후기 조선풍 한시 연구. 한양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9-11 

  18. 임기중 역주. 유만공 원저. 1993. 우리 세시풍속의 노래. 집문당. 서울. p 269 

  19. 임양순. 1986. 우리나라 절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4): 361-370 

  20. 정혜경. 1996. 서울의 음식문화-영양학과 인류학의 만남. 서울학연구소. 서울. p 48 

  21. 조동일. 2005.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서울. pp 224-232 

  22. 조후종. 1996. 우리나라의 명절음식 문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1(4):547-559 

  23. 최상진. 유승엽. 1994. 한국인과 일본인의'情'에 관한 심리학적 비교 분석. 인문학 연구, 21(0):139-144 

  24. Jeremy MacClancy. 1992. Consuming Culture. Chapmans. London. pp 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