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의 임상경로 개발
Deveolping clinical pathways of acute appendicitis patients in emergency roo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1 no.3, 2010년, pp.427 - 435  

박철용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  김윤년 (계명대학교 내과학교실) ,  최현석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  신아미 (계명대학교 의료정보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의 치료와 검사 항목에 대한 임상경로를 개발하였다. 임상경로 개발을 위해 먼저 Park과 Kim (2010)에 의해 제시된 처방 선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다음에 이렇게 선택된 처방들을 연관성이 있는 처방끼리 묶어서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된 처방 선택 방법은 향상도에 근거하고 있으며 빈도가 높은 처방부터 출발하여 이것과의 향상도가 0.9에 못 미치는 음의 연관성 처방들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처방들에 대해 연관성이 있는 처방들을 묶는 방법도 처방 선택 방법과 비슷하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처방 중 빈도가 높은 처방부터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이것과의 향상도가 1.1을 넘는 처방들을 연관성 있는 처방으로 고려하여 해당 처방 오른쪽에 표시하였다. 따라서 임상경로 그림에는 제일 왼쪽에는 연관성이 낮은 처방들을 빈도순으로 위에서 아래로 배치하고, 제일 왼쪽에 있는 각 처방의 오른쪽에는 이것과 연관성이 높은 처방들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역시 빈도순으로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 clinical pathways for test and medical treatment items of acute appendicitis patients in emergency room. In order to develop the clinical pathways, we first employ the order selection method by Park et al. (2010), and then display the selected orders in such a way that as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단계에서 반복되는 처방이 줄일 수 있는 대표적인 경우를 살펴보기로 하자. 가장 쉬운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 관심을 두는 자료는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의 처방은 치료와 검사 항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치료와 검사 항목 각각에 대해 Park과 Kim (2010)의 처방 선택 방법을 적용하고 이렇게 선택된 처방들을 묶음으로 나타내는 임상경로 그림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치료와 검사 항목 각각의 임상경로 그림에서는 제일 왼쪽에는 연관성이 낮은 처방들이 빈도순으로 위에서 아래로 배치되고, 제일 왼쪽에 있는 처방의 오른쪽에는 이것과 연관성이 높은 처방들이 오른쪽으로 역시 빈도순으로 배치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다시 말해 한 사람에게서 여러 번 처방된 처방 종류보다는 여러 사람에게서 한 번씩 처방된 처방 종류가 더 중요하게 취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확률을 계산할 때는 중복에 상관없이 환자에게 처방되었는지 여부를 사용하였다.
  • 이 소절에서는 Park과 Kim (2010)에 의해 제시된 처방 선택 방법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그 연구에서 관심을 둔 것은 임상경로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치료나 검사 처방들을 골라내는 것이었며, 음의 연관성이 크다는 것이 동시에 처방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 이 소절에서는 앞 소절의 처방 선택 방법에 의해 선택된 처방을 임상경로 그림으로 그리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향상도 값 l.
  • 이 연구는 처방간의 연관성을 동시에 임상경로 그림에서 표시하는 방법을 연구하게 된다. 따라서 빈도순에 기초하여 임상경로를 표시하는 기존 방법과 달리 처방 선택 방법과 임상경로 그림 표시에서 모두 처방간의 연관성을 사용한 이변량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기존연구와 차별화된다.
  • 이 연구에서는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에 적용될 수 있는 임상경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출발점은 Park과 Kim (2010)의 처방 선택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 이 연구에서는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의 치료 및 검사 항목의 임상경로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출발점은 Park과 Kim (2010)의 처방 선택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 9보다 작은, 처방들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렇게 선택된 처방들에 대해 연관성이 높은 처방들을 묶어서 그것들을 임상경로 그림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선택된 처방 중 빈도가 높은 처방부터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이것과의 향상도가 높은, 예를 들어 향상도가 1.
  • 9보다 작은, 처방들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처방들에 대해 이 연구에서는 연관성이 높은 처방들을 묶어서 그것들을 임상경로 그림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선택된 처방 중 처방율이 높은 처방부터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이것과의 향상도가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관성 규칙발견이란 어떤 방법인가? 연관성 규칙발견 (association rule discovery)은 하나의 처방 혹은 거래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항목들의 상호 관련성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최근에도 많이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Park, 2008; Park, 2010).
이 연구에서는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에 적용될 수 있는 임상경로를 개발하기위해 참고한 연구는? 이 연구에서는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에 적용될 수 있는 임상경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출발점은 Park과 Kim (2010)의 처방 선택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그 연구에 의해 빈도가 높은 처방부터 출발하여 이것과의 향상도가 낮은, 예를 들어 향상도가 0.
임상경로란 무엇인가? 임상경로 (clinical pathway)는 사례관리 (case management)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표준화된 도구로서 병원의 입장에서 진료의 질을 유지하면서, 재원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자원은 최소화하며, 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진단에 따라 의료 서비스의 순서와 시점 등을 미리 정해둔 표준화된 진료과정을 뜻하는 임상경로, 과학적 근거와 체계적인 합의 과정에 기초하여 진료하여 진료과정에 필요한 의사결정의 준거를 제시하는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PG) 등의 기법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실제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Zander, 1988; Goodwin, 1992; Heacock과 Brobst, 1994; Adams와 Wilson,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dams, C. E. and Wilson, M. (1995). Enhanced quality through outcome-focused standardized care plans. Journal of Administration Nursing, 25, 27-34. 

  2. Goodwin, D. R. (1992). Critical pathways in home healthcar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2, 35-40. 

  3. Heacock, D. and Brobst, R. A. (1994). A multidiscipinary approach to critical path development: A valuable CQI tool.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8, 38-41. 

  4. Kim, Y. S., Park, J. W. and Kim, G. Y. (2000). The analysis of studies about critical pathway in domestic and abroad-from 1995 to 1999.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7, 156-167. 

  5. Noh, G. O. and Park, K. S. (2000). Critical pathway development for the hysterectomy patients and its applied effec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 234-257. 

  6. Park, C. and Kim, T. Y. (2010). Order selection method for clinical pathway development in acute appendectom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43-50. 

  7. Park, H. C. (2008). The proposition of conditionally pure confidence in association rule min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9, 1141-1151. 

  8. Park, H. C. (2010). Decision process for right association rule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263-270. 

  9. Yoon, D. K., Shin D. G., Kwon, D. S., Choi, B. H., Lee, Y. H., Kim, Y. W., Bae, J. M., Han, H. S., Choi, K. J. and Kim, O. Y. (2000). Clinical pathways for acute appendicitis: Approach for DRG.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58, 115-120. 

  10. Zander, K. (1988). Nursing case management: Resolving the DRG paradox.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3, 503-5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