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청소년의 급성 충수염: 천공과 연관된 인자 및 원인균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actors Associated with Perforation and the Causative Organism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5 no.1, 2018년, pp.1 - 7  

이솔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  권혁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  안수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소아외과) ,  이관섭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영상의학과) ,  김광남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천공성 충수염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하고, 원인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에서 19세 미만에 충수염으로 수술을 진행한 5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입원 당시의 병력청취 기록과 혈액검사, 영상검사, 균 배양검사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569명 중 127명(22%)에서 천공이 확인되었다. 충수염의 천공 비율은 소아기, 학령기, 청소년기에서 각각 50%, 27.8%, 16.8%였다. 높은 C-반응단백질 수치, 충수대변돌 존재가 천공 충수염의 위험인자였다(P<0.001). 24명의 환자에서, 수술 중 복강 내 복막액 또는 충수 주위에 농이 관찰될 때 균 배양검사를 시행하였고, 16명(66%)에서 균이 배양되었다. 가장 많이 배양된 균은 Escherichia coli(n=10)였다. 나머지 균은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spp., Staphylococcus spp.였다. 결론: 5세 이하의 환자에서 충수염의 천공 비율은 50%였고, 천공 비율은 나이가 많을수록 낮았다. 충수염 진단 당시 C-반응단백질 수치가 높거나, 영상검사에서 충수대변돌이 관찰될 때, 천공성 충수염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perforated appendicitis. We also conducted a survey to identify the causative organism. Methods: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4, 569 pediatric patients (322 male) younger than 19 years old who underwent an appendectomy due to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등이 있다5). 본 연구에서는 충수염을 진단받은 18세 이하의 소아 청소년 569명의 나이에 따른 천공 비율 및 천공성 충수염과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고, 수술 중 시행한 균 배양검사를 조사하여 추후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천공 충수염과 연관된 인자는 무엇인가? 이전 연구들에서 발열 유무나13), 증상의 지속 기간14) ,CRP 수치15), 충수대변돌의 존재16)가 천공 충수염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인자라고 알려졌으며, 본 연구에서도 단변량 분석 결과 백혈구 수치, 증상의 지속 기간, CRP 수치, 충수대변돌의 존재가 천공 충수염과 연관된 인자였다. 하지만 교란 변수를 제거하기 위해 시행한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CRP 수치 상승과 충수대변돌의 존재만이 천공 충수염과 연관된 인자였다. CRP 수치는 ROC 분석 결과 예측률(민감도 80%, 특이도 80.
소아에서 충수염이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소아에서 충수염은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기 쉽지 않은 질환이다10). 진단이 어려운 이유로 충수염의 초기에는 상태가 좋고,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신체진찰에서 모호한 소견을 보이며, 정상 검사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이유 등이 있다3). Naiditch 등9)의 연구에서 충수염으로 진단받은 소아 816명을 분석하였는데, 성인과 다르게 소아 충수염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여 이 중 4.
소아 전 연령층에서 천공의 특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환아의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을 통해 충수염을 의심하고, 영상의학적 검사로 진단하나2), 나이가 어린경우 증상이나 신체진찰 소견이 모호하여 천공된 후에 진단되는 경우도 많다. 소아 전 연령층에서 충수염의 천공 비율은 20%–76%로 알려져 있는데3), 천공은 주로 어린 나이에 많이 생기고 주 연령층은 5세 이하이다3). 따라서소아에서 충수염이 의심될 때 위험인자를 예측하고 혈액검사와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충수염의 진단율을 높여, 천공되기 전에 신속하게 충수 절제술을 해서 합병증을 막는것이 중요하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erry JD, Harrison GJ, Kaplan SL, Steinbach WJ, Hotez PJ. Appendicitis and pelvic abscess. In: Cherry JD, editor. Feigin & Cherry's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7th ed. Philadelphia: Saunders Co, 2013:679-89. 

  2. Abou Merhi B, Khalil M, Daoud N. Comparison of Alvarado score evaluation and clinical judgment in acute appendicitis. Med Arch 2014;68:10-3. 

  3. Aiken JJ, Oldham KT. Acute appendicitis. In: Kliegman RM, Nelson WE,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0th ed. Philadelphia: Elsevier, 2016:1887-93. 

  4. Mc Cabe K, Babl FE, Dalton S; Paediatric Research in Emergency Departments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REDICT). Management of children with possible appendicitis: a survey of emergency physician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Emerg Med Australas 2014;26:481-6. 

  5. Chen CY, Chen YC, Pu HN, Tsai CH, Chen WT, Lin CH. Bacteriology of acute appendicitis and its implication for the us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Surg Infect (Larchmt) 2012;13:383-90. 

  6. Adams DH, Fine C, Brooks DC. High-resolution real-time ultrasonography. A new tool in the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Am J Surg 1988;155:93-7. 

  7. Graffeo CS, Counselman FL. Appendicitis. Emerg Med Clin North Am 1996;14:653-71. 

  8. Stefanutti G, Ghirardo V, Gamba P. Inflammatory markers for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are they helpful? J Pediatr Surg 2007;42:773-6. 

  9. Naiditch JA, Lautz TB, Daley S, Pierce MC, Reynolds M. The implications of missed opportunities to diagnose appendicitis in children. Acad Emerg Med 2013;20:592-6. 

  10. Choi JY, Ryoo E, Jo JH, Hann T, Kim SM. Risk factors of delayed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for early detection of acute appendicitis. Korean J Pediatr 2016;59:368-73. 

  11. Horwitz JR, Gursoy M, Jaksic T, Lally KP. Importance of diarrhea as a presenting symptom of appendicitis in very young children. Am J Surg 1997;173:80-2. 

  12. Bansal S, Banever GT, Karrer FM, Partrick DA. Appendicitis in children less than 5 years old: influence of age on presentation and outcome. Am J Surg 2012;204:1031-5. 

  13. Peng YS, Lee HC, Yeung CY, Sheu JC, Wang NL, Tsai YH. Clinical criteria for diagnosing perforated appendix in pediatric patients. Pediatr Emerg Care 2006;22:475-9. 

  14. Ngim CF, Quek KF, Dhanoa A, Khoo JJ, Vellusamy M, Ng CS. Pediatric appendicitis in a developing country: what are the clinical predictors and outcome of perforation? J Trop Pediatr 2014;60:409-14. 

  15. Mathews EK, Griffin RL, Mortellaro V, Beierle EA, Harmon CM, Chen MK, et al. Utility of immature granulocyte percentage in pediatric appendicitis. J Surg Res 2014;190: 230-4. 

  16. Bonadio W, Peloquin P, Brazg J, Scheinbach I, Saunders J, Okpalaji C, et al. Appendicitis in preschool aged children: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erforation outcome. J Pediatr Surg 2015;50:1569-73. 

  17. Hung MH, Lin LH, Chen DF. Clinical manifestations in children with ruptured appendicitis. Pediatr Emerg Care 2012;28:433-5. 

  18. Gladman MA, Knowles CH, Gladman LJ, Payne JG. Intraoperative culture in appendicitis: traditional practice challenged. Ann R Coll Surg Engl 2004;86:196-201. 

  19. Foo FJ, Beckingham IJ, Ahmed I. Intra-operative culture swabs in acute appendicitis: a waste of resources. Surgeon 2008;6:278-81. 

  20. Park KW. Appendicitis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1993; 36:1044-6. 

  21. Chan KW, Lee KH, Mou JW, Cheung ST, Sihoe JD, Tam YH. Evidence-based adjustment of antibiotic in pediatric complicated appendicitis in the era of antibiotic resistance. Pediatr Surg Int 2010;26:157-60. 

  22. Boueil A, Guegan H, Colot J, D'Ortenzio E, Guerrier G. Peritoneal fluid culture and antibiot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perforated appendicitis in a Pacific Island. Asian J Surg 2015;38:242-6. 

  23. Nichols RL. Infections following gastrointestinal surgery: intra-abdominal abscess. Surg Clin North Am 1980;60: 197-212. 

  24. Condon RE. Rational us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in gastrointestinal surgery. Surg Clin North Am 1975;55: 1309-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