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o-MEMS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on Bio-MEMS 원문보기

센서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ensors Society, v.19 no.4, 2010년, pp.259 - 270  

박세광 (경북대학교 IT대학 전기공학과) ,  양주란 (경북대학교 IT대학 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is a technology for the manufacture hyperfine structure, as a micro-sensor and a driving device, by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silicon and polymer. Many study for utilizing the MEMS applications have been performed in variety of fields, such as light devi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Bio-MEMS 분야의 기술 동향과 세계 시장을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멤스 기술의 최근 동향과 세부기술에 대해 소개 하였다. 바이오멤스 기술은 생체 물질을 소형전기기계시스템에서 다루는 융합기술 분야로서 생체물질과 용도, 시스템화 정도 등에 따라 생체물질과 기존의 물리, 화학, 광학적 신호변환기를 조합한 바이오센서, DNA 프로브가 내장된 DNA 칩, 효소나 항체/항원 등과 같은 단백질 칩, 동물/식물 세포를 이용한 세포 칩, 신경세포를 직접 사용한 뉴런 칩과 생체삽 입용 칩, 그리고 시료의 전처리, 생화학반응, 검출, 자료해석 기능까지 소형 집적화 되어 자동 분석기능을 갖는 랩온어칩 등으로 광범위하게 정의 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선 채널을 이용한 FET 방식의 바이오 센서란 무엇인가? 반면 나노선 채널을 이용한 FET 방식의 바이오 센서는 나노선 표면에 결합하는 바이오 물질의 자체 전하에 의해 유발되는 나노선 내부의 전기 전도도 변화를 검출하는 원리를 이용한 비표지 방식이다(Fig. 11).
바이오 멤스 기술은 무엇의 개발을 위한 핵심도구인가? 바이오멤스 기술은 초소형 전기기계시스템 기술이 생물 분야에 응용되는 것으로, 넓은 범위의 개념으로서는 바이오센서, 바이오칩을 총칭한다고 할 수 있다. 바이오 멤스 기술은 DNA 칩, Protein 칩, Cell 칩과 랩온어칩의 바이오칩, 바이오센서 개발 등을 위한 핵심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전기적 감지 기술 중 하나인 전기 화학적 방식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9)[11]와 미국의 Osmetech(clinical microsensors)사(Fig. 10)[12]에서 개발한 DNA 센서 등에 채택되고 있는데, 전기적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신호를 감지, 처리하기 때문에 다수의 센서에 서 동시에 고속의 데이터 샘플링 및 처리가 가능하며 저가 휴대형 측정 장치의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전기화학적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타깃 분자와 프로브 분자 이외에 제 3의 표지물질이 필요하므로 시료의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특히 단백질의 경우, 표지물질로 인해 활성이 저해를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균일한 표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전기화학적 신호가 발생할 수 있는 특정한 반응환경을 요구하므로 DNA, 단백질 등 다양한 형태의 생체물질을 동시에 검출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이성호, “바이오멤스 분야의 응용과 개발동향”, Special Report / BioMEMS, 나노종합팹센터. 

  2. 윤광석, “바이오멤스 및 마이크로 시스템 적용을 위한 3차원 마이크로 유로 제작”, J. Kor. Sensors Soc., vol. 15, no. 5, pp. 357-361, 2006. 

  3. T. Okado “DNA chip 기술”, Life Science & Biotechnology 22, DNA Function Analysis Center Takara Shuzo Co., Ltd. 

  4. 황교선, 김상경, 김태송, “바이오센서”, J. Kor. Sensors Soc., vol. 18, No. 4, pp. 251-262, 2009. 

  5. M.A. Cooper, “Optical biosensors in drug discovery”, Nature Reviews-drug Discovery, vol. 1, pp. 515-528, 2002. 

  6. J. Homla, S.S. Yee, and G. Gauglitz,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s: review”, Sensors and Actuators B, vol. 54, pp. 3-15, 1999. 

  7. A.V. Nabok, A. Tsargorodskaya, A. Holloway, N.F. Starodub, A. Demchenko, and O. Gojster, “Registr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environmental toxins with total internal reflection ellipsometry”, Sensors, Proc. of IEEE, vol. 3, pp.1195-1198, 2004. 

  8. C. Hanel and G. Gauglitz, “Comparison of reflectometric interference spectroscopy withother instruments for label-free optical detection”,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372, pp.91-100, 2002. 

  9. B. Lin, J. Qiu, J. Gerstenmeier, P. Li, H. Pien, J. Pepper, and B. Cunningham, “A label-free optical technique for detecting small molecule interactions”,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vol. 17, pp. 827-834, 2002. 

  10. J.C. Hong, K.-H. Kim, J.-H. Shin, C. Huh, and G. Y. Sung, “Prediction of the limit of detection of an optical resonant reflection biosensor”, Optics Express, vol. 15, no. 14, pp. 8972-8978, 2007. 

  11. F. Hofmann, A. Frey, B. Holzaplf, M. Schienle, C. Paulus, P. Schindler-Bauer, R. Hintsche, E. Nebling, J. Albers, W. Gumbrecht, and R. Thewes, “Passive DNA sensor with gold electrodes fabricated in a CMOS backend process”, In Proc. of the 32nd European Solid-State Device Research Conf., Firenze, Italy, pp. 487-490, 2002. 

  12. http://www.osmetech.com 

  13. Z. Li, Y. Chen, X. Li, T.I. Kamins, K. Nauka, and R.S. Williams, “Sequence-specific label-free DNA sensors based on silicon nanowires”, Nano. Lett., Vol. 4, pp. 245-247, 2004. 

  14. Yuri L. Bunimovich, Y. S. Shin, W.-S. Yeo, M. Amori, G. Kwong, and J. R. Heath, “Quantitative real-time measurements of DNA hybridization with alkylated nonoxidized silicon nanowires in electrolyte solution”, J. Am. Chem. Soc., vol. 128, pp. 16323-16331, 2006. 

  15. Eric Stern, James F. Klemic, D. A. Routenberg, P. N. Wyrembak, D. B. Turner-Evans, A. D. Hamilton, D. A. L.Van, T. M. Fahmy, and M. A. Reed, “Labelfree immunodetection with CMOS-compatible semiconducting nanowires”, Nature, vol. 445, pp. 519-522, 2007. 

  16. Z. Gao, A. Agarwal, A. D. Trigg, N. Singh, C. Fang, C.-H. Tung, Y. Fan, K. D. Buddharaju, and J. Kong, “Silicon nanowire arrays for label-free detection of DNA”, Anal. Chem., vol. 79, pp. 3291-3297, 2007. 

  17. A. S. Kim, C. S. Ah, H. Y. Yu, J.-H. Yang, I.-B. Baek, C.-G. Ahn, C. W. Park, M. S. Jun, and S. J. Lee, “Ultra-sensitive, label-free, and real-time immunodetection using silicon field-effect transistors”, Appl. Phys. Lett., vol. 9, no. 1, p. 103901, 2007. 

  18. 성건용, 박찬우, 김경현, 양종헌, “유비쿼터스 건강관리를 위한 바이오센서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제5호, 2009. 

  19. “Micro news”, The Disruptive Semiconductor Technologies Magazine, 2010. 

  20. “MEMS Trends”, Magazine on news technologies and market, issue no. 1,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