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 o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of Convergence Technologies Specialis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6, 2010년, pp.415 - 428  

이중만 (호서대학교 디지털 비지니스학부) ,  최민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테크노경영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융합기술 분야 연구자들 간의 연구 협력 행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융합기술분야 연구자 1,095명로 구성된 국내 융합기술 연구자 네트워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기술 연구자들은 다른 과학기술분야에 비해 인당 논문 편수가 많아, 융합기술분야에서 새로운 지식 창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높은 생산성에 비해 융합기술연구자 그룹의 상당수가 논문의 공동저작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지 않고 제한된 협력 관계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의 거리가 다른 과학기술분야의 그것에 비해 가깝지만, 삼각형 모양 관계의 공동 연구하는 형태로 발전하지 않고 양자 간의 공동 연구로만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오직 소수의 연구자들의 허브 역할로 연구자들 간의 연결고리가 유지되고 있다. 즉, 국내 융합기술 연구 분야의 협력 관계는 분권형 이라기보다는 집중형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 융합기술 연구자들 간의 협력이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기 위한 기반조성 정책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verging technologies have become a major issue in science policy. This paper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scientific collaboration for convergent technologies among researchers in South Korea, by conduct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ith the data set of 1,095 researchers who have involved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에서의 과학자들 간의 연구 협력이 다른 분야에 비해 논문 당 저자 수에서 월등히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에서의 과학자들 간의 연구 협력은 다른 분야에 비해 논문 당 저자 수에서 월등히 많다. 이것은 이 분야의 연구가 주로 대규모의 공동 실험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분야의 과학자들의 대다수인 88.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최근에는 네트워크 이론이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는데 적용되면서, 과학자들의 연구 협력도 네트워크 형태로 이해되고 분석되고 있다. 네트워크(network)란 노드(node)라고도 일컬어지는 꼭지점 (vertex)과 이들 꼭지점을 연결하는 연결선 (edge)의 집합을 의미한다. 각 꼭지점을 2개 이상의 그룹(예: 남자와 여자)으로 분류해서 다양화하는 경우, 이를 다모드 네트워크라고 한다.
과학 분야 연구자들 간의 협력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과학 분야 연구자들 간의 협력이 증가하는 이유를 연구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의 급격한 증가, 특히 첨단 분야에서의 장비를 완비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하나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1]. 즉, 연구자들 각자가 연구에 필요한 장비를 모두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각자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이 연구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연구자들 간의 협력이 촉진된다는 설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S. Katz and B. R. Martin, "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Vol.26, pp.1-18, 1997. 

  2. G. Melin and O. Persson, "Studying research collaboration using co-authorships," Scientometrics, Vol.36, No.3, pp.363-377, 1996. 

  3. J. W. Grossman and P. D. F. Ion, "On a portion of the well-known collaboration graph," Congress Numerantium, Vol.108, pp.129-131, 1995. 

  4. A. J. Lotka,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cientific productivity," Journal of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 Vol.16, pp.317-323, 1926. 

  5. N. Pravdic and V. Oluic-Vukovic, "Dual approach to multiple authorship in the study of collaboration/ scientific output relationship," Scientometirics, Vol.10, pp.259-280, 1986. 

  6. M. D. Gordon, "A critical reassessment of inferred relations between multiple authorship, scientific collaboration, the production of papers and their acceptance for publication," Scientometrics, Vol.2, pp.193-210, 1980. 

  7. A. E. Nudelman and C. E. Landers, "The failure of 100 divided by 3 to equal 33 $\frac{1}{3}$ ," The American Sociologist, Vol.7, pp.9-11, 1972. 

  8. M. E. J. Newma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plex networks," SIAM Review, Vol.45, pp.167-256, 2003. 

  9. S. Milgram, "The small-world problem," Psychology Today, Vol.1, pp.62-67, 1967. 

  10. M. Newman, “Coauthorship networks and patterns of scientific collabor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101, Suppl.1, pp.5200-5205, 2004. 

  11. M. E. J. Newman, "Ego-centered networks and the ripple effect," Social Networks, Vol.25, pp.83-95, 2003. 

  12. M. Newma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98, No.2, pp.404-409, 2001. 

  13. J. W. Grossman, "The evolution of the mathematical research collaboration graph," Congress Numerantium, Vol.158, pp.202-212, 2002. 

  14. X. Li, Y. Lin, H. Chen, and M. C. Roco, "Worldwide nanotechnology development: a comparative study of USPTO, EPO, and JPO patents (1976-2004),"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Vol.9, No.6, pp.977-1002, 2007. 

  15. X. Li, H. Chen, Y. Dang, Y. Lin, C. A. Larson, and M. C. Roco, "A longitudinal analysis of nanotechnology literature: 1976-2004,"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Vol.10, pp.3-22, 2008. 

  16. 김용학, 윤정로, 조혜선, 김영진, "과학기술 공동 연구의 연결망 구조: 좁은 세상과 위치 효과", 한국사회학, 제41집, 제4호, pp.68-103, 2007. 

  17. 황명호, 안중호, 장정주, "협력 네트워크 패턴에 관한 연구: MIS Quarterly 공저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3권, 제4호, pp.193-20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