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Acoustic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left Palate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5, 2010년, pp.285 - 295  

유영신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언어치료학과) ,  장승진 (LG전자기술원 정보기술연구소) ,  백승재 (관동대학교 명지병원 이비인후과교실) ,  최예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언어치료학과)

초록

소음에너지가 시작되는 주파수 즉, 선행 모음이 끝나는 지점을 절삭주파수라 한다. 본 연구는 구개파열아동과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마찰음과 파찰음의 절삭주파수 값, 후행모음에 따른 절삭주파수 값, 절삭주파수와 비음 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으로 구개파열 진단을 받고, 생활연령이 6세 이상인 아동,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6세 이상 정상아동 각각 6명씩 총 12명이었다. 실험과제는 마찰음 및 파찰음의 무의미음절 환경과 문장 환경(50환경)으로 구성하였다. 구개파열 아동 집단은 정상 아동 집단에 비해 마찰음, 파찰음의 절삭주파수 값이 무의미음절 환경 및 문장 환경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절삭주파수와 비음치 간 상관관계 연구 결과 정상 아동 집단에서는 무의미음절 환경과 문장 환경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개파열 아동 집단에서는 문장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requency in which noise energy is generated, that is, the point where the preceding vowel ends is the cut-off frequency. Thereupon,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cut-off frequencies, cut-off frequencies changed by the following vowel, and cut-off frequencies and nasa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찰소음은 자음의 종류보다는 후행 모음의 영향을 받고[7][12], 마찰음 /ㅅ/과 /ㅆ/의 발화에는 마찰음의 단어 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적 특성을 나타내[8]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무의미음절과 문장 환경에서 후행모음에 따른 절삭주파수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비음치와 절삭주파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구개파열 아동의 절삭주파수 값이 비음치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로 인해 구개파열 아동의 말을 평가, 진단,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찰소음은 자음의 종류보다는 후행 모음의 영향을 받고[7][12], 마찰음 /ㅅ/과 /ㅆ/의 발화에는 마찰음의 단어 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적 특성을 나타내[8]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무의미음절과 문장 환경에서 후행모음에 따른 절삭주파수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비음치와 절삭주파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구개파열 아동의 절삭주파수 값이 비음치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언어치료에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함에 있다. 청지각적으로 정조음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기기적 평가로 측정된 절삭주파수 값은 정상과 비교 되는 오조음의 값을 나타내 줄 수 있을 것이다.
  • 정상적인 조음발달을 보이는 정상 아동과 구개파열 아동 간 마찰음/ㅅ/, /ㅆ/과 파찰음/ㅈ/, /ㅊ/, /ㅉ/의 절삭주파수 값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로 인해 구개파열 아동의 말을 평가, 진단,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찰소음은 자음의 종류보다는 후행 모음의 영향을 받고[7][12], 마찰음 /ㅅ/과 /ㅆ/의 발화에는 마찰음의 단어 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적 특성을 나타내[8]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무의미음절과 문장 환경에서 후행모음에 따른 절삭주파수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 청지각적으로 정조음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기기적 평가로 측정된 절삭주파수 값은 정상과 비교 되는 오조음의 값을 나타내 줄 수 있을 것이다. 정상적인 조음발달을 보이는 정상 아동과 구개파열 아동 간 마찰음/ㅅ/, /ㅆ/과 파찰음/ㅈ/, /ㅊ/, /ㅉ/의 절삭주파수 값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로 인해 구개파열 아동의 말을 평가, 진단,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구개파열 아동 집단과 정상 아동 집단 간 마찰음/ㅅ/, /ㅆ/과 파찰음 /ㅈ/, /ㅊ/, /ㅉ/의 절삭주파수 값에 차이가 있는가?
  • 2. 후행 모음에 따라 구개파열 아동 집단과 정상 아동 집단은 마찰음 /ㅅ/, /ㅆ/과 파찰음 /ㅈ/, /ㅊ/, /ㅉ/의 절삭주파수 값에 차이가 있는가?
  • 3. 구개파열 아동 집단과 정상 아동 집단 간 마찰음/ㅅ/, /ㅆ/과 파찰음 /ㅈ/, /ㅊ/, /ㅉ/의 절삭주파수와 비음치 간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삭주파수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소음에너지가 시작되는 주파수 즉, 선행 모음이 끝나는 지점을 절삭주파수라 한다. 본 연구는 구개파열아동과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마찰음과 파찰음의 절삭주파수 값, 후행모음에 따른 절삭주파수 값, 절삭주파수와 비음 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개파열은 어떤 경우를 말하는가? 구개파열(cleft palate)은 경구개(hard palate)와 연구개(soft palate)에 틈이 있는 것을 말하며[35] 연인두 (velopharynx) 구조와 기능이 불완전하고, 치열 또는 교합(occlusion) 장애들을 동반하는 경우를 말한다[33]. 구개파열 아동은 연인두폐쇄(velopharyngeal closure) 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공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스펙트로그램 상의 마찰 구간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대신에 알고리즘에 의한 절삭주파수 분석으로 마찰음과 파찰음의 마찰 구간의 절삭 주파수를 측정한 이유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스펙트로그램 상의 마찰구간에서 육안으로 확인한 것을 절삭주파수로 정의하였다[9][24][23][13]. 그러나 이러한 육안기반 산출 방법은 판단자간 신뢰도가 너무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에 의한 절삭주파수 분석으로 그 값을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곽동곤, 한경수, 정승아, “교합장치의 장착이 단모음 및 모음/아/에 선행하는 자음의 발음양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구강내과학회지, 제28권, pp.157-171, 2003. 

  2. 김덕원, 송철규, 나동균, 이명호, “포만트 위치비교를 이용한 구개열 환자의 발음분석”, 의공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83-288, 1990. 

  3. 김민정, 심현섭, 최홍식, “음운환경과 검사어 길이가 정상성인의 비음치에 미치는 영향", 언어청각 장애연구, 제5권, 제2호, pp.91-105, 2000. 

  4. 박한상, “한국어 2음절 단어의 시간 구조-모음 간장애음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언어학, 제49권, pp.349-383, 2007. 

  5. 박순복, 이봉원, 신지영, 김기호,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의 변별 지각 단서”, 음성과학, 제4권, 제1호, pp.47-58, 1989. 

  6. 이경희, 이봉원, “한국어 평마찰음과 경마찰음의 음향적 특성-길이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제10권, pp.47-66, 1999. 

  7. 이상찬, 한경수, 이숙향, 오민정, “교합장치의 장착이 마찰음 및 파찰음의 발음형태에 미치는 음향학적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제28권, 제4호, pp.465-480, 2003. 

  8. 이석재, 장재웅, 김태경, 김정아, 장윤자, 성제현, 임수경, 김종덕, “한국인과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마찰음 /ㅅ/와 /ㅆ/ 구분의 음향 단서 분포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언어연구, 제24권, 제2호, pp.261-280, 2008. 

  9. 이호영, "국어 모음과 자음의 음향적 특성", 한국구개열언어연구회, pp.45-54, 2005. 

  10. 이호영, 지민제, 김영송, "동시조음에 의한 변이음들의 음향적 특성", 한글220, 제6권, pp.5-28, 1993. 

  11. 임성은, 심현섭, “과대비성에 대한 비음도와 비음치의 상관관계”, 언어청각장애연구, 제5권, 제1호, pp.209-221, 2000. 

  12. 최창규, 우이형, 박남수, “구개상의 형태 변화가 발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ㅅ/을 중심으로 한 컴퓨터 분석”, 경희치대논문집, 제11권, pp.143-162, 1989. 

  13. 표화영, 이주환, 최성희, 심현섭, 최홍식,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음성과학, 제6권, 제1호, pp.145-161, 1993. 

  14. A. Takayuki, O. Keiko, I. Setsuko, and Y. Yuichi, “Acoustic and perceptual cues of the palatalized articualtion of /s/,” Journal of the Acoustic Society of Japan, Vol.18, No.6, pp.297-304, 1997. 

  15. Allard, W. Jongman, W. Ratree, and W. Serena, “Acoustic characteristic of English fricativ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108, No.3, pp.1252-1263, 2000. 

  16. R. Duane and D. Van, “A factor analysis of the speech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The Cleft Palate Journal, Vol.3, No.2, pp.159-170, 1966. 

  17. R. Duane and D. Van, “Misarticulations of cleft palate children achieving velopharyngeal closure and children with functional speech problems,” The Cleft Palate Jounal, Vol.4, No.1, pp.31-37, 1967. 

  18. T. Estrem and P. Broen, “A. Early speech producions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Jou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32, pp.12-23, 1989. 

  19. H. Y. Grace and D. S. Sigfrid, “Recognition of vowels from information in fricative: perceptual evidence of fricative-vowel coarticula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70, No.4, pp.966-975, 1981. 

  20. J. M. Heinz and K. N. Stevens, “On the properties of voiceless fricative consonants,” The Jou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33, p.589-596, 1961. 

  21. G. W. Hughes and M. Halle, “Spectral properties of fricative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28, No.2, pp.303-310, 1956. 

  22. M. H. John and N. S. Kenneth, “On the properties of voiceless fricative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33, No.5, pp.589-596, 1961. 

  23. A.. Jongman, R. Wayland, and S. C. Wong, “Acoustic characteristics of English fricatives,”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108, No.3, pp.1252-1263, 2000. 

  24. W. Lorin, “Inferring articulatory movement from acoustic properties at fricative-vowels boundari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94, No.3, pp.1881-1881, 1993. 

  25. S. H. Mark and N. O. Ralph. “Effect of realative amplitude of frication on perception of place of articual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94, No.4, pp.2005-2026, 1993. 

  26. W. H. Moore and K. S. Ronald, “Phonetic contexts: their effects on perceived nasality in cleft palate speakers,” The Cleft Palate Journal, Vol.10, No.1, pp.72-83, 1973. 

  27. D. Van,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pressure articulation testing in various contexts for subjects with cleft palat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13, pp.741-754, 1970. 

  28. H. C. William, W. W. Donald, and P. B. Doris, “The effect of cleft palate on oral port constriction during fricative productions,” The Cleft Palate Journal, Vol.11, No.2, pp.95-104, 1974. 

  29. D. Wyatt, J. Sell, A., Russell, K., Harding, and E, Albery, “Cleft palate speech dissected: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and analysis,”British Journal of Plastic Surgery, Vol.49, pp.143-149, 1996. 

  30. 김민정, 배소영, 박창일, 우리말 조음평가, 서울: 휴브알엔씨, 2007. 

  31. 배소영, 임선숙, 이지희, 장혜성, 구문의미이해력검사,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사회복지관, 2004. 

  32. 이경희, 국어 마찰음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33. 이주희, 구개파열 아동의 말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화자요인, 명지대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4. 임운, 조음음성학과 음향음성학, 서울 : 한국문화사, 2007. 

  35. 정언랑, 구개파열 성인의 의사소통 태도와 명료도 간 상관연구, 단국대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6. 조윤영, 조음장애 아동과 정상아동의 마찰음 산출의 음향음성학적 특성비교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7. 하승희,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자음 산출을 위한 연인두 기능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8. A. C. Gimson, An Introduction to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4th ed.), London : Edward Arnold. 181, 1989. 

  39. P. Ladefoged, A coure in phonetics. (4th ed.), new York :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2001. 

  40. J. M. Pickett, The acoustic of speech communication, the fundamental, speech perception theory, and technology. ALLYN and BACON,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