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평서문과 의문문의 음향학적 특성 비교
A study of the prosodic patterns of autism and normal children in the imitating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2 no.2, 2020년, pp.39 - 49  

이진형 (충남대학교 언어병리학과) ,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언어의 운율은 억양, 리듬, 강세로 구성되어 있고 운율 요소는 상호 복합적인 작용을 통하여 언어의 고유한 리듬을 형성한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자연스러운 운율 학습에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의미와 정보 전달에 어려움이 있어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운율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평서문과 의문문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하여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의 운율 특성 차이를 구명하고 어말 길이에 따라 의문문에서의 음도기울기와 청자와의 지각관계를 알아보았다. 7-12세 일반 아동 30명,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언어 평가 후 20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청지각 과제로는 115문장이 사용되었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음도와 강도가 높고, 발화속도가 느리며 음도 기울기가 낮았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평서문과 의문문의 산출에서 음도와 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의문문 1음절에서 평서문과 가장 큰 기울기 차이를 보였으며 5음절 의문문 산출에서 가장 낮은 기울기 값을 보였다. 청지각 평가 결과 청자는 4.3%만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의문문을 의문문으로 지각하였다. 결과적으로 평서문과 의문문 따라말하기에서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음도와 강도가 높고, 발화속도가 느리며, 낮은 음도기울기를 보였다. 이러한 운율패턴 때문에 청자는 의문문을 평서문으로 인식하였고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화용능력이나 다른 자폐적 특징의 결함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이러한 억양 패턴을 확인하였고 운율 개선을 위한 치료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sod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has several abnormal features, including monotonous spee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coustic features between an ASD group and a typically developing (TD) group and within the ASD group. The study also examined audience pe...

주제어

참고문헌 (24)

  1. Baltaxe, C. A. M., & Simmons III, J. Q. (1985). Prosodic development in normal and autistic children. In E. Schopler, & G. B. Mesibov (Eds.), Communication problems in autism. Boston, MA: Springer (pp. 95-25). 

  2. Cutler, A., & Isard, S. (1980). The production of prosody. In B. Butterworth (Ed.), Language production 1 (pp. 245-269). London, UK: Academic Press. 

  3. Cooper. W. E., & Sorensen, J. M. (1981). Fundamental frequency in sentence production. New York, NY: Springer-Verlag. 

  4. Fletcher, E. C. (1976). A comparison of pitch patterns of normal and autistic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CA. 

  5. Fox, W., & Hampton, A. (2008). Stuttering and natural speech processing of semantic and syntactic constraints on verb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1(5), 1058-1071. 

  6. Fosnot, S. M., & Jun, S. A. (1999, August). Prosodic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stuttering or autism during reading and imitation.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pp. 1925-1928). San Francisco, CA. 

  7. Goldfarb, W., Goldfarb, N., Braunstein, P., & Scholl, H. (1972). Speech and language faults of schizophrenia children. Journal of Autism and Childhood Schizophrenia, 2, 219-233. 

  8. Hargrove, P. (1997). Prosodic aspects of language impairment in children.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7(4), 76-83. 

  9. Hale-Haniff, M., & Siegel, G., M. (1981). The effect of context on verbal elicited imita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1), 27-30. 

  10. Kim, H. W. (2004). Prosodic features in high functioning autism children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11. Ko, D. H. (1988). Declarative intonation in Korean: An acoustical study of F0 declin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Lawrence, KS. 

  12. Lee, I. S. (1992). Research on Korean orthography. Seoul, Korea: SNU Press. 

  13. Lee, J. M. (2001).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of children with SLI in sentence repetition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14. Lee, Y. G. (1988). A study of Korean interrogative prosody, Hangeul, 191, 15-38. 

  15. Lim, S. M. (2009). Prosodic control of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children in relation to question-statement contrast. (Master's thesis). Ehwa University, Seoul, Korea. 

  16. Nadig, A., & Shaw, H. (2012). Acoustic and perceptual measurement of expressive prosody in high-functioning autism: Increased pitch range and what it means to listen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2(4), 499-511. 

  17. Paul, R. (1987). Communication. In D. J. Cohen, & F. R. Volkmar (Ed.),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18. Park, E. J. (2003). 4 to 8 year-old children's performance of repeating sentences according to the length and structure of sentenc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19. Pronovost, W., Wakstein, M. P., & Wakstein, D. J. (1966). A longitudinal study of the speech behavior and language comprehension of fourteen children diagnosed atypical or autistic. Exceptional Children, 33(1), 19-26. 

  20. Tager-Flusberg, H., & Thurber, C. (1993). Pauses in the narratives produced by autistic, mentally retarded, and normal children as an index of cognitive demand.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3, 309-322. 

  21. Schwartz, A. H., & Daly, D. A. (1976). Some explicit guidelines for constructing and scoring elicited imitation task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7, 33-41. 

  22. Seong, C. J. (1995).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f the standard current Korean speech rhythm: With respect to its temporal structure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3. Sharkey, S. G., & Folkins, J. W. (1985). Variability of lip and jaw movements in children and ad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eech motor contro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28(1), 8-15. 

  24. Sharda, M., Subhadra, T. P., Sahay, S., Nagaraja, C., Singh, L., Mishra, R., Sen, A., ... Singh, N. C. (2010). Sounds of melody-pitch patterns of speech in autism. Neuroscience Letters, 478(1), 42-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