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술작품을 통한 미술교육: 수학 원리를 중심으로
Art Education through Artwork: Focusing on the Mathematical Princip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4, 2010년, pp.447 - 457  

정경철 (한남대학교 미술교육과)

초록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에 수학 원리가 내재해 있다. 중등학교 학생들이 미술작품에서 이러한 원리를 찾는 일은 중요하다. 하지만,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에 내재한 수학 원리를 찾는 것 자체만의 학생 활동은 미술교육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술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미적 체험과 작품 감상을 통하여 학생들 스스로 미술작품에서 수학 원리를 찾고, 이 원리를 응용한 새로운 작품을 구성하고, 감상하고, 표현하는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수학 원리가 내재한 몇 몇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학생 스스로 미술작품에서 수학 원리를 찾고, 이 원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작품 구성 활동 능력을 기대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수학 원리가 내재한 Escher의 작품을 예로 들어 프로그램에서의 교사활동과 학생활동을 가상적으로 구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hematical principle is present in artwork or architectural building. It is importa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find these mathematical principles in artwork. But it is difficult to achieve original purpose of art education through student activity that only looks for mathematical principl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수학 원리가 내재한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미술 작품(건축물 포함)의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해석하고 그리고 다양한 가치를 판단하고 감상하고, 작품 속에 내재한 수학 원리를 찾아 미술 교육에서 활용 가능성과 관련된 통합적인 접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미술 작품(건축물 포함)에서 수학 원리가 내재한 작품을 선정하고 이러한 작품 속에 내재한 수학 원리와 미술 교과의 통합적 교육 내용 구성의 타당성을 조사한다. 타당성 조사에서는 미술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미적체험, 표현, 감상과 관련한 타당성을 검토하고, 미술 교육과 수학 교육과정 간의 학년별 수준을 준수하고, 본연의 미술 교육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미술 작품 속에서의 수학 원리를 찾고, 이를 미술 교과와 수학 교과를 연결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한다.
  • 본 논문에서는 미술작품, 건축물에서의 수학 원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학생들 스스로 미술작품, 건축물에 내재한 수학 원리를 찾아내는 과정을 통하여 미적 체험이나 작품을 감상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수학 원리를 이용한 미술작품의 산출을 기대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보았다.
  • 본 논문에서는, 미술작품에서 수학 원리를 고찰하고, 이러한 원리나 방법을 활용한 통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 스스로 미술작품 속의 수학 원리를 찾아 포토폴리오를 구성하고, 피드백을 통한 새로운 작품이나 창의적인 작품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미술 교육의 내적인 면과 외적인 면을 고려한 하나의 통합 미술 교육 모델이라 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수학 원리가 내재한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미술 작품(건축물 포함)의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해석하고 그리고 다양한 가치를 판단하고 감상하고, 작품 속에 내재한 수학 원리를 찾아 미술 교육에서 활용 가능성과 관련된 통합적인 접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미술교과와 다른 교과와의 통합적 실천은 다양하게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에 내재한 수학 원리를 발견하는 예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보았다. 이러한 예시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적 체험과 작품의 감상과 표현, 수학 원리를 이용한 미술 작품을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엇을 정다면체라고 하는가? 정다각형은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입체도형이고, 각 꼭지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모두 같은 볼록한 다면체를 정다면체라 한다. 정다면체에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의 다섯 가지가 있다.
수학과의 연관성을 지닌 작품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는 수학적 원리는 여러 시대 걸쳐 작품 속에 나타나 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 1514년 알프레히트 뒤러의 판화 <멜랑콜리아>, 피렌체의 건축가 브루넬레스키(Filippo Brunelleschi, 1377~1446)의 투시화법, 프랙탈과 관련된 작품, 지오데식돔으로 만들어진 건축물 등 다양하다. 고대에서 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예술가들이 수학적 원리를 이용하였다는 것은, 중등교육에서 미술이 수학과 동떨어진 별개의 과목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현실에서 제고해 보아야 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미술활동은 어떤 활동이라고 볼 수 있는가? 그리기와 만들기 같은 미술활동은 조형미를 추구하는 감성적인 창의력과 심미적인 공간감을 요구하는 평면활동이면서도, 도형의 반복적인 배열과 분리, 확대 및 축소와 같은 미술활동은 과학적 원리를 추구하는 논리적인 창의력과 기하학적인 공간감을 요구하는 공간위주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2]. 공간능력은 미술뿐만 아니라 지도, 길 찾기, 기하, 수 측정 및 수학 능력, 동작, 언어, 과학 등의 여러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79호 [별책 13], "미술과 교육과정", 2007. 

  2. 김인숙, 신인숙, "구성주의에 기초한 미술도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지, 15권, 1호, pp.137-161, 2008. 

  3. 류시천, 윤찬종, "에셔(M.C. Escher) 작품의 프랙탈 속성에 관한 연구", 통권 제45호, 제 1호, 2001. 

  4. 송혜영, "미술과 수학을 연계한 감상학습자료 개발: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 양영오, 조동호, "수학의 역사 상.하." 경문사, 2000. 

  6. 유광찬,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1998. 

  7. 임법재, "인체비례론: 고대로부터 르네상스까지", 홍익대학교 출판부, 1980. 

  8. 장경윤, 강문봉, 박경미, "간추린 수학사: 인간, 문명, 수학과의 만남", 경문사, 2002. 

  9. 장효진, "피보나치 수와 황금비를 활용한 교수-학 습지도 자료 개발 연구: 중등수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10. 정은주, "주제 통합에 의한 미술-수학 교과 학습 모형 연구: 애셔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11. 추준호, "카오스 이론과 예술작품의 프랙탈 이미지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12. 채희진, "기하영역에서의 수학 외적 연결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 석사학위논문, 1998. 

  13. A. G. Andrew, "Developing spatial sense-a moving experience."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2, pp.209-293, 1996. 

  14. http://en.wikipedia.org/wiki/M._C._Esch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