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간 건강수준 비교를 위한 표준화율 적용의 적절성 평가: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바탕으로
Assessment of Applicability of Standardized Rates for Health State Comparison Among Areas: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3 no.2, 2010년, pp.174 - 184  

권근용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임도상 (질병관리본부) ,  박은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지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강기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윤아 (질병관리본부) ,  김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조성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shows th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applying standardized rates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CHS) data. Methods: We analyzed 2008 CHS data. In order to obtain the reliability of standardized rates, we calculated z-score and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마지막 제한점은 어떠한 상황에서 어떤 표준화방법을 써야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할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다만 상황에 따른 표준화율의 경향을 파악하여 적용 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알아보았다. 이것은 표준화율 자체의 제한점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시·군·구 단위 단면 연구의 지역별 비교를 위한 표준화율 적용의 적절성을 평가함으로써 연구 및 정책수립을 위한 국가보건통계의 활용성을 높이는 데 있다.
  •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았던 시군구 단위 전국 건강통계의 지역 간비교에 있어서의 적절한 활용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구구조를 통한 표준화율 적용의 적절성 평가에 있어서 외국 연구 사례 적용은 이론적인 바탕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실제적인 적용에서는 한계가 있다.
  • 기존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일치된 견해는 직접표준화가 연령 등 혼란변수를 보정하기 위한 타당한 방법이며, 자료의 한계로 인해 직접표준화로 적절한 비교가 불가능할 경우, 대리지표로서 간접표준화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제를 그대로 받아들이되, 두 가지 표준화 방법의 일치도가 떨어지는 경우를 탐색하여 표준화율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이유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민전체 인구를 표준인구로 활용할 때에 도시지역(서울 및 광역시, 일부 시부)의 두 표준화율은 비교적 신뢰도가 높지만 비도시지역(일부 시부, 군부)의 두 표준화율은 신뢰도가 낮을 수 있다.
  • 75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표준화율의 적용 및 해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구조 차이와 표준화율 신뢰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신뢰도의 측정을 위해 표준화방법에 따라 사분순위가 변하는 지역 수를 계산하였다 (Table 3).
  • 표준화를 위한 대안으로는 적어도 12가지 정도의 방법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타당성이 검증되어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직접표준화와 간접 표준화를 이용하여 [6] 표준화율의 적용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직접표준화와 간접표준화 방법은 다음의 식으로 정의된다 [17].

가설 설정

  • 향후 표준화율의 적절한 해석 및 활용을 위해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 보고서에 적어도 주요 지표에 대해서는 표준화율의 신뢰구간 또는 표준오차(standard error)를 부록에서 추가로 명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두 표준화 율 간의 순위가 일치 하지 않으면 표준화율의 신뢰도가 낮다는 가정 하에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비록 이전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이기는 하나 [7,17,23] 순위의 일치율이 신뢰도를 정확히 반영한다고는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되면서 의무화된 계획의 수립은 무엇인가? 1995년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사업계획 수립이 의무화되었다 [1]. 그러나 비교적 최근까지도 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별 대표통계가 없었으며 국가단위의 보건통계로는 지역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사업계획 수립의 한계는 무엇인가? 1995년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사업계획 수립이 의무화되었다 [1]. 그러나 비교적 최근까지도 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별 대표통계가 없었으며 국가단위의 보건통계로는 지역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2008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 지역사회 건강조사는 지역보건현황을 파악하고 보건사업을 체계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된 것은 언제인가? 1995년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사업계획 수립이 의무화되었다 [1]. 그러나 비교적 최근까지도 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별 대표통계가 없었으며 국가단위의 보건통계로는 지역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KS. Health promotion strategies under regional health planning. Korean J Health Policy Adm 1997; 7(1): 1-31. (Korean) 

  2. Jeong BG, Jung KY, Kim JY, Moon OR, Lee YH. Hong YS,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material deprivation and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of the community residents aged 15-64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 39(1): 46-52. (Korean) 

  3. Lee SI, Kim CW, Moon OR. The possibility of regional health insurance data in blueprinting the local community health plan. Korean J Prev Med 1997; 30(4): 870-883. (Korean) 

  4. Carson CA, Taylor HR, McCARTY DJ, Zimmet P. Agestandardization in epidemiological data. Int J Epidemiol 1994; 23(3): 643-644. 

  5. Fleiss JL. Statistical Methods for Rates and Proportions, 3rd ed.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2003. pp. 627- 647. 

  6. Inskip H, Beral V, Fraser P, Haskey J. Methods for ageadjustment of rates. Stat Med 1983; 2(4): 455-466. 

  7. Julious SA, Nicholl J, George S. Why do we continue to use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 for small area comparisons? J Public Health Med 2001; 23(1): 40-46. 

  8. Kitagawa EM. Standardized comparisons in popoulation research. Demography 1964; 1(1): 296-315. 

  9. Breslow NE, Day NE. Indirect standardization and multiplicative models for rates, with reference to the age adjustment of cancer incidence and relative frequency data. J Chronic Dis 1975; 28(5-6): 289-303. 

  10. Gail M. The analysis of heterogeneity for indirect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 J R Stat Soc Ser A 1978; 141(2): 224-234. 

  11. John WT, Lyle VJ, David RB. The Collected Works of John W. Tukey: Graphics, 5th ed. New Jersey: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 1988. p. 109-122. 

  12. Cressie NA. Statistics for Spatial Data,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991. p. 803-872. 

  13. Curtin LR. A short history of standardization for vital events. Vital Health Stat 1992; 4(29): 11-16. 

  14. Anderson R, Rosenberg H. Age standardization of death rates: Implementation of the year 2000 standard. Natl Vital Stat Rep 1998; 47(3): 1-16, 20. 

  15.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perating System of Community Health Survey: Center for Chronic Disease.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Korean) 

  16. Curtin, LR. Klein RJ. Direct standardization (age-adjusted death rates). Healthy People 2000 Stat Notes 1995; (6): 1- 10. 

  17. Pickle LW, White AA. Effects of the choice of ageadjustment method on maps of death rates. Stat Med 1995; 14(5-7): 615-627. 

  18. Spiegelman M, Marks HH. I. Empirical testing of standards for the age adjustment of death rates by the direct method. Hum Biol 1966; 38(3): 280-292. 

  19. Walter SD, Birnie SE. Mapping mortality and morbidity pattern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Int J Epidemiol 1991; 20(3): 678-689. 

  20. Kim JH, Yoon TH. Comparisons of health inequalities in small areas with using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 41(5): 300-306. (Korean) 

  21. Yule GU. On some points relating to vital statistics, more especially statistics of occupational mortality. J R Stat Soc 1934; 97(1): 1-84. 

  22. Kilpatrick SJ. Mortality comparisons in socio-economic groups. J R Stat Soc, Ser C (Appl Stat) 1963; 12(2): 65-86. 

  23. Rezaeian M, Dunn G, Leger SS, Appleby L. Do hot spots of deprivation predict the rates of suicide within London boroughs? Health Place 2007; 13(4): 886-893. 

  24. Kang YH, Hwang IA, Yun SC, Lee MS, Lee SI, Jo MW, et al. Census population vs. registration population: Which population denominator should be used to calculate geographical mortality.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 38(2): 147-153.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