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보건사회지표를 이용한 시군구 지역 간 건강수준 비교 및 관련 요인 상관관계 분석
A Comparison of Community Health Status by Region and an Investigation of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Indicato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3 no.1, 2012년, pp.31 - 39  

박은옥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mpare community health status by region and to investigate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and social indicat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tatistics of local districts that were provided by KNSO and KCDC. ANOVA and correlation were analy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 농촌 지역 간 건강수준에 대한 비교는 개인을 단위로 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시, 군, 구를 단위로 하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지역사회 사망수준과 건강행태를 비교하고, 지역사회 표준화 사망률과 건강행태, 지역사회 특성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특성과 관련된 변수를 폭넓게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변수 이외에도 다양한 측면의 지역사회특성을 고려하여 건강수준과의 관련성을 탐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 포함하지는 못하였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5년마다 인구주택 총 조사 시에 실시되는 표본조사결과를 활용한다면, 더 다양한 지역특성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 별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시군구 지역의 지역사회 인구집단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지역사회 규모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수준의 차이를 이해하고, 지역사회 특성과 건강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그런데 개인의 건강수준과 관련되는 요인 가운데 건강행위는 건강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시군구 단위에서 실시하는 지역건강조사결과 강행에 보고된 지역별 건강행위실천율을 지역사회지표에 포함하여 시군구 간 지역사회특성, 건강행태 및 사망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지역사회특성과 건강행태, 사망 지표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 별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시군구 지역의 지역사회 인구집단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지역사회 규모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수준의 차이를 이해하고, 지역사회 특성과 건강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PEP=percentage of elderly population (%); 11. PFI=percentage of financial independence (%); 12. NBH=no. of beds in hospitals per 1,000 population;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은 매우 복잡한 경로를 측정해야 하는 이유는? 둘째는 지역 자체의 효과로, 건강수준과 관련이 있는 지역의 인프라가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Khang, 2007). 건강은 생의학적 요인과 행위 요인, 사회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등이 직간접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경로를 측정해야 하지만, 지역사회와 거주 지역이 건강수준에 직 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연구들이 있다(Gehlert, Mininger, & Cipriano-Steffens, 2011; Marmot, 2004). Diea-Roux 등(2001)은 교육수준이나 소득, 직업, 생물학적 특징, 개인의 건강위험행위들을 통제한 후에도 낙후된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생활수준이 나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더 크다고 보고하였다(Diez-Roux et al.
지역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는 무엇 때문인가? , 2006; Shin, Lee, & Chu, 2009; Takano & Nakamura, 2001). 지역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는 지리적 위치 그 자체가 독립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기보다는 개인의 건강과 관련되는 의료서비스 및 여러 사회구조적 조건과 상호작용하여 결과적으로 건강수준에 차이가 있게 된다(Lee, 2005).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사회 건강수준 간 관계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인구집단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는? 사망률이나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에 있어서 개인 수준의 특성만으로 지역의 사망수준이나 건강수준의 차이를 모두 설명할 수 없다. 지역사회가 지닌 지역적 특성이 그 지역의 사망수준과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사회 건강수준 간 관계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인구집단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Takano & Nakamura,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g, H. K. (1990). The study on the impact of communitylevel characteristics on the mortality lev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Diez-Roux, A. V., Merkin, S. S., Arnett, D., Chambless, L. Massing M., Nieto, F. J., et al. (2001). Neighborhood of residence and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5 , 99-106. 

  3. Gehlert, S., Mininger, C., & Cipriano-Steffens, T. M. (2011). Placing biology in breast cancer disparities research. In L. M.Burton, S. P. Kemp, M. Leung, S. A. Matthews & D. T. Takeuchi (Eds.), Communities, neighborhoods, and health (pp. 57-88). New York: Springer. 

  4. Gikas, A., Merkouris, P., Skliros, E., & Sotiropoulos, A. (2007). Urban-rural differences in smoking prevalence in Greec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7 (4), 211-213. 

  5. Gregory, I. N. (2009). Comparisons between geographies of mortality and deprivation from the 1900s and 2001: Spatial analysis of census and mortality statistics. British Medical Journal, 339. Retrieved September 1, 2011, from http:// www.bmj.com/content/339/bmj.b3454.abstract 

  6. Haynes, R., & Gale, S. (2000). Deprivation and poor health in rural areas: Inequalities hidden by averages. Health & Place, 6, 275-285. 

  7. Idris, B. I., Giskes, K., Borrell, C., Benach, J., Costa, G., Federico, B., et al. (2007). Higher smoking prevalence in urban compared to non-urban areas: Time trends in six European countries. Health & Place, 13 , 702-712. 

  8. Jeong, B, G., Jung, K. Y., Kim. J. Y., Moon, O. R., Lee, Y. H., Hong, Y. S., et al.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material deprivation and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of the communities residents aged 15-64 in Korea. Preventive Medicine Publication Health, 39, 46-52. 

  9. Khang, Y. H. (2007). Different logivity by village. In C. G. Lee (Ed.), Chasing health inequality in Korea: A report for making it social issues (pp. 67-79). Seoul: Publishing Company Meem. 

  10. Kim, C. Y. (2004). Socio-economic status, health, and health risk behavior.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92 , 18-25. 

  11. Kim, H. Y. (2010). Community inequalities in health: The contextual effect of social capita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4 (2), 59-92. 

  12. Kim, J. H., & Yoon, T. H. (2008). Comparison of health inequalities in small areas with using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 in Korea. Preventive Medicine Publication Health, 41, 300-306. 

  13. Lee, M. S. (2005).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adults. Korean Sociological Journal, 39 (6), 183-209. 

  14. Lee, S. G. (2002). Social contextual effects on regional mortality and self-rated health sta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Marmot, M. (2004). Social causes of social inequalities in health. In S. Anand, F. Peter & A. Sen (Eds.), Public health, ethics, and equity (pp 37-6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6. Massey, D. S. (2004). Segregation and stratification: A biosocial perspective. Du Bois Review, 1 , 7-25.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Taking a glance into community health survey in Korea, 2009. Seoul: Author. 

  18. Parks, S. E., Housemann, R. A., & Brownson, R. C. (2003). Differenti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urban and rural adults of various socioeconomic background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7 , 29-35. 

  19. Robert, S. A. (1998). Community-level socioeconomic status effects on adult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9, 18-37. 

  20. Ross, C. E., & Mirowsky, J. (2001). Neighborhood disadvantage, disorder,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2 , 258-276. 

  21. Shi, L., Starfield, B., Kennedy, B., & Kawachi, I. (1999). Income inequality, primary care, and health indicators.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48 , 275-284.. 

  22. Shin, H., Lee, S., & Chu, J. M. (2009). Development of composite deprivation index for Korea: The correlation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Preventive Medicine Publication Health, 42 , 392-402. 

  23. Statistics Korea. (2010a). Explanation on staistics (about statistics on causes of death). Retrived January 12, 2012, from http:// kosis.kr/metadata/main.jsp?c_id1999038 

  24. Statistics Korea. (2010b).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Retrived January 12, 2012, from http://kosis.kr/index/index. jsp 

  25. Takano, T., & Nakamura, K. (2001). An analysis of health levels and various indicators of urban environments for healthy cities project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5 , 263-2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