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합레진 수복시, 일반적으로 연마, 산부식, 수세 및 건조 단계를 거쳐 저점도 레진을 적용하는 재접착 술식을 통해 예상되는 수축간극을 봉쇄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재접착제 적용 이전에 물이나 잔사가 간극을 매워버릴 수 있어 그 효과가 의심된다. 본 실험에서는 연마 단계 이전, 즉 복합레진을 중합한 직후에 재접착제를 도포한다면 변연누출을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35개의 발거한 대구치에서 협면과 설면에 교합면 변연은 법랑질에, 치은측 변연은 상아질에 위치하는 5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은 Z250 (3M ESPE, USA)로 충전하였고, 접착제로는 $Adper^{TM}$ Single Bond 2 (3M ESPE)을 사용하였다. 재접착제로는 Biscover LV (Bisco, USA) 레진 전색제와 ScotchBond Multi-purpose system (3M ESPE)의 접착제, 및 점도가 낮은 실험용 접착제를 연마 전 또는 일련의 연마 및 산부식 후 수복물의 변연에 적용하였다. 2% 메틸렌 블루 용액에 네 시간 동안 침적한 뒤 교합측 및 치은측 변연에서의 색소 침투 깊이를 광학 입체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재접착제의 점도와 변연미세누출의 상관관계도 평가하였다. 재접착 술식, 재접착제, 및 변연의 위치, 그 각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재접착 술식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는 세 가지 재접착제를 사용한 재접착군에 비해 치은측 변연에서 미세누출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p < 0.05). 대조군과 재접착군의 미세누출의 차이는 교합측 변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연마 및 산부식 후 치은변연에 재접착제를 적용한 경우에서 약한 음의 상관관계(r = -0.326, p = 0.041)를 보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접착제의 점도와 미세누출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a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n anticipating contraction gap is usually tried to seal with low-viscosity resin after successive polishing, etching, rinsing and drying steps, which as a whole is called rebonding procedure. However, the gap might already have been filled with water or debr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재접착제의 점도와 성분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Biscover LV 레진 전색제와 Scotch Bond Multipurpose adhesive, Experimental adhesive를 사용하였다. 낮은 점도와 특수한 성분의 Biscover LV 레진 전색제를 사용함으로써 재접착 용도로 특수화된 제품의 미세 누출 감소 효과를 상아질 접착제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4세대 상아질 접착제인 Scotch Bond Multipurpose adhesive를 사용하였고, Scotch Bond Multipurpose adhesive와 비슷한 조성이면서 점도는 낮은 Experimental adhesive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복합레진 충전 후 산부식 처리를 하지 않고 레진 전색제를 적용하는 것이 마무리 및 연마 후 산부식 처리를 하고 레진 전색제를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미세누출 감소 효과가 더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레진 전색제 사용 시 복합레진 수복물 변연부의 연마 및 산부식 처리 유무에 따른 미세누출 감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레진 전색제의 점도와 성분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재접착 용도로 상품화된 Biscover LV 표면 전색제와 Scotch Bond Multipurpose adhesive, Experimental adhesive를 적용하여 복합레진 수복물에 대한 미세누출 감소 효과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1. 교합면측 변연 미세누출 깊이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또한 마무리 및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입자들이 미세간극을 막아 전색제의 침투를 막을 수도 있을 것이다.17)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복합레진 충전 후 마무리 및 연마 전에, 산부식 처리를 하지 않고 레진 전색제를 적용하는 것이 레진 전색제의 침투를 도와 궁극적으로 미세누출을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복합레진 충전 후 산부식 처리를 하지 않고 레진 전색제를 적용하는 것이 마무리 및 연마 후 산부식 처리를 하고 레진 전색제를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미세누출 감소 효과가 더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레진 전색제 사용 시 복합레진 수복물 변연부의 연마 및 산부식 처리 유무에 따른 미세누출 감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레진의 문제점인 미세간극은 구강 내에서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2-4) 그렇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복합레진은 중합 시 수축으로 인하여 치아와 수복물 계면에서 미세한 간극이 발생된다.5) 이러한 미세간극은 구강 내에서 산, 효소, 이온 등을 침투시킴으로써 미세누출을 일으키고, 술 후 과민증, 수복물 변연부의 변색, 재발성 우식증, 치수염증과 같은 임상적 실패를 야기한다.6-8)
복합레진의 특성은? 복합레진은 우수한 심미성과 기계적 물성, 높은 용해저항성으로 인해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에서 널리 이용된다.2-4) 그렇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복합레진은 중합 시 수축으로 인하여 치아와 수복물 계면에서 미세한 간극이 발생된다.
복합레진에서 미세간극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복합레진은 우수한 심미성과 기계적 물성, 높은 용해저항성으로 인해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에서 널리 이용된다.2-4) 그렇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복합레진은 중합 시 수축으로 인하여 치아와 수복물 계면에서 미세한 간극이 발생된다.5) 이러한 미세간극은 구강 내에서 산, 효소, 이온 등을 침투시킴으로써 미세누출을 일으키고, 술 후 과민증, 수복물 변연부의 변색, 재발성 우식증, 치수염증과 같은 임상적 실패를 야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uonocore MG. A simple method of increasing the adhesion of acrylic filling materials to enamel surfaces. J Dent Res 34(6):849-853, 1955. 

  2. Burgess JO. Dental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root surface caries. Am J Dent 8(6):342-351, 1995. 

  3. Ferracane JL. Using posterior composites appropriately. J Am Dent Assoc 123(7):53-58, 1992. 

  4. Htang A, Ohsawa M, Matsumoto H. Fatigue resistance of composite restorations: effect of filler content. Dent Mater 11(1):7-13, 1995. 

  5. Tjan AH, Tan DE. Microleakage at gingival margins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rebonded with various low-viscosity resin systems. Quintessence Int 22(7):565-573, 1991. 

  6. Munro GA, Hilton TJ, Hermesch CB. In vitro microleakage of etched and rebonded Class 5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Oper Dent 21(5):203-208, 1996. 

  7. Ramos RP, Chimello DT, Chinelatti MA, Dibb RG, Mondelli J. Effect of three surface sealants on marginal sealing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Oper Dent 25(5):448-453, 2000. 

  8. Reid JS, Saunders WP, Chen YY. The effect of bonding agent and fissure sealant on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Quintessence Int 22(4):295-298, 1991. 

  9. Kubo S, Yokota H, Hayashi Y. Effect of low-viscosity resin-based composite on the microleakage of cervical restorations. Am J Dent 16(4):244-248, 2003. 

  10. Torstenson B, Oden A. Effects of bonding agent types and incremental techniques on minimizing contraction gaps around resin composites. Dent Mater 5(4):218-223, 1989. 

  11. McLean JW, Powis DR, Prosser HJ, Wilson AD. The use of glass-ionomer cements in bonding composite resins to dentine. Br Dent J 158(11):410-414, 1985. 

  12. Marais JT, Dannheimer MF, Germishuys PJ, Borman JW. Depth of cure of light-cured composite resin with light-curing units of different intensity. J Dent Assoc S Afr 52(6):403-407, 1997. 

  13. Unterbrink GL, Muessner R. Influence of light intensity on two restorative systems. J Dent 23(3):183-189, 1995. 

  14. Jayasooriya PR, Pereira PN, Nikaido T, Burrow MF, Tagami J. The effect of a “resin coating”on the interfacial adaptation of composite inlays. Oper Dent 28(1):28-35, 2003. 

  15. Pameijer CH, Wendt SL, Jr. Microleakage of “surfacesealing” materials. Am J Dent 8(1):43-46, 1995. 

  16. May KN, Jr., Swift EJ, Jr., Wilder AD, Jr., Futrell SC. Effect of a surface sealant on microleakage of Class Vrestorations. Am J Dent 9(3):133-136, 1996. 

  17. Torstenson B, Brannstrom M, Mattsson B. A new method for sealing composite resin contraction gaps in lined cavities. J Dent Res 64(3):450-453, 1985. 

  18. Vankerckhoven H, Lambrechts P, van Beylen M, Davidson CL, Vanherle G. Unreacted methacrylate groups on the surfaces of composite resins. J Dent Res 61(6):791-795, 1982. 

  19. Koo BJ, Shin DH. The effect of C-factor and volume on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with enamel margins. J Kor Acad Cons Dent 31(6):452-459, 2006. 

  20. Judes H EI, Lieberman R, Serebro L Rebonding as a method of controlling marginal microleakage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 NewYork Journal of Dentistry 52:137-143, 1982. 

  21. Cho YG, Kim MH, Lee MG. Effect of resin sealants on the reduction of microleakage in composite restorations. J Kor Acad Cons Dent 31(4):282-289, 2006. 

  22. Dickinson GL, Leinfelder KF. Assessing the long-term effect of a surface penetrating sealant. J Am Dent Assoc 124(7):68-72, 1993. 

  23. Erhardt MC, Magalhaes CS, Serra MC. The effect of rebonding on microleakage of class V aesthetic restorations. Oper Dent 27(4):396-402, 2002. 

  24. Estafan D, Dussetschleger FL, Miuo LE, Kondamani J. Class V lesions restored with flowable composite and added surface sealing resin. Gen Dent 48(1):78-80, 2000. 

  25. Ramos RP, Chinelatti MA, Chimello DT, Dibb RG. Assessing microleakage in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rebonded with a surface sealant and three low-viscosity resin systems. Quintessence Int 33(6):450-456, 2002. 

  26. Prati C, Valdre G, Mongiorgi R, Bertocchi G, Savino A. Changes in enamel and dentin interface around composite class V restorations. J Dent Res 71:1014, 1992. 

  27. Staninec M, Mochizuki A, Tanizaki K, Jukuda K, Tsuchitani Y. Interfacial space, marginal leakage, and enamel cracks around composite resins. Oper Dent 11(1):14-24, 1986. 

  28. Owens BM, Johnson WW. Effect of new generation surface sealants on the marginal permeability of Class V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Oper Dent 31(4):481-488, 2006. 

  29. Cho YG, Choi HY. Effect of BisconverTM on the marginal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J Kor Acad Cons Dent 30(5):355-362, 2005. 

  30. Pashley DH. Clinical considerations of microleakage. J Endod 16(2):70-77, 1990. 

  31. Barone-Smith CE, Dickens SH. Effect of surface sealing on the microleakage of bonded restorations. J Dent Res 78:155 abst #394, 1999. 

  32. Hansen EK, Asmussen E. Marginal adaptation of posterior resins: effect of dentin-bonding agent and hygroscopic expansion. Dent Mater 5(2):122-126, 1989. 

  33. Yu XY, Wieczkowski G, Davis EL, Joynt RB. Influence of finishing technique on microleakage. J Esthet Dent 2(5):142-144, 1990. 

  34. Garcia-Godoy F, Malone WF. Microleakage of posterior composite restorations after rebonding. Compendium 8(8):606-609,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