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A Study on Surveying and Improving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10년, pp.64 - 73  

조용현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  이용광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에서 관리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호지역의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통합관리를 위한 관리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관리계획지침과 사후평가지침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은 지정 후 제대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계획 이 필요하다. 둘째, 관리계획 수립 시 관리기관은 관련 이행당사자와의 원활한 협의를 통한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관리계획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정책 및 법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넷째, 보호지역의 중복지정 및 관리의 다원화에 따른 관리의 비효율성을 감안하여 통합관리전담기구를 신설해야 한다. 다섯째, 효과적 통합관리를 위해 관리계획지침과 사후평가지침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리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관리계획과 사후평가 부분의 지침에 대한 검증과 국가 차원에서 관련 법 제정, 정책 등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protected area management in Korea. To this end, the current protected areas appointed in the nation and their management has been examined, and the problems of management have been identified by means of a field research of protected areas and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다. 관리계획의 이행 정도를 파악하여 미진하거나 부족한 부분의 원인을 찾고, 이에 따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그리고 원안과 현재와의 차이가 심할 경우에는 원안이 무리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 관리계획을 수정해야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관리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IUCN에서 추천하는 보호지역 카테고리 유형별 관리 지침과 생태계 접근법(Ecosystem Approach)을 참조하여 보호지역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실정에 맞는 통합적인 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 확인한다. 보호지역의 관리를 위해 투입된 자원과 이로 인해 생성된 결과의 양적, 질적 변화를 기록하고 각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 실행된 관리계획과 이행에 관한 사항도 함께 자세히 기록한다. 기록을 자세히 해야 하는 이유는 현재의 관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기 쉽고 현재 쟁점이 되고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쉽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지역의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먼저 보호지역의 관리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와 대비하여 조사결과로 파악된 현재 국내의 관리 실태와 생태계 접근법과의 격차를 줄이는 방안으로 관리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요체는 관리과정의 확립과 국내에 시급히 필요한 주요 이행프로그램의 내용이라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7) 국립공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2. 남정호, 육근형(2007) AHP를 이용한 연안 해양보호구역 지정기준 개선 연구. 환경정책연구 6(3): 57-89. 

  3. 박재현, 조현서(2004) 북한산국립공원 이용객의 계곡내 인공구조물에 대한 의식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21-35. 

  4. 배인기, 정병문(2003) 자연공원의 사회적 수용능력 분석: 국립공원과 도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6): 79-97. 

  5. 변무섭(2003)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유역의 식생구조 분석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3): 25-33. 

  6. 서응철, 심규원, 이주희(2002) 탐방객 특성에 따른 국립공원 시설물의 중요도/성취도 연구: 가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1): 63-71. 

  7. 안종만, 조계중(2002) 공원관련 여가활동에 대한 탐방객의 중요도-성취도평가: 지리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1(5): 609-623. 

  8. 엄안흠, 조용찬, 신현철, 이창석(2004) 속리산 국립공원의 경관 및 식생 분석과 그 보존을 위한 생태학적 제안. 한국생태학회지 27(3): 185-192. 

  9. 우경덕, 심규원, 한상영, 이주희(2003) 북한산국립공윈 탐방객의 시공간 이용분포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4): 53-59. 

  10. 이관규, 이정환(2009) 야생동.식물보호구역 관리지침.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09-113. 

  11. 이돈재(2003) 국립공원 탐방객의 월별 계절변동 분석. 한국관광학회지 27(2): 155-175. 

  12. 이주희, 성규원(2002) 국립공원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4): 75-79. 

  13. 이주희, 한상렬(2003) 국립공원 휴양수요의 계절변동에 의한 분류. 한국임학회지 92(3): 199-207. 

  14. 임연진, 한상열, 이주희(2002) 산악형 국립공원의 방문객 만족도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2): 61-67. 

  15. 장갑수(2008) 산림기반 야생동식물보호구역 조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1): 62-69. 

  16. 장갑수, 김경대, 이우성(2007) 충청남도 야생동식물보호구역 지정에 관한 기초연구: 조류 포유류를 중심으로. 충남발전연구원. 

  17. 전재경(2007) 보호구역 관리모델의 응용을 위한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8. 조태동(2004) 보전적 측면에서 바라본 한국과 일본의 국립공원제도 비교. 한국환경과학회지 13(10): 871-882. 

  19. 최태영, 박종화(2005) 설악산 국립공원의 산양 보호구역 설정기법에 관한 연구: 서식지 적합성 모형, 서식지 수용능력, 최소 존속 개체군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조경학회지 32(6): 23-35. 

  20. 허정호, 이재호, 윤성택, 최선규(2004) 계룡산 국립공원지형경관 자원의 유형과 분포. 국토연구 42: 3-15. 

  21. 허학영(2006)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적응형 관리를 위한 효과성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허화영, 김현, 이영주, 김성일(2007) 우리나라 보호지역에 IUCN 카테고리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연구 6(2): 71-96. 

  23. 허학영, 박문규(2007) 생물다양성협약의 보호지역 실행프로그램 이행 상황 고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환경정책연구 6(1): 1-40. 

  24. Hockings M. S. Stolton. and N. Dudley(2000) Evaluating Effectiveness. IUCN. 

  25. IUCN(1998) WCPA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2. 

  26. IUCN(1999) WCPA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3. 

  27. IUCN(2000) WCPA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5. 

  28. IUCN(2002) WCPA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8. 

  29. IUCN(2003a) Guidelines for Management Planning of Protected Areas 1-12. 

  30. IUCN(2003b) Using the Ecosystem Approach to Implement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31. IUCN(2004a) The Ecosystem Approach: Five Steps to Implementation. 

  32. IUCN(2004b) Guidelines for Management Planning of Protected Areas. WCP A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 10. 

  33. IUCN(2006a) WCPA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 12. 

  34. IUCN(2006b) WCPA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 13. 

  35. IUCN(2006c) Evaluating Effectiveness: A framework for assessing management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2nd ed.), WCPA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 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