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웨스트 첼시 개발과 하이라인의 역할에서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성격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ojec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10년, pp.84 - 97  

윤희연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90년대 대두된 조경계의 이론이며, 요점은 도시 설계의 과정에서 랜드스케이프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오픈 스페이스 전략이 설계 과정을 이끄는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도시 설계에 가져온 형태적인 영향과 해석이 없다는 점은 비판의 여지를 남겨 왔다. 이론의 제의자들이 많이 언급하고 예로써 사용했던 프로젝트는 규모가 큰 대형 공원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오픈 스페이스는 도시와의 관계를 밀접하게 제시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라인(High Line)이 대표하는 특수한 소형 공원이 지닌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하이라인이 이 이론에 입각한 프로젝트라 간주될 수 있음을 보인 뒤, 이가 웨스트 첼시 재정비 과정에서 도시 설계에 작은 스케일의 변화를 주도했음을 결론 내렸다. 따라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이론은 현재 대형 공원에 국한되어 있던 연구 대상을 소형 공원으로도 넓혀야 하며, 작은 스케일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에서 그 형태적 영향력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하이라인과 같은 소형 공원이 주변 지역과 주고받는 영향에 대한 관찰과 정량적, 형태적 분석 과정이 뒤따라야 하며, 이로써 도출된 구체적인 전략이 있어야만 새로운 도시 설계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완전성을 지닌 이론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cape urbanism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the urban design theories of the past century, emphasizing landscape as an organizing principle, integrating the medium of different elements of the urban environment. However, ongoing criticism of the theory's lack of consideration for physical urb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礼 경제적인 요소들이 자연 생태적인 요소와 동일한 무게로 고려되었으며, 이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형태의 공간으로 하이라인이 탄생했용한다. 또한 지역 다양성을 아우르고 다양^을 생성하는 프로그램들이 채택된 추후 이용 행태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
  •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소형 공원을 대변하는 하이라인 (Hgh Line*이 가진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 특성을 살펴본후, 웨스트 첼시 재정비와 하이라인 공원화(Special West Chel­ 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이하 '웨스트 첼시 재정비'라 한다)에서 나타난 하이라인의 역할을 분석한 후, 이 이론이 도시 설계 이론으로써 가지는 위상, 그리고 한계점에 대해 논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소형 공원의 하나인 하이라인을 현상학적 관찰 작은 스케일에서 분석함을 통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인 요소를 관찰하기 적절한 대상이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이론이 도시 설계 이론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하이라인이 모든 소형 공원을 대표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에 있음은 한계로 작용할 수 있으나.

가설 설정

  • 1. 오픈스페이스가 도시 형태 구조를 결정짓는 요소로 작용하는가? - 도시 변화를 적극적으로 주도하는 역할

  • 2. 오픈 스페이스가 도시의 변화, 진화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가? - 도시 변화에 따라 적극적으로 반응하되, 무리가 없으며 도시에 더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모델인가?

  • 3) 오픈 스페이스가 사회 기반 시설과 도시를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가? - 후기 산업시대의 잔재를 도시 개발의 촉매로서 재탄생시켰는가?

  • 3. 오픈 스페이스가 사회 기반 시설과 도시를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가? - 후기 산업시대의 잔재를 도시 개발의 촉매로서 재탄생시켰는가?

  • 4. 생태적 프로세스가 도시설계, 생성을 주도하는 인자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아연, 고미진, 오형석(2006)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으로 본 춘천 G5 국제 설계 경기 출품작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3): 120-138. 

  2. 박근현, 배정한(2008) 행정 중심 복합 도시 중앙 녹지 공간 국제 설계 공모에 나타난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6(5): 12-25. 

  3. Barnett. Jonathan(2003) Redesigning Cities. Chicago: Planners Press. 

  4. Berrizbeitia. Anita(2007) Re-Placing Process, In Julia Czerniak and George Hargreaves, Editor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5. Bolitzer, Netusil(2007) Urban Parks. Open Space and Residential Property Value. RICS Research Paper Series 7(8). 

  6. Corner. James(2006) Terra Fluxus in Charles Waldheim Editors, he 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7. Czerniak. Julia(2007) Legibility and Resilience. In Julia Czerniak and George Hargreaves. Editor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8. Design Trust for Public Space(2002) Reclaiming the High Line. a project of the design trust for public space with friends of High Line. New York: Ivy Hill Corporation, Warner Musk Group, AOL Time Warner Company. 

  9. Feinstein, Susan S.(2003) New Direction in Planning Theory in Scott Campbell and Susan S Feinstein Readings in Planning Theory 2nd ed. Malden: Blackwell Publishing. 

  10. Hamilton. Rabinovitz and Alschuler, Inc.(2002) The High Line The Feasibility and Economic Impact of Re-use. Feasibility Report to Friends of High Line. 

  11. Hargreaves. George(2007) A Designers Perspectives. In Julia Czerniak and George Hargreaves. Editor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2. Harvey, David(1990)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Cambridge: Blackwell Publishers Ltd. 

  13. Jambs. Jane(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14. James Comer Field Operations. LLC.(2007) The High Line 18th Plaza Design Proposal. New York. 

  15.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LLC.(2009) The High Line Section 2 Reconstruction. Conformed Set. New York. 

  16. Margaret Crawford Julia Czemiak, Paul Goldberger, Alex Krieger, Rodolfo Machado, Farshid Moussavi, Dennis Pieprz, Matthew Urbanski(2009) Urban Design Now: Discussion, Alex Krieger and William S, Saunders, Editors. Urban Desig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7. New York Department of City Planning(2005a)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Final Environment Impact Statement. New York. 

  18. New York Department of City Planning(2005b) West Chelsea Special District(N050l61(A) ZRM). New York. 

  19. New York City Department of City Planning(2006) Zoning Handbook. New York. 

  20. New York City Department of City Planning(2007) West Chelsea Development. New York. 

  21. Poilak, Linda(2007) Matrix Landscape: Construction of Identity in the Large Park. In Julia Czemiak and George Hargreaves, Editor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2. Shane, Grahame(2003) The Emergence of Landscape Urbanism. Harvard Magazine No.19. Harvard University. 

  23. Shane, Grahame(2006) The Emergence of Landscape Urbanism in Charles Waldheim. Editors.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4. Waldheim Charles(2001) Hilbersemier/Mies van der Rohe Lafayette Park Detroit. New York: Prestel. 

  25. Waldbeim, Charles(2006) Landscape as Urbanism in Cbarles Wald-heim. Editors.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6. Waldheim, Charles(2009) The Other '56 in Alex Krieger and William S. Saunders. Editors, Urban Desig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7. Walker, Chris(2004) The Public Value of Urban Park. Wallace Foundation. The Urban Institut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