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고찰 - 담론의 내재적 체계를 중심으로 -
Criticism of Landscape Urbanism - Focused on Internal Structures of the Discours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2, 2015년, pp.87 - 104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이룬 성과만큼 담론에 대한 다양한 비판도 함께 제기되어왔다. 오늘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적 구도와 한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제기된 비판적 견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각의 관점에 따라 제기되어온 여러 비판적 견해를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해석의 틀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논리학과 기호학에서 사용되는 내포와 외연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개과정을 비판적 견해를 중심으로 통시적으로 재구성한 뒤, 이를 바탕으로 30여 편의 비판적 견해가 담긴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비판적 견해의 성격에 따라 내재적 비판과 외재적 비판으로 구분하고 이중 내재적 비판에 해당되는 견해들만을 본 연구의 주제로 다룬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대한 내재적 비판은 이론, 실천, 그리고 이론과 실천과의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론적 내용에 대한 비판은 개념의 모호함과 개념의 모순을 지적하는 비판들로 나누어진다. 이중 개념의 모호함은 사전적 애매함과 내포적 모호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기존의 개념을 확장적으로 재해석하면서 발생한 개념의 모호함의 문제는 담론의 구조적인 한계를 드러낸다. 실천에 대한 비판의 경우 실천적 결과의 부재, 형태중심적 실천, 기존 조경과의 실천적 차별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중 실천적 결과의 차별성 부재는 다수의 경계사례를 허용하는 외연적 모호함으로 인해 나타나는데, 경계사례들이 기존 조경의 외연이나 경계사례와 중복이 되면서 담론의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비판은 대부분 실천적 방법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에 대한 비판들은 실천적 방법의 오류와 실천적 방법의 부재를 지적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 중 실천적 방법의 부재는 그동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제시한 해답으로는 해결이 될 수 없는 이론의 구조적인 문제에 해당된다. 담론의 구조적인 문제들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약점이기도 하지만 이론적인 영역을 확장하고 잠재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향후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비판뿐만 아니라 외재적 비판에 대한 고찰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influence of Landscape Urbanism has grown, various criticisms on the discourse also have increased. A study on critical opinions of Landscape Urbanism is necessary to fully comprehend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discourse and its limitations.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Intensi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1990년대 말 등장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전통적 조경의 틀에서 벗어나 경관을 매체로 도시 전반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의도적으로 영역적 경계를 흐리며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 접근을 추구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조경계 전반에 큰 영향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도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모색하던 건축과 계획의 분야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게 된다.
최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어디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에 직면하였는가? 점차 이론의 영향력이 증대되면서 비판의 목소리도 함께 커졌다. 특히, 최근 들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북미의 영향력이 있는 도시설계의 이론인 뉴 어바니즘(New Urbanism)에 대한 비판적 이론으로 인정받자, 오히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그 철학과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1).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이론적, 실천적 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의 성과와 한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담론이 등장한지 근 20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이론적, 실천적 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의 성과와 한계를 밝혀야할 위치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그동안의 관련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비판적 견해에 대한 학문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대해 제기된 비판적 견해들은 이론에 대한 다양한 해석만큼이나 다양한 관점의 차이를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2)

  1. Andersson, T.(2010) Landscape urbanism versus landscape design. In Topos (71): 80-83. 

  2. Baird, G. and C. Jencks(1966) Meaning in Architecture. London: Barrie & Jenkins. 

  3. Brody, J.(2013) Talk of urbanism.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231-245. 

  4. Carnap, R.(1995) Meaning and synonymy in natural languages. Philosophical Studies: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Philosophy in the Analytic Tradition 6(3): 33-47. 

  5. Carney, J. D. and R. K. Scheer(1980) Fundamental of logic. Jun, Y. trans.(2007) Fundamental of Logic. Seoul: Gandi Seowon. 

  6. Castro, E., J. A. Ramirez, and E. Rico(2013) The grounds of a renewed practice. Architectural Design 83(4): 78-85. 

  7. Cho, S.(2010) Practical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109-118. 조세환(201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8(2): 109-118. 

  8. Corner, J.(1991) A discourse on theory II: Three tyrannies of contemporary theory and alternative hermeneutics. Landscape Journal 10(2): 115-133. 

  9. Corner, J.(1997) Ecology and landscape as agents of creativity. In Thompson, G. and S. Fredrick eds.,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pp. 81-107. 

  10. Corner, J.(1999) The agency of mapping: Speculation, critique and invention. In D. Cosgrove, eds. Mappings, New York: Reaktion. pp. 213-300. 

  11. Corner, J.(2003) Landscape urbanism. In M. Mostafavi, and C. Najle eds. 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s. pp. 58-63. 

  12. Corner, J.(2010) Landscape urbanism in the field. In Topos (71): 25-29. 

  13. Corner, J.(2006) Terra fluxus. In C. Waldheim, ed.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 trans.(2007)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pp. 23-37. 

  14. Czerniak, J.(2006) Looking back at landscape urbanism: Speculations on site. In Waldheim, C. ed. (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 trans.(2007)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pp. 120-141. 

  15. De Meulder, B. and K. Shannon(2010) Traditions of landscape urbanism. In Topos (71): 62-67. 

  16. Deleuze, G.(1968) Difference et Repetition, Kim, S. trans.(2004) Difference and Repetition. Seoul: Mineumsa. 

  17. Doherty, G.(2010) How green is landscape urbanism?. In Topos (71): 36-39. 

  18. Donaldieu, P.(2006) Landscape urbanism in Europe: From Brwonfields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1(2): 36-45. 

  19. Drake, S.(2010) Term, definition, identity: Regenerating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era of landscape urbanism. In Topos (71): 50-55. 

  20. Duany, A.(2013) A general theory of ecological urbanism.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115-124. 

  21. Duany, A. and E. Talen(2013) Looking backward: Notes on cultural episode.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1-16. 

  22. Eco, U.(1973) La struttura assente, Cantarell, F. S. trans.(2011) The Absent Structure. Random House Mondadori. 

  23. Foucault, M.(1982) Archaeology of Knowledge, New York: Vintage 

  24. Geldsetzer, L.(1987) Logik, Moon, S. trans.(2002) Logics. Daegu: Gaemyong Univ. Press. 

  25. Gray, C.(2007) Turning field: Contradictions in landscape urbanism. In Kerb 15: Landscape Urbanism, Melbourne, McLaren Press. pp. 94-107. 

  26. Hill, K. and L. Larsen(2013) Adaptive urbanism.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215-230. 

  27. Jencks, C.(1984) The Language of Post-Modern Architecture. New York: Rizzoli. 

  28. Jeong, W. and J. Corner(2005) Fresh kills park design, Staten Island, New Yo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1): 93-108. 정욱주, 제임스 코너(2005) 프레쉬 킬스 공원 조경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3(1): 93-108. 

  29. Kang, H. and J. Choi(2011) A study on the main concepts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8): 225-232. 강효정, 최재필(2011)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 개념에 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7(8): 225-232. 

  30. Kang, H.(2013) A study on landscape urbanism based on Korean cases.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4): 29-41. 강효정(2013) 한국적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관한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4): 29-41. 

  31. Kang, Y., J. Kim and J. Pae(2008) Design strategies for urban parks as urban infrastructure-An analysis of the landscape design competition for the Incheon Cheongna district,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42-54. 강연주, 김정화, 배정한(2008) 인천청라지구 조경설계공모를 통해 본 도시기반시설로서도시공원의설계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6(5): 42-54. 

  32. Kelbaugh, D.(2013) Landscape urbanism, new urbanism and the environmental paradox of cities.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57-86. 

  33. Kim, A., M. Koh and H. Oh(2006) Re-reading Chuncheon G5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rom a viewpoint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3): 120-138. 김아연, 고미진, 오형석(2006)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으로 본 춘천 G5 국제설계경기 출품작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3): 120-138. 

  34. Kim, M.(2009) An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through practical issues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 9(3): 83-92. 김민경(2009)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주제에 의한 건축 도시 공간 분석, 한국공간구조학회지 9(3): 83-92. 

  35. Kim, Y.(1985) Literary Criticism Terminology Dictionary. Seoul: Tamgudang. 김용직(1985) 문예비평용어사전. 탐구당. 

  36. Kim, Y.(2014) Urban design concepts and strategies in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5(4): 204-221. 김영민(2014)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도시설계안에서 나타나는 개념과 전략. 도시설계 15(4): 204-221. 

  37. Kim, Y. and W. Jeong(2014) Development of landscape urbanism in practi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1): 1-17. 김영민, 정욱주(2014)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전개 양상. 한국조경학회지 42(1): 1-17. 

  38. Kunstler, J. H.(2013) The Zombies of Gund Hall Go Forth and Eat America's Brains.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125-140. 

  39. Lee, Y. and W. Yoo(2010) Design strategies of high-rise mixed use complex through a viewpoint of landscape urbanism - Focused on projects of Jerde partnership.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2): 119-128. 이영미, 유우상(201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을 통해 본 입체 복합시설의 설계 전략: 저드 파트너쉽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대학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6(2): 119-128. 

  40. M'closkey, K.(2005) Without end: Mat, holes, and the promise of landscape urbanism. In Kelbaugh, D. and K. McCullough(2008) Writing Urbanism, New York: Routledge. pp. 115-119. 

  41. Mallgrave, F. H. and D. J. Goodman(2006) An 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Theory: 1968 to the Present. Hoboken: Wiley-Blackwell. 

  42. Martin, Claire(2007) An interview with Moshen Mostafavi. In Miller, Andy ed. Kerb 15: Landscape Urbanism, Melbourne: McLaren Press. pp. 38-41. 

  43. Mehaffy, M.(2013) Art vitiating life.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187-198. 

  44. Meyer, E.(1997) Expanded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Thompos, G. and F. Steiner eds.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Wiley. pp. 45-76. 

  45. Morenas, L.(2013) A critique of the high line: Landscape urbanism and the global south.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293-304. 

  46. Mossop, E.(2006) Landscape of infrastructure. In Waldheim, C. ed. (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 trans.(2007)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pp. 141-157. 

  47. Mostafavi, M. and C. Najle eds.(2003) 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s. 

  48. Murrain, P.(2013) Landscape urbanism: Supplement or substitute?.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293-304. 

  49. Norberg-Schulz, C.(1963) Intentions in Architecture. Cambridge: The MIT Press. 

  50. Pae, J.(2004) Theory and Critical Practice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Jokyoung. 배정한(2004)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도서출판 조경. 

  51. Pae, J.(2012) Landscape urbanism and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258): 102-107. 배정한(2012)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한국 조경. 환경과 조경 (258): 102-107. 

  52. Palmboom, F.(2010) Landscape urbanism: Conflation or coalition?. In Topos (71): 43-49. 

  53. Payton, N. I.(2013) The Metropolis versus the city.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87-104. 

  54. Pollak L.(2006) Constructed ground: Question of scale. In C. Waldheim,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 trans.(2007)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pp. 142-159. 

  55. Potteiger, M. and J. Purinton(1998) Landscape Narratives: Design Practices for Telling Stories. New York: Wiley. 

  56. Reed, C.(2010) Landscape urbanism in practice. In Topos (71): 90-107. 

  57. Rios, M.(2013) Marginality and the prospect for urbanism in the postecological city.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199-214. 

  58. Rosanna, K.(2000) Theories of Vagueness,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59. Salmon, W. C.(1982) Logics. Kwak, K. trans.(2004) Logics. Seoul: Jeonyoungsa. 

  60. Shane, G.(2003) The emergence of landscape urbanism. Harvard Design Magazine (19): 1-8. 

  61. Shane, G.(2006) The emergence of landscape urbanism. In C. Waldheim,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 trans.(2007)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pp. 61-77. 

  62. Shannon, K. and Manawadu, S.(2007) Indigenous landscape urbanism: Sri Lanka's reservoir and tank system.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2(2): 6-17. 

  63. Solomon, D.(2013) Why dogs should not eat dogs.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159-170. 

  64. Spencer, D.(2010) Landscape urbanism at the architectural association. In Topos (71): 64-66. 

  65. Steiner, F. and Almy, D.(2010) Conservation as catalyst: Lady bird's urbanism. In Topos (71): 74-79. 

  66. Talen, E.(2013) The social apathy of landscape urbanism. In A. Duany, and E. Talen eds.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Gabriola Island: New Society Publishers. pp. 105-114. 

  67. Thompson, I. H.(2012) Ten tenants and six questions for landscape urbanism. Landscape Research 37(1): 7-26. 

  68. Ulam, A.(2009) Back on track. Landscape Architecture 99(10): 90-109. 

  69. Waldheim, C.(2002) Landscape urbanism: A genealogy. In Praxis 4: 10-17. 

  70. Waldheim, C.(2006) Landscape as urbanism. In C. Waldheim, ed. (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 trans(2007).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pp. 38-59. 

  71. Waldheim, C.(2007) Precedents for a North American landscape urbanism. In Almy, D. ed. Center 14: On Landscape Urbanism, Austin: the Center for American Architecture and Design. pp. 292-303. 

  72. Waldheim, C.(2009) The other '56. In Krieger, A. and Willian S. S. eds. Urban Desig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229-236. 

  73. Waldheim, C.(2010) On landscape, ecology and other modifiers to urbanism. In Topos (71): 20-24. 

  74.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Review. Kim, Y. trans(2007).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75. Wall, A.(1999) Programming the urban surface. In J. Corner ed. Recovering Landscap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232-249. 

  76. Wellek, R.(1963) Concept of Criticism.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77. Weller, R.(2006) An art of instrumentality: Thinking through landscape urbanism. In C. Waldheim,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 trans.(2007)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pp. 78-99. 

  78. Weller, R.(2007) Global theory, local practice. In Miller, Andy ed. Kerb 15: Landscape Urbanism, Melbourne: McLaren Press, pp. 66-71. 

  79. Weller, R.(2008) Landscape (Sub)urbanism in theory and practice. Landscape Journal 27(2): 247-267. 

  80. Yoon, H.(2010)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1): 84-97. 윤희연(2010) 웨스트 첼시 개발과 하이라인의 역할에서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성격. 한국조경학회지 38(1): 84-97. 

  81. Yu, K.(2010) Five traditions for landscape urbanism thinking. In Topos (71): 58-63. 

  82. Zoh, K.(2010) Perspective of Korean landscape urbanism: Dilemma and potential.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272): 150-157. 조경진(2010) 한국적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망: 딜레마와 가능성. 환경과 조경 (272): 150-1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