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덕궁 지당의 변화과정 연구 - 동궐도를 기준으로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Jidang in Changdeok-Place - Based on the Donggwoldo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10년, pp.107 - 118  

강기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기철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왕조시대의 궁궐은 그 나라의 문화와 예술을 대표할 수 있는 집합체이며, 궁궐은 왕과 그 일가족들의 신분과 안전을 보장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과 한 국가를 통치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그들의 사상적 배경인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들 사상을 되새기고자 방지와 원도 등을 조성하였고, 이 방지는 조선시대 궁궐조경의 가장 뚜렷한 특징이다. 이러한 조선궁궐 내 지당(池塘)의 형태를 파악하고 그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원형의 복원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지당조성에 깃든 철학을 다시 한 번 되새기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중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창덕궁(昌德宮)을 대상으로 이전의 특정기록을 시점으로 하여 원형이 보존된 지당, 변형이 된 지당, 그리고 멸실된 지당을 찾거나 그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리고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지당, 형태가 변형된 지당, 멸실된 지당의 위치추정, 후대에 발견된 지당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동궐도(東闕圖)상에 나타난 지당의 총 개수는 17개소이며,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지당은 4개소, 형태가 변형된 지당은 5개소, 멸실된 지당은 8개소이며, 새로 나타난 지당은 2개소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로 복원 및 복구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오늘날처럼 지식과 정보가 순간 이동되고 문화와 국경의 구분까지도 모호하게 혼합되어 가는 상황에서 우리의 마음속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이어지는 전통 문화의 하나인 방형 지당을 현 시점에서 점검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laces of a country can be representative aggregate of the culture and arts of the country. Palaces were used not only as a living place to protect kings and royal families and to live cultural lives, but also a political place to govern the country. Kings in Choseon founded the country on the Su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궁궐지, 동궐도", 동궐도형", 조선고적도보의 경복궁 배치도气 창덕궁 비원 배치도m 현대의 항공사진U)등 6개의 자료를 토대로 창덕궁 내의 지당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말기 오랜 정치적 격변기를 겪으며 훼손되고 방치되면서 건축물뿐만 아니라 궁궐의 정원까지도 변형 훼손되었으며, 근래에 들어 복원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 그 형태가 보존된 지당, 변형이 된 지당, 그리고 멸실된 지당을 찾거나 그 위치를 추정하여 조선궁궐의 특징 중의 하나인 지당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출된 연구 결과로 차후의 타 연구자들의 검증 과정을 거쳐 궁궐 지당의 복원(復元) 및 복구(復舊) 시 참고 의견으로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이것은 일반적으로 문자로 남겨지지 않은 고건축의 복원에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이며, 조성 당시의 가장 가까운 형태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궐도'를 창덕궁 지당변천(池塘變遷) 의 원형으로 삼고자 한다. 원형의 시간적 기준은 동궐도가 제작되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1827년경이며, 공간적 원형은 동궐도 상의 지당의 형태로 지정하였다.
  • 형태가 변한 지당의 변형 시기는 정확히 알 수는 없었지만 이전의 선행연구에 비해 변형의 연대를 더 세밀히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10년 현재 연구자가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창덕궁 지당의 변형시기와 멸실된 위치를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위치와 변형의 명확한 사실들은 차후 관련 문헌 발굴을 통하여 더욱 논의되고 검증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우리 궁궐만의 독특한 조경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는 조선궁궐 중 그 보존이 가장 잘 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창덕궁의 지당 변화과정을 고찰하여 보았다. 고찰은 18的년경에 제작된 동궐도 1907년경에 제작된 동궐도형, 1912년경에 제작된 조선고적도보의 창덕궁 배치도 그리고 1970년대 말에 측량한 창덕궁 후원 배치도와 현재의 항공사진으로 지당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변화의 종류를 파악한 결과.
  •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조선의 왕과 지배층들에게 성리학적 사고를 일깨워 주도록 상징적 의미로 조성한 방형 지당의 형태에 관한 고찰로 우리 문화의 전통과 문화적 독창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당의 조성도 계곡을 따라 흐르는 물길을 이용하여 자연형 호안을 축조하지 않고 방형의 지당을 축조한 이유도 지당의 조성에 성리학적 가치관을 부여하였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창덕궁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궁궐의 지당에 대한 최고(最古)의 조감도인 동궐도를 원형으로 정하고. 그 형태가 보존된 지당, 변형이 된 지당, 그리고 멸실된 지당을 찾거나 그 위치를 추정하여 조선궁궐의 특징 중의 하나인 지당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다.
  • 변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경복궁은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의 규범을 적용시켜 도성계획을 하였으며, 그 이유는 유교적 군주관을 정치의 이상적인 것으로 여겼던 주나라 시대의 궁궐건축을 받아들인 것이라 밝히고 궁궐의 복원에 관한 제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오현진(2005)은 조선 시대 궁궐 정전 일곽의 공간비례와 구성기법에 관한 연구에서 조선 궁궐의 정전영역(正殿營域)에 대한 비례 체계를 분석하여 법궁과 이궁의 정전영역이 유사한 공간 비례 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 배수체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궁궐의 수공간의 배치원리는 풍수지리설에 의한 명당수의 개념을 적용하였다는 것을 연구하였으며, 18, 19세기 궁궐의 고지도를 바탕으로 각 궁궐의 지당형태, 숫자, 배수의 방향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상민 등(2001)은 조선시대 궁궐의 대표 적지당 9곳의 축조재료와 방법 등에 관한 연구에서 호안의 축 석은 주로 장대석을 이용한 바른층 쌓기 수법으로 3단에서 6단 정도로 축조하고 수심을 150cm 이하로 조성한 것을 밝히고 있다.
  • 이상과 같이 조선 궁궐 중 창덕궁 지당의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원형이 유지되거나 변형 멸실된 지당들은 표 2에 다시 정리하였다.

가설 설정

  • 동궐도의 제작연대는 대략 1827년에서 18的년 사이 3부가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气 궁궐지, 기타의 영건도감의궤(營建都監儀觥) 등에서는 지당이나 후원 등의 형태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서 현 시점에서 외형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문헌인 동궐도를 본 연구에서는 원형으로 판단하는 기준으로 정한다. 또한 지당의 경우, 궁궐건축의 가장 큰 변하를 주는 화재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인 형태의 변형이 없다고 가정한다면 동궐도상의 지당의 형태는 조성 당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최초의 형태라고 하는 것도 어느 장소, 어느 시간을 최초로 볼 것인지에 대한 시공간적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에서의 원형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문헌을 원형으로 가정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문자로 남겨지지 않은 고건축의 복원에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이며, 조성 당시의 가장 가까운 형태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봉진 역(1990) 한국의 건축과 예술. 關野貞, 동경제국대학 한국건축 조사보고. 서울: 한국도서출판공사. 

  2. 국립문화재연구소(2006) 북궐도형. 대전: 대전충남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3. 권점수(2007) 한국 옛다리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선궁궐의 금천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현준, 심우경(2007) 동궐도에 나타난 식재현황 및 특징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41-154. 

  5. 문다미, 이재근(2000) 궁궐 공간의 배수세계에 관한 연구: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2): 1-12. 

  6. 문화재청(2005) 동궐도 읽기. 서울: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7. 백종철(2001)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된 취병의 특성에 관한 연구: 동궐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57) 궁궐지(영인본). 서울: 서울옵셋트인쇄사. 

  9. 손별(1999) 민가정원에서 지당과 정자공간의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지혜(2004) 17-18세기 경회궁 동궁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현진(2005) 조선사대 궁궐 정전일곽의 공간비례와 구성기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국병(1978) 조경사. 서울: 일조각. 

  13. 이돈수, 이순우(2009) 꼬레아 에 꼬레아니(사진해설판). 서울: 하늘재. 

  14. 이상민, 정수정, 허학영, 안동만(2001) 조경시공과 식물일반: 우리나라 궁궐자당의 조성기법에 관한 기초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1): 124-130. 

  15. 이상필(2005) 한국 전통원지조영에 관한 연구: 옛 그림 및 발굴 조사된 원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순자(2009)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연구. 서울: 경인문화사. 

  17. 이영일(2007) 경복궁의 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일재 강점기 이후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혜원(2008)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경복궁배치도"의 제작시기와 사료가치에 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7(4): 43-64. 

  19. 정종수(2004) 조선시대 궁궐원유의 변전에 관한 연구: 경복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혜영(2004) 고종조 경복궁교태전 일곽의 공간 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선총독부(1930) 조선고적도보. 동경: 심미출판. 

  22. 조송래(2005) 조선왕릉 금천교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재모(2003)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한국조경학회(1996)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25. 한영우(2006)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창덕궁과 창경궁으로 떠나는 우리 역사 기행. 파주: 열화당. 

  26. 황준원(2004) 조선시대 궁궐 내 길례. 흉례의식 공간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http://local.daum.net/ma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