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덕궁 후원 부용정(芙蓉亭)의 조영사적 특성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uyongjeong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1, 2016년, pp.40 - 52  

송석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 ,  심우경 (세계상상환경학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芙蓉亭)은 독특한 평면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를 이루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2012년 3월 2일에 보물 제1763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지정사유가 형이하학적으로 평가되었고, 그마저도 왜 지금과 같이 독특한 형태로 조영되었는지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연철학 및 사상에 관한 형이상학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조영의도와 공간구조의 특징을 규명하여 부용정의 정체성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요약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용정의 조영배경 및 특징: 정조는 즉위와 함께 창덕궁 후원에 규장각(奎章閣)을 창설하고 개혁정치의 일환으로 초계문신(抄啓文臣)을 양성하였다. 또한 각신(閣臣)들을 가인(家人)처럼 우대해주며 친정체계를 구축하였다. 정조의 적극적인 개혁정치는 신하들에게 후원을 구경시켜주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정조 16년(1792)에 각신을 중심으로 한 내각상조회(內閣賞釣會)를 공식적으로 발족하고 후원유람을 정례화하게 되었다. 후원유람은 꽃을 보고 낚시를 하는 상화조어연(賞花釣魚宴), 난정수계의 활동 등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국가의 대신들이 참석하게 되면서 큰 행사로 발전하게 되었다. 정조는 대신, 중신, 각신들과 이러한 문화 활동을 함께하고 나아가 자신의 왕도정치를 실현할 장소로써 부용정을 조영한 것이었다. 둘째, 부용정의 입지와 공간적 특성: 정조는 즉위(1776)와 함께 택수재를 새롭게 개축하였다. 무엇보다 개유와-택수재-원도-어수문-규장각을 축선에 맞춰 연계한 점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현재의 규장각 일원을 계획-설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조 17년(1793)에는 기존의 사우정(四隅亭) 형태였던 택수재를 군신(君臣)이 함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위계를 두어 증축하고 부용정이라 칭하였다. 지당 위에 위치한 부용정의 북쪽공간은 임금의 공간으로 다른 곳보다 한 단 높게 조성하였고 창호도아자살로 차별화한 특징을 보인다. 서쪽과 동쪽은 신하들의 공간이다. 중앙공간은 양측의 신하들이 북쪽공간에 입어한 임금을 배알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이며, 서쪽과 동쪽의 신하들은 부용정의 귀퉁이 공간을 돌아 남쪽공간에서 중앙공간으로 입실하게 되는 구조로 조영되었다. 결국 부용정은 최소한의 공간으로 편전(便殿)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정원건축물인 것이다. 셋째, 부용정의 문화적 가치: 부용정 일원은 세조, 인조, 현종, 숙종, 정조 등 왕들의 사유적인 정원문화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꾸준히 발전된 특징을 보인다. 특히 정조는 선왕들이 조성해놓은 다양한 물리적, 사회적, 상상적 환경 등을 계승하였고 더불어 자신의 왕도정치를 위해 신하들을 후원에 불러들였으며 그 중추적 장소로 부용정을 완성한 것이다. 곧 부용정은 조선왕조의 영속성이 반영된 정원건축물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도 유교사상이 정자에 반영되어 위계가 구분된 독특한 사례로써 왕의 정원에서만 나타나는 특수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yongjeong, a pavilion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was appointed as Treasure No. 1763 on March 2, 2012, by the South Korea government since it shows significant symmetry and proportion on its unique planar shape, spatial configuration, building decoration, and so forth. However, the 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용정의 조영배경을 바탕으로 문화적인 해석과 가치규명이 이루어졌고, 상량 당시의 자연철학에 관한 형이상학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부용정 조영과 결부된 정조의 개혁정치를 고찰하는 등 부용정의 정체성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보물 제1763호인 부용정의 정체성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다만,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내재된 사상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이며, 문화콘텐츠로써 현대적 활용이 가능한 후속연구 또한 추가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 이날의 모임은 다만 오늘을 길게 늘일 뿐만 아니라, 무릇 이 자리에 함께한 사람은 모두 각자의 덕을 힘써 닦아서 국가와 복을 같이 누리고, 우리 원자(元子)와 어울려 여기에서 즐거이 노닐어 대대로 수많은 자손들까지 서로 변함이 없는 것이 장차 지금으로부터 시작될 것이므로 여기에 기록하여 둔다.23)( 『내원상화임자갱재축』)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네스코세계유산위원회는 창덕궁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였는가? 당시 유네스코세계유산위원회는 창덕궁의 가치를 ‘동아시아궁궐 건축과 정원의 디자인에서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건축물이 자연적 배경과 훌륭하게 조화된다는 점에서 독특하고 탁월한 유산’으로 평가하였는데, 등재 가치평가 내용처럼 창덕궁 후원은 창덕궁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은 보물 몇 호인가?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芙蓉亭)은 독특한 평면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를 이루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2012년 3월 2일에 보물 제1763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지정사유가 형이하학적으로 평가되었고, 그마저도 왜 지금과 같이 독특한 형태로 조영되었는지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 일원 초기 경관부터 개발 후 부용정이 조영될 때까지의 시간적 범위 순으로 연구를 진행한 전개를 설명하시오. 본 연구의 전개는 현 부용지3) 일원의 초기경관부터 개발 후 부용정이 조영될 때까지의 시간적 범위 순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대상지의 과거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부용정 일원의 조영사를 정립하였다. 둘째, 부용정이 조영된 배경을 사료를 통해 파악하고 문화적으로 해석하였다. 셋째, 부용정에 내제된 사상과 공간구조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넷째, 부용정이 지닌 문화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UNESCO World Heritage Centre-97/CONF.208/4A 

  2. Song, S. H. and Sim, W. K.(2014a).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Jondeokjeong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1): 31-43.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http://www.cha.go.kr) 

  4. Lee, B. K.(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lacement of Kyujanggak in Changdeokgung palace.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5. Yoon, D. K., Sim, W. K., Jung, J. S., and Choi, J. H.(2006).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Neighbor on Juhabru in Changdok Pal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1(1): 95-103. 

  6. Jo, Y. M.(2010).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of Buyong pond area at Changdeok Palac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pp.109-120. 

  7. Jung, W. J. and Sim, W. K.(2012).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aeaek Pond at Changdeok Pal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2): 46-63. 

  8. Song, S. H. and Sim, W. K.(2014b).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uyongjeong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pp.3-9. 

  9. Song, S. H. and Sim, W. K.(2014c).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leasure excursion in Changdeok Palace Rear Garden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pp.15-18. 

  10. Hong, H. S.(2015). Jeongjo's Enjoyment of the Palace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4): 10-25. 

  11. Erjaegunggueolji(御製宮闕志),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2-4363/5-1, K2-4363/5-2. 

  12. Sejosilrok(世祖實錄), DB of Korean Classics. 

  13. Injosilrok(仁祖實錄), DB of Korean Classics. 

  14. Jeongjosilrok(正祖實錄), DB of Korean Classics. 

  15. Hongjaejeonseo(弘齋全書), DB of Korean Classics. 

  16. Ilseongrok(日省錄), DB of Korean Classics. 

  17. Gaengjaechunk(?載軸), DB of Korean Classics. 

  18. Pyoamgo(豹菴稿), DB of Korean Classics. 

  19. Erjaeyoulmujeongbangsajunggi(御製閱武亭傍四井記),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kak. MF35-004671. 

  20. Song, S. H. and Sim, W. K.(2013).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Jibyonhyung(池邊形) Susa(水?)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pp.19-24. 

  21. Ahn, D. H.(2011). Analects of King Jeongjo. Seoul: Purmae. 

  22. Sim, W. B.(2009). Special Edition: King Jeong-Jo's view of I-Ching. Eastern Institute for Culture(3): 97-127. 

  23. An, J. S.(1991). A study on the political philosophy of Chongjo in Korean modern history. docto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4. Seol, S. K.(1986). A Study of the Kyujang-gak: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Chongjo Period. The Daegu Historical Association. 31(1): 73-107. 

  25. Son, M. H.(2010). Two Poetry Handscrolls Written by King Jeongjo and the Gyujanggak officials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Gogung Munhwa. 3: 83-95. 

  26. Park. S. S.(2008). King Jeongjo(正祖)'s striving for powerful throne with glorifying of Song Si-yeol(宋時烈). Association for Research on Korean history. 14: 197-218. 

  27. Jubisangyung(周?算經) Chinese Text Project (http://ctext.org/library). 

  28. Dedaeyeki(大戴禮記), Chinese Text Project. (http://ctext.org/library). 

  29. Yeosichunchu(呂氏春秋), Chinese Text Project (http://ctext.org/library). 

  30. Kang, S. J.(2006). Read the classics of the Orient 2. Humanist Publishing co. 

  31. Lee, M. G.(2000). World of the sky looked ancient Chinese. Seoul: Munhakghagisung. 

  32. Korean Assocoation for Studies of Thought History compile(1998). The Natural philosophy of Korean Confucianism. Seoul: Yemoonseowon. 

  33. Ahn, D. H. translation and annotation(2005). Build a house in nature. 徐有?, 林園經濟志. Paju: Dolbegae. 

  34. Zhu, L.(2011). A study on traditional chinese gardens in the old urban area of suzhou: focused on the physical layout characteristic.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35. Dongkukyisangkukjib(東國李相國集), DB of Korean Classics. 

  36. Jung, D. O.(1986). Korean Garden. Seoul: Minumsa. 

  37. Hur, K.(2010). Old palaces in Seoul for a walk. Seoul: Sebyeoksub. 

  38. Min, G. H.(1998). Culture of forest and water and rock. Seoul: Yegyung. 

  39. Kim, Y. M.(2012).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facility dictionary. Paju: Dongnyeok. 

  40. Dasansimunjib(茶山詩文集), DB of Korean Classic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