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숲 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모형 개발
A Landscape Ecological Model for Assessing the Korean Urban Forest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2, 2010년, pp.178 - 185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권진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김경태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숲을 경관생태학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모형 개발과 적용을 통해 평가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가지표는 층위구조, 입지상태, 활엽수구성비율, 식생구성종수 등 17개이다. 평가지표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높은 관계성을 가진 것은 임령(X8)과 공간형성기간(X10)으로 상관계수가 0.684로 나타났으며, 부(-)의 상관성을 가진 지표들은 층위구조(X1)와 위험성(X13)으로 상관계수가 -0.412로 분석되었다. 평가모형구축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10개의 모형이 도출되었으며, 총 17개 변수 중 층위구조(X1), 식생구성종수(X4) 등을 제외한 입지상태(X2), 활엽수구성비율(X3) 등 10개의 변수만이 유의확률 9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형의 회귀식과 합산평가 매트릭스법과 비교분석 결과, 모형 3의 회귀식이 정확도 91.7%로써 전체 10개 모형 중 가장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평가모형에 대한 정확도 증진기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iotope model in applying and developing Korean urban forests. We found that there are 17 biotope assessment indicators, including forest layer structure, site conditions, ratio of broad-leaved trees, species richness, etc. In term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관생태학적으로 도시숲을 얼마나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가에 대한 모형구축과 함께 이를 수치적으로 검증함으로서 비오톱 평가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 이때, 전체 798개 조사지점 중 50%에 해당되는 399개 지점은 평가모형의 구축에 적용되었으며, 나머지 399개 지점은 평가모형의 결과와 합산평가 매트릭스 평가법으로 산출되는 결과값 간의 일치성 및 객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합산평가 매트릭스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평가모형의 정확성을 진단하는 과정으로 본연구가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ong, Y.M., S.T. Kim and M.S. Kim(2002)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nectivity for green space plann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5(6): 14-23. 

  2. Chung, J.Y.(2001) Establishing sustainable city through improvement in city park system: an analysis and planning of Daejeon's park system. J. Public Affairs and Policy 13: 105-130. 

  3. Dumortierm, M., J. Butaye, H. Jacquemyn, N.V. Camp, N. Lust and M. Hermy(2002) Predicting vascular plant species richness of fragmented forests in agricultural landscape in central Belgiu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8: 85-102. 

  4. Forman, T.T.(1995) Lans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632pp. 

  5. Grabher, G.G. Koch and H. Kirchmeir(1997) Blidatlas: naturnahe osterrreichischer walder. Sonderdruck zur Osterveichischen. 

  6. Hong, Y.S., D.Y. Chung and K.R. Choi(2008) A Study on the Inter-Relational Interpretation of Street Plant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1): 80-89. 

  7. Kim, J.H.(2007) Valuing urban parks in Ulsan: application of CVM with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nd test of inter- dependence of subsequent two answers. J.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s 11(1): 151-178. 

  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5) The ecological value of urban forest. 38pp.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8) Th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Namsan forest. 59pp. 

  10. Korea Forest Service(2002) The study of management plan in urban greenspace. Korea Forest Service, 139pp. 

  11. Kwon, J.N., H.J. Cho, M.S. Choi and J.H. Oh(2005) Vegetatio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biotope diversity in the isolated forests on the urban areas: Case study on the three parks, Daegu metropolitan city. Jour. Korean For. Soc. 94(6): 462-467. 

  12. Lee, D.K., D.H. Kim, E.Y. Kim, J.C. Jeong, Y.C. Oh, S.H. Joo and K.M. Kim(2008) Evaluation indicators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5): 104-113. 

  13. Lee, D.K., E.Y. Kim, W.K. Song, C. Park and H.Y. Choe(2009)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 types and its application methods for forests creation and management.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2(5): 101-109. 

  14. Mansuroglu, S., V. Ortacesme and O. Karaguzel(2006) Biotope mapping in an urban environment and its implications for urban management in Turke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1: 175-187. 

  15. Oh, J.H., J.H. Cho, H.J. Cho, M.S. Choi and J. Kwon(2008) A study on the biotope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s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101-111. 

  16. Park, C.R. and M.S. Choi(2005) Comparison of bird communities at urban forests and streetscapes in Daegu city. Kor. J. Env. Eco. 19(4): 367-374. 

  17. Ra, J.H. and J.H. Sagong(2002) An Analysis of Green Space Base for Networking in Daegu Metropolitan Municipal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6): 37-49. 

  18. Sukopp, H. and S. Weiler(1988) Biotope mapping and nature conservation strategies in urban areas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5: 39-58. 

  19. Sukopp, H.(1993) Stadtoekologie gustav and fischer. 75pp. 

  20. Sung, B.J., J.G. Lee and J.H. Choe(2003) A Study on the Residents' Evaluation of Open Spaces and Cityscape in Ulsan City.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6(3): 46-55. 

  21. Yeo, U.S., D.H. Oh and S.B. Hong(2006)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natural environmental resources in Busan - a case study on Nam-gu, Busan -. Busan Development Institute, 125pp. 

  22. You, J.H. and S.G. Jung(2002) The evaluation model for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areas-Focused on site selection for the National Tru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2): 39-49. 

  23. You, J.H.(2005) Selection of assessment indicators and rank decision using fuzzy theory for conservation of ecosystem. Ph. 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316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