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의 중요도 분석 - AHP 기법을 이용하여 -
Analysis of Importance in Available Space for Creating Urban Forest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6, 2019년, pp.103 - 114  

정대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최윤의 (고려대학교 오정에코리질리언스연구원)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적합한 가용공간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객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조성하기 위한 가용공간의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AHP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항목의 상대적 중요도(가중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5개 범주의 총 19개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총 29부를 회수하였으며,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상위항목의 중요도는 '입지적 특성'(0.35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존 녹지의 식재유형(0.184)', '기상조건 (0.183)', '물리적 특성(0.15)', '인문사회환경(0.128)'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또한 하위항목의 전체 중요도는 '미세먼지 발생원 인접성'(0.143)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 녹지의 식재수종'(0.024)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조성하기 위한 가용공간을 선정하는데 객관적 기준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recent projects to create urban forests to reduce the levels of particulate matter,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for selecting suitable sites for the projects have not been provid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assessment items for the evaluation of available spaces for urb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 평가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도시숲 유형, 도시숲의 미세먼지 저감 메커니즘 (수종선정, 식재구조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바람길 도입, 미세먼지 영향요인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적 특성, 입지적 특성, 기존 녹지의 식재유형, 기상조건, 인문사회환경 5가지 평가항목과 의사결정 계층구조 모형을 도출하였다.
  • 이러한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모델은 수종 선정, 식재 유형에 따라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바람길숲은 도시계획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가용 공간을 평가하는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차단숲과 저감숲을 중심으로 특성을 파악하였다.
  • 그럼에도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을 평가하는 기준은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 시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의사결정 사항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 고, 지표간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는 AHP 기법을 채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 평가항목을 개발 하고, 전문가 조사결과를 계층적 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으로 분석하여 가용공간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자체가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사업대상지를 선정하는데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숲 조성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우선 도입하는 가용공간을 선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립되었으며, 문헌고찰 및 전문가 조사를 통해 가용공간 평가항목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추진하는 지자체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객관적인 가용공간 평가도구와 가중치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첫째, 의사결정 문제의 의사결정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계층구조를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 평가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의사결정 계층구조를 구성하였다. 둘째, 각 계층을 구성하는 의사결정요인들을 쌍대비교하기 위해 쌍대비교행렬을 작성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문가 선정은 ‘산림분야 미세먼지 저감 연구개발 협의회’, ‘미세먼지 대응 도시숲 R&D 활성화 심포지엄’ 등 미세먼지 저감 관련 학술행사에 초청된 전문가 또는 미세먼 지 저감 녹지 관련 연구경력이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관련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전문성 있는 분석결과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설문조사는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문 대상자들에게 연구목적과 필요성을 사전에 설명하였고, AHP 평가 방법을 충분히 숙지한 이후 조사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 이러한 도시숲이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 영향요인 및 도시숲 조성의 효율성을 고려한 가용공간 평가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전문가 조사를 통해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정의하면?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은 도시 내 미세먼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미세먼지 저감 기능이 강조된 유형으로 “식물의 생리적 기능과 모양 및 숲의 구조적 구성을 통해 미세먼지를 발생원으로부터 생활권으로의 확산을 차단하고, 양질의 공기 공급과 흡수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하는 숲”으로 정의할 수 있다 (Korea Forest Service, 2018).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차단숲, 저감숲, 바람길숲으로 구분된다.
수목의 미세먼지 저감 기작의 4가지 형태를 설명하시오. 국립산림과학연구원 은 수목의 미세먼지 저감 기작을 차단, 침강, 흡수, 흡착의 네 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8). 첫째, 흡착은 숲의 줄기, 가지, 잎 등으로 미세먼지를 부착하는 것, 둘째, 흡수는 주로 잎의 기공에 의해 잎의 내부로 미세먼지가 흡수되는 것, 셋째, 차단은 미세먼지가 수관층 밖에 도달하여, 미세먼지 확산과 유속이 감소하면서 차단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침강은 수목에 모인 미세먼지가 지면으로 가라 앉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목의 미세먼지 저감과정을 통해 1ha의 도시숲은 연간 168kg의 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도시숲의 미세먼지 농도는 일반 도심보다 25.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의 시급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이처럼 미세먼지 발생원이 인접하여 대기오염물질이 주거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학교, 보육시설, 노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등 미세먼지 취약계층 집중 활동지역에 산업단지, 발전소 등 미세먼지 배출원이 인접할 경우,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의 시급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도시 내 바람길 도입은 도시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유입 시키고, 도시 내 미세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 적인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알려져 있다(S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rauer, M., G. Hoek, P. van Vliet, K. Meliefste, P. Fischer, U. Gehring, J. Heinrich, J. Cyrys, T. Bellander, M. Lewne and B. Brunekreef(2003) Estimating long-term average particulate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Application of traffic indicator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Epidemiology 228-239. 

  2. Chae, H. J(2009) Effect on the PM10 concentration by wind velocity and wind dire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24(3): 37-54. 

  3. Chen, J., X. Yu, F. Sun, X. Lun, Y. Fu, G. Jia, Z. Zhang, X. Liu, L. Mo and H. Bi(2015) The concentrations and reduction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PM10, PM2. 5, PM1) at shelterbelt site in Beijing. Atmosphere 6(5): 650-676. 

  4. Cho, S. J and H. M. Kim(2009) Evaluation of green buffer zone supplement plan for air pollution decrease function: In the case of Sihwa industrial complex green buffer zon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15(3): 145-154. 

  5. Choi, T. Y., H. G. Moon, D. I. Kang and J. G. Cha(2018) Analysis of the seasonal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particulate matter according to land cover of Seoul-Focusing on forest and urbanized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6): 635-646. 

  6. Eum, J. H.(2019) Analysi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ventilation corridor characteristics in Jeon-ju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3(3): 366-374. 

  7. Giri, D., V. K. Murthy and P. R. Adhikary(2008)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on PM 10 concentrations in Kathmandu valle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2(1). 

  8. Han, S. W., S. H. Lee and H. W. Lee(2015)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M distribution in coastal and inland cities correlation and its correl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11): 1513-1523. 

  9. Hong, S. H., R. Y. Kang, M. Y. An, J. S. Kim and E. S. Jung(2018) Study on the impact of roadside forests on particulate matter between road and public openspace in front of building site: Case of openspace of Busan City Hall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3): 323-331. 

  10. Hwang, K. I., B. H. Han, J. I. Kwark and S. C. Park(2018)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PM 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4): 61-75. 

  11. Jerrett, M., M. A. Arain, P. Kanaroglou, B. Beckerman, D. Crouse, N. L. Gilbert, J. R. Brook, N. Finkelstein and M. M. Finkelstein(2007) Modeling the intraurban variability of ambient traffic pollution in Toronto, Canada.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A, 70(3-4): 200-212. 

  12. Joint Research Project for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in Northeast Asia(2019) Summary Report of the 4th stage (2013-2017) LTP Project. 1. Research Report to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3. Kim S. H and C. H. Oh(2019) A study on the new-green space derivation in urban area for the reduction of fine dust.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29(2): 59-60. 

  14. Kim, S., S. Lee, K. Hwang and K. An(2017) Exploring sustainable street tree planting patterns to be resistant against fine particles (PM2. 5). Sustainability 9(10): 1709. 

  15. Kumar, P., A. Robins, S. Vardoulakis and R. Britter(2010) A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nanoparticles in the urban atmosphere and the prospects for developing regulatory controls. Atmospheric Environment 44(39): 5035-5052. 

  16. Lee, D., D. Kim, E. Kim, J. Jeong, Y. Oh, S. Joo and K. Kim(2008) Evaluation indicators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5): 104-113. 

  17. Lee, H. J(2010) Analysis of time series models for PM10 concentrations at the Suwon cit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6): 1117-1124. 

  18. Lee, J. E and S. H. Cho(2011) An analysis of the specialist's preference for the model of park-based mixed-use districts in securing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via private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6): 1-11. 

  19. Lee, S. D., D. P. Kim, S. H. Choi, J. H. Oh and S. H. Hong(2014a) Criteria selection of urban forestry sustainability evaluation in the view of ecolog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4): 472-483. 

  20. Lee, W. J., M. K. Hwang and Y. K. Kim(2014b) Health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M 10 in Bu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0(5): 355-366. 

  21. Liu, J., R. Zhang, H. Liu, J. Duan, J. Kang, Z. Guo, B. Xi and Z. Cao(2018) Assessing the particulate matter removal abilities of tree leaves. JoVE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140): e58026. 

  22. Lu, D., W. Mao, D. Yang, J. Zhao and J. Xu(2018) Effects of land use and landscape pattern on PM2. 5 in Yangtze River Delta, China.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9(4): 705-713. 

  23. Moon, N. K., S. T. Kim, J. S. Ha, Y. M. Kim and J. H. Seo(2017) Analysis System for regional environmental status to support environmental assessment : Source apportionment analysis of air pollutants from major industrial complexes and local governments. Research Report t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4. Morawska, L., Z. D. Ristovski, G. R. Johnson, E. R. Jayaratne and K. Mengersen(2007) Novel method for on-road emission factor measurements using a plume capture trail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1(2): 574-579. 

  25. Nowak, D. J., S. Hirabayashi, A. Bodine and R. Hoehn(2013) Modeled PM2. 5 removal by trees in ten US cities and associated health effects. Environmental pollution 178: 395-402. 

  26. Oh, J. H., J. H. Cho, H. J. Cho, M. S. Choi and J. Kwon(2008) A study on the biotope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s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101-111. 

  27. Park, C. S. (2017) Variations of PM10 concentration in Seoul during 2015 and relationships to weather condi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27(2): 47-64. 

  28. Park, J., J. Park and J. Choi(2018) An Air Pollution exposure on floating population using air pollution dispersion model.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52(2): 193-204. 

  29. Park, S. Y., Y. J. Kim and C. H. Kim(2012) Characteristics of long-range transport of air pollutants due to different transport patterns over Northeast Asi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2): 142-158. 

  30. Rosenlund, M., F. Forastiere, M. Stafoggia, D. Porta, M. Perucci, A. Ranzi, F. Nussio and C. A. Perucci(2008) Comparison of regression models with land-use and emissions data to predi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in Rome.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18(2): 192. 

  31. Salbitano, F., S. Borelli and G. Sanesi(2015) Chapter 11. Urban forestry and agro-forestry. De Zeeuw H., Cities, Food and Agriculture; Towards Resilient Urban Food Systems. A State of the Art, Oxford. 

  32. Seo, Y. H(2013) Development of construction site source profile by a chemical analysis of PM10 colle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 67-72. 

  33. Shin, M. K., C. D. Lee, H. S. Ha, C. S. Choe and Y. H. Kim(2007)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PM 10 concentration in Inche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3(3): 322-331. 

  34. Son, H. Y and C. H. Kim(2009) Interpretat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measured particle concentrations in Bu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2): 133-140. 

  35. Song, K. W and Y. Lee(2013) Re-scaling for improving the consistency of the AHP method. Social Science Research 29(2): 271-288. 

  36. Sung, S. Y., J. S. Park, S. E. Lee and S. H. Kim(2019) Introducing the ventilation corridor for reducing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KRIHS POLICY BRIEF 709: 1-6. 

  37. Wind, Y and T. L. Saaty(1980) Marketing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26(7): 641-658. 

  38. Wise, E. K and A. C. Comrie(2005) Meteorologically adjusted urban air quality trends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Atmospheric Environment 39(16): 2969-2980. 

  39. Wu, J., W. Xie, W. Li and J. Li(2015) Effects of urban landscape pattern on PM2. 5 pollution-a Beijing case study. Plos one 10(11): e0142449. 

  40. Xu, X. R. and J. O. Kim(2017) Planting design strategies and green space planning to mitigate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s-case studies in Beijing, Chin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6): 40-49. 

  41. Yu, S. Y., N. I. Gu and C. Y. Park(2017) Characteristics of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urban forest.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191. 

  42. Korea Forest Service(2018) "미세먼지 저감효과 큰나무 심어 도시민 숨통 틔운다! ". http://www.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36&mnNKFS_04_02_01&nttId3124638 

  43. Ministry of Environment(2018a) "환경부 2019년도 예산안, 쾌적하고 안전한생활환경조성에투자확대". http://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1&boardId904490&menuId286 

  44. Ministry of Environment(2018b) "국민78.7%"미세먼지는건강위협", 72.4%"시민실천운동참여"…시민참여의지높아". http://www.me.go.kr/home/web/board/read.do?menuId286&boardMasterId1&boardCategoryId39&boardId914570 

  45. National Institue of Forest Science(2018) "공장 주변 미세먼지도 '도시숲'이 잡는다". http://www.forest.go.kr/new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O56SVWMPLdnFfCJ2SSCNg0BOA7sxHVvXHEodDf9eumFs0Vh1MnaB9a8YPSvltZYx.frswas02_servlet_engine11?nttId3117277&bbsIdBBSMSTR_1036&mnKFS_14_06_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