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배수갑문 수위조절 특성과 염생식물 군락지 형성에 관한 연구
Traits of Water Level Control by Sluice Gates and Halophyte Community Formation in Saemangeum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2, 2010년, pp.186 - 193  

신명호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 ,  김창환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6~2008년 동안 새만금 간척지에서 조성된 인공 염생식물 군락지와 새만금 방조제 배수갑문 수위 관리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배수갑문 수위특성 및 사유, 염생식물 군락지의 공간적인 분포와 형성 과정, 수위변화에 따른 염생식물 분포공간분석을 시도하였다. 배수갑문 수위조절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파종 후 생장기의 평균수위와 연평균 수위와의 차이는 유사했으며, 연간 최저수위 및 최고수위가 파종 후 생장기에 나타났다. 3년동안 4,315만$m^2$에 염생식물 군락지가 형성되었으며 총 2,673만$m^2$에 대해 인공적인 염생식물 군락 조성이 시도되어 291만$m^2$을 제외한 표고 약 1m 이상의 2,382만$m^2$(89.1%)에 염생식물 군락지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파종지역 염생식물 군락지 형성에서 해수의 평균수위나 최저수위보다도 최고수위가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경운 및 토양 피막 여부가 군락지 형성의 2차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xamine the traits of sluice gate water control, halophyte community formation and their inter-relations in Saemangeum, both water level condition and halophyte community formation were analyzed periodically and spatially on the topographic map with Surfer, Saemageum Spatial Analysis S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배수갑문, 수위관리가 파종하고자 하는 염생식물 조성지에 미치는 영향, 상호관계 등을 분석하여 수위 관리의 방향 및 염생식물 군락지 복원 조성 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또한 수위관리가 염생식물군락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은 Figure 3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간척과정에서 비산먼지 발생을 식생 피복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염습지 식생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생조성지역의 침수범위를 측정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배수갑문, 수위관리가 파종하고자 하는 염생식물 조성지에 미치는 영향, 상호관계 등을 분석하여 수위 관리의 방향 및 염생식물 군락지 복원 조성 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Iim, B.S. and J.S. Lee(1998) Soil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ies of Wetland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Ecological Society of Korea 21(4): 321-328. 

  2. Jeong, C.J. and H.L. Cho(2008)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Coastal Wetland Vegetation in Sihwa Lak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17(2): 105-112. 

  3. Jung, Y.S., J.H. Joo, S.C. Kwon, J.N. Im, M.H. Shin and K.W. Choi(2004) Wind erodibility of the Saemangeum tideland reclamation project area, Korean J. Soil Sci. Fert. 37(4): 207-211. 

  4. Kim, C.H.(2006)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Mankyeong River Estuary in Jeonbuk, Korean Society of Enviroment and Ecology 20(3): 289-298. 

  5. Kim, C.H.(2009) Studies on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alt Marsh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Germination Strategies and Character of Halophytes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4): 451-462. 

  6. Kim, E.K., Y.S. Jung, H.G. Jeong, Y. K. Joo and S. Chun(2007) Vegetation Distribution of Intertidal Zone and Estuary Area on Anseo Port in Saemangeum Reclamation Zone, Korean Society of Enviroment and Ecology 21(6): 494-505. 

  7. KRC(2005) Site Test of Fugitive dust measures using plants. 

  8. KRC, Saemangeum Project Office(2007) Outcome of performernce of Fugitive dust measures in saemangeum redlaimed in spring season. 

  9. KRC, Saemangeum Project Office(2008) Fugitive dust measures in saemangeum redlaimed and result of make a Salicornia herbacea community. 

  10. KRC, Saemangeum Project Office(2009) Fugitive dust measures in saemangeum redlaimed land since 2009. 

  11. Lee, J.S.(1989) On establishment of halophytes along tidal level gradient at salt marshes of Mangyeong and Dongjin river estuarie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Lee, J.S., B.S. Iim, H.H. Myeong, J.W. Park and H.S. Kim(2009) Soil Environment Analysis and Habitat of Halophyte for Restoration in the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22(1): 102-110. 

  13.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2007) Sluice Gate Management Guide. 

  14. Nam, W., Y.S. Kwak, I.H. Jeong, D.B. Lee and S.S. Lee(2008) Plant Distribution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psoil on the Reclaimed Dredging Area.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3): 52-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