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선포천, 관곡천, 광양서천에서 염생식물과 수생식물상 분포
Floristics of Halophytes and Hydrophytes in the Jungseonpo, Gwingok, and Gwangyangseo River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2, 2020년, pp.186 - 190  

허만규 (동의대학교 바이오응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생식물은 해수와 염분 토양에 강한 염분 내성에 적응된 식물이다. 본 연구는 중선포천(경상남도 사천시), 관곡천(경상남도 하동군), 광양 서천(전라남도 광양시)에서 염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분포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중선포천에서는 총 6종의 염생식물과 10종의 수생식물이 수집되었다. 관곡천과 중선포천에서는 각각 5종, 11종의 염생식물이 관찰되었다. 관곡천과 중선포천에서는 각각 5과 13종, 8과 16종의 수생식물이 관찰되었다. 이 중 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은 한국의 서부와 남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여, 이 종은 생태 및 보존적 멸종위기종이다. 개발에 따른 분포지의 축소가 일어나고 있어 많은 염생 식물종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 남해안에 있는 세하천의 본 조사 지역은 염생식물의 분포가 지역간 차이가 있었고, 염생식물이 잘 받달된 서해안과도 달랐다. 돌가시나무(Rosa wichuraiana)를 비롯한 7종이 과거 기록에 추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lophytes are physiologically adapted to withstand the high salinity of water and saline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halophytes and hydrophytes in the Jungseonpo River (Sacheon-ci, Gyeongsangnam-do), Gwingok River (Hadong-gun, Gyeongsangnam-do), and Gwangyangseo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n this study, despite being the three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of the South Sea in Korea, 17 species of halophyte have been f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lora and species to halophyte of three rivers (the Jungseonpo River, the Gwingok River, and the Gwangyangseo River) in Kore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ng, J. H. 2018. Effects of elevation and herbivores on the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a Korean salt marsh.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 Boestfleisch, C., Wagenseil, N. B., Buhmann, A. K., Seal, C. E., Wade, E. M., Muscolo, A. and Papenbrock, J. 2014. Manipulating the antioxidant capacity of halophytes to increase their cultural and economic value through saline cultivation. AoB Plants 6, plu046;doi:10.1093/aobpla/plu046. 

  3. Buhmann, A. and Papenbrock, J. 2013. An economic point of view, secondary compounds in halophytes. Funct. Plant Biol. 40, 952-967. 

  4. Caperta, A. D., Espirito-Santo, M. D., Silva, V., Ferreira, A., Paes, A. P., Rois, A. S., Costa, J. C. and Arsenio, P. 2014. Habitat specificity of a threatened and endemic, cliff-dwelling halophyte. AoB Plants 18, 6. pii: plu032. doi: 10.1093/aobpla/plu032. 

  5. Cox, G. 1990.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pp. 1-272, 6th ed., Dubuque, William C. Brown: Iowa, USA. 

  6. Flowers, T. J. and Colmer, T. D. 2015. Plant salt tolerance: adaptations in halophytes. Ann. Bot. 115, 327-331. 

  7. Kim, K. D. 2005. Invasive plants on disturbed Korean sand dunes. Estuar. Coast. Shelf Sci. 62, 353-364 

  8. Lee, Y. N. 2007. New Flora of Korea, pp. 1-1237,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9. Mishra, A. and Tanna, B. 2017. Halophytes: Potential Resources for Salt Stress Tolerance Genes and Promoters. Front Plant Sci. 8, 829. doi: 10.3389/fpls.2017.00829. 

  10. Pigliucci, M., Murren, C. J. and Schlichting, C. D. 2006. Phenotypic plasticity and evolution by genetic assimilation. J. Exp. Biol. 209, 2362-2367. 

  11. Richards, C. L., White, S. N., McGuire, M. A., Franks, S. J., Donovan, L. A. and Mauricio, R. 2010. Plasticity, not adaptation to salt level, explains variation along a salinity gradient in a salt marsh perennial. Estuaries Coast 33, 840-852. 

  12. Shim, H. B., Cho, W. B. and Choi, B. H. 2009.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Kor. J. Pl. Taxon. 39, 264-276. 

  13. Tzatzanis, M., Wrbka. T. and Sauberer, N. 2003. Landscape and vegetation responses to human impact in sandy coasts of Western Crete, Greece. J. Nat. Conserv. 11, 187-195. 

  14. Yuan, F., Guo, J., Shabala, S. and Wang, B. 2019. Reproductive physiology of halophytes: current standing. Front. Plant Sci. 9, 1954. doi: 10.3389/fpls.2018.01954. 

  15. Westfall, R. H. 1992. Objectivity in stratification, sampling and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Ph.D. thesis. University of Pretoria, Pretoria, South Afric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