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노인의 신체활동 예측요인: 도시노인과 시골노인의 차이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Older Adults: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2, 2010년, pp.191 - 201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urban and rural dwelling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A self-report questionnaire or face to face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336 older adul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노인의 거주 지역에 따른 신체활동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도시노인과 시골노인의 신체활동 예측요인을 파악하여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재가노인의 거주 지역별 신체활동의 차이와 도시노인과 시골노인의 신체활동 예측요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 기능이 저하된 노년기에도 적절한 신체활동을 지속하면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개인의 적성과 건강상태에 적합한 신체활동은 노인의 독립성과 건강수명을 늘릴 수 있는 유용한 건강증진전략이다(Browning, Sims, Kendig, & Teshuva, 2009; Kaplan, Newsom, McFarland, & Lu, 2001). 신체 기능이 저하된 노년기에도 적절한 신체활동을 지속하면 체력을 증진시키고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기능 저하를 막고 지연시킬 수 있으며(Ballard, McFarland, Wallace, Holiday, & Roberson, 2004; Craig et al., 2003; Park, 2007), 고혈압, 비만, 뇌졸중, 당뇨병 등 대표적 노년기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낮출 수 있다(Bae, 2004; Browning et al., 2009; Posner, Gorman, & Windsor-Landsberg, 1992; Yun, Jeon, & Lee, 2002).
개인의 적성과 건강상태에 적합한 신체활동은 무엇을 위한 유용한 건강증진전략인가? 개인의 적성과 건강상태에 적합한 신체활동은 노인의 독립성과 건강수명을 늘릴 수 있는 유용한 건강증진전략이다(Browning, Sims, Kendig, & Teshuva, 2009; Kaplan, Newsom, McFarland, & Lu, 2001). 신체 기능이 저하된 노년기에도 적절한 신체활동을 지속하면 체력을 증진시키고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기능 저하를 막고 지연시킬 수 있으며(Ballard, McFarland, Wallace, Holiday, & Roberson, 2004; Craig et al.
노년기 신체활동의 의의와 가치가 널리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년기 신체활동의 참여율은 젊은 성인에 비해 낮은 편인 이유는? 이와 같이 노년기 신체활동의 의의와 가치가 널리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년기 신체활동의 참여율은 젊은 성인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일반적 으로 노인들은 노화로 인한 근 골격계의 변화로 신체기능의 저하 및 상실을 경험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신체활동 참여율이 낮아질 수 있다(Bae, 2004; Ballard et al., 2004; Browni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cury, T. A., Snively, B. M., Bell, R. A., Smith, S. L., Stafford, J. M., Wetmore-Arkader, L. K., et al. (2006).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older adults with diabetes. The Journal of Rural Health, 22, 164-168. 

  2. Aronson, R. E., & Oman, R. F. (2004). Views on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dwelling senior citizens. The Journal of Rural Health, 20, 76-79. 

  3. Bae, J. H. (2004). The effects of sports social factors on continuous physical activity and resocialization in old woman. Korea Sport Research, 15, 869-880. 

  4. Ballard, J. E., McFarland, C., Wallace, L. S., Holiday, D. B., & Roberson, G. (2004). The effect of 15 weeks of exercise on balance, leg strength, and reduction in falls in 40 women aged 65 to 89 year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of Women's Association, 59, 255-261. 

  5. Browning, C., Sims, J., Kendig, H., & Teshuva, K. (2009).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Journal of Allied Health, 38, 8-17. 

  6. Brownson, R. C., Eyler, A. A., King, A. C., Brown, D. R., Shyu, Y. L., & Sallis, J. F.(2000). Patterns and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among US women 40 years and older.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0, 264-270. 

  7. Carruth, A. K., & Logan, C. A. (2002). Depressive symptoms in farm women: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farming lifestyle characteristics, behaviors, and belief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7, 213-228. 

  8. Craig, C. L., Marshall, A. L., Sjostrom M., Bauman A, E., Booth M. L., Ainsworth, B. E., et al.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12-count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al Science of Sports Exercise, 35, 1381-1395. 

  9. Davis, D. C., Henderson, M. C., Boothe, A., Douglass, M., Faria, S., Kennedy, D., et al. (1991). An interactive perspective on the health beliefs & practices of rural eld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7(5), 11-16. 

  10.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11. Han, I. Y., & Chung, S. (2002). Linkage effects of new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1, 145-156. 

  12. Hassinger, E. W., Hicks, L. L., & Godino, V. (1993). A literature review of health issues of the rural elderly. The Journal of Rural Health, 9, 68-75. 

  13. Hellman, E. (1997). Use of the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adherence model among older adults with a cardiac diagnosis.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17, 145-155. 

  14. Kaplan, M. S., Newsom, J. T., McFarland, B. H., & Lu, L. (2001).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late lif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1, 306-312. 

  15. Kim, O. S. (1997).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validity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871-879.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December). 2007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Author. 

  17.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125-135. 

  18. Lee, Y. J., & Kim, T. H. (1999). A study on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stres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 79-93. 

  19. Park, Y. H. (2007). Physical activity and sleep patterns in elderly who visited a community senior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13. 

  20. Plonczynski, D. J., Wilbur, J., Larson, J. L., & Thiede, K. (2008). Lifestyle physical activity of older rural wome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31, 501-513. 

  21. Posner, J. D., Gorman, K. M., & Windsor-Landsberg, L. (1992). Low to moderate intensity endurance training in healthy older adults: Physiologic responses after four month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40, 1-7. 

  22. Pullen, C., Fiandt, K., & Walker, S. N. (2001). Determinants of preventive services utilization in rural older wome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7, 40-51. 

  23. Sanderson, B., Littleton, M., & Pulley, L. (2002). Environmental, policy, and cultural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African American women. Women & Health, 36, 75-90. 

  24. Scharff, D. P., Homan, S., Kreuter, M., & Brennan, L. (1999).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women across the life span: Implic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Women & Health, 29, 115-134. 

  25. Semanik, P., Wilbur, J., Sinacore, J., & Chang, R. W. (2004). Physical activity behavior in older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Care & Research, 51, 246-252. 

  26. Sheikh, J. I.,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 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5, 165-172. 

  27. Song, M. S. (1991).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Wilcox, S., Bopp, M., Oberrecht, L., Kammermann, S. K., & McElmurray, C. T. (2003). Psychosocial and perceive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and older african american and white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Society, 58, 329-337. 

  29. Yu, H. H., & Kim, I. S. (2002). Health status, dietary patterns and living habits of the elderly in Jeon-ju. Nutritional Sciences, 5, 91-102. 

  30. Yun, S. N., Jeon, T. W., & Lee, H. J. (2002). A survey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ercise program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 Community Nursing, 16, 148-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