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식 환자를 위한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valu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Asthma who use Inhal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2, 2010년, pp.202 - 212  

이종경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  양영희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asthma who use inhaler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6 patients for the control group,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들은 연구마다 다양한 교육 방법으로 산발적으로 시행되어왔고 결과에 있어서도 일관성이 없었던 것으로 보아 정확한 흡입기 사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두 설명, 비디오 촬영, 동영상, 시범 및 실습, 행동 수정 스티커를 이용하여 간호사 주도의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이 흡입기 사용에 대한 지식, 흡입기 사용의 정확성, 천식 조절 불안정성, 최대 호기 유속(PEFR), 흡입 약물 효과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흡입기를 사용하는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흡입기 사용에 대한 지식, 흡입기 사용의 정확성, 최대 호기 유속(PEFR), 천식 조절 불안정성, 약물 효과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에서는 흡입제 사용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팀이 개발한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의 지식 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흡입기 사용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구대상 병원의 기관장과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호흡기내과 의사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와 관찰 기록지를 사용하여 사전조사를 하였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입기 사용에 대한 지식이 더 증가될 것이다.
  • 제2가설: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입기 사용의 정확성이 더 향상될 것이다.
  • 제3가설: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최대 호기 유속이 더 증가될 것이다.
  • 제4가설: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천식 조절 불안정성이 더 감소 될 것이다.
  • 제5가설: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입 약물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더 증가할 것이다.
  • 제6가설: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반복함에 따라 흡입기 사용의 정확성이 더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입기란 어떤 기구인가? 흡입기: 흡입기는 약물이 국소적으로 표적 기관인 기관지에 직접 투여되도록 흡입 치료에 사용하는 흡입용 기구로 본 연구에서는 정량식 흡입기(벤톨린, 후락소타이드, 알베스코)와 분말 흡입기(세레타이드, 심비코트, 풀미코트)의 2가지 종류를 말하며 보조기구를 사용한 경우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흡입기 사용에 대한 교육은 어떤 실정인가? 지금까지의 흡입기 사용에 대한 교육은 의사가 처방을 낼 때 간단한 설명을 해준 후 흡입기에 들어 있는 설명서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흡입기 제조 회사에서 나온 설명서들은 글씨가 작고 이해하기 어려워 설명서에만 의존하여서는 올바른 교육이 되기 어려운 실정이다(Basheti et al.
교육 프로그램은 5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5단계에 대해 설명한다면? 교육 프로그램은 구두설명, 비디오 촬영, 동영상 시청, 시범 및 실습, 오류 수정 스티커 부착의 5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단계는 그림 책자를 이용한 구두 설명으로 천식에 대한 이해, 흡입기 약물의 효능, 응급 시 대처 요령을 교육하였다. 2단계는 비디오 촬영 단계로 자신의 흡입기를 가지고 온 사람은 자신의 흡입기를 이용하여 그렇지 않은 사람은 흡입기 샘플을 이용하여 집에서 하는대로 사용해보도록 하고 대상자의 수행 모습을 비디오로 촬영하였다. 3단계에서는 동영상 시청 단계로 흡입기 사용법에 대한 동영상을 보여주고 대상자의 비디오 촬영 화면을 같이 비교하여 보여주어 대상자가 자신의 오류 부분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4단계는 시범 및 실습 교육으로 오류를 범한 부분을 중심으로 흡입기 샘플로 연구자가 직접 시범을 보여준 다음 대상자가 실습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 5단계에서는 오류 수정 스티커 부착 단계로 흡입기 사용 각 단계 중 오류를 범하는 부분을 형광펜으로 표시하고 스티커를 부착하여 주어 집에서 사용 시마다 스티커를 보면서 오류 부분을 교정하도록 하였다. 1차 교육은 사전조사 직후에 실시하였고 2차 교육과 3차 교육은 각각 1개월 후와 2개월 후에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sheti, I. A., Armour, C. L., Bosnic-Anticevich, S. Z., & Reddel, H. K. (2008). Evaluation of a novel educational strategy, including inhaler-based reminder labels, to improve asthma inhaler techniqu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2, 26-33. 

  2. Basheti, I. A., Reddel, H. K., Armour, C. L., & Bosnic-Anticevich, S. Z. (2005). Counseling about turbuhaler technique: Needs assessment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community Pharmacists. Respiratory Care, 50, 617-623.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baum Associates Publishers. 

  4. Epstein, S., Maidenberg, A., Hallett, D., Khan, K., & Chapman, K. R. (2001). Patient handling of a dry powder inhaler in clinical practice. Chest, 120, 1480-1484. 

  5. Fink, J. B., & Rubin, B. K. (2005). Problems with inhaler use: A call for improved clinician and patient education. Respiratory Care, 50, 1360-1375. 

  6. Giraud, V., & Roche, N. (2002). Misuse of corticosteroid metereddose inhaler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asthma stabilit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19, 246-251. 

  7. Hilton, S. (1990). An audit of inhaler technique among asthma patients of 34 general practitioners.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40, 505-506. 

  8. Johnson, D. H., & Robart, P. (2000). Inhaler technique of outpatients in the home. Respiratory Care, 45, 1182-1187. 

  9. Khassawneh, B. Y., Al-Ali, M. K., Alzoubi, K. H., Batarseh, M. Z., Al-Safi, S. A., Sharara, A. M., et al. (2008). Handling of inhaler devices in actual pulmonary practice: Metered-dose inhaler versus dry power inhalers. Respiratory Care, 53, 324-328. 

  10. Kim, S. G., Jang, A. S., Kim, Y. K., Lee, S., Seo. J. P., Yang, S. W., et al. (2000). The effect of patient education on correct use of metered dose inhalers in patients with asthm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 695-701. 

  11. Kwak, J. H., Kwon, D. Y., Han, S. B., & Jeon, Y. J. (2000). Validity of peak expiratory flow for assessing reversible airflow obstruction.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48, 522-529. 

  12. Kwon, M. G., Jung , H. M., & Jin, Y. D. (2005). The approach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atient education for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ystem Pharmacists, 22, 19-22. 

  13. Lee, M. B. (1999). Clinical outcome of educational program using self-monitoring of peak expiratory flow rate for asthma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4. Luk, H. H., Chan, P. M., Lam, F. F., Lau, K. Y., Chiu, S. Y., Fung, Y. L., et al. (2006). Teaching chronic obstructive airway disease patients using a metered-dose inhaler. Chinese Medical Journal, 119, 1669-1672. 

  15. Markson, L. E., Vollmer, W. M., Fitterman, L., O'connor, E., Narayanan, S., Berger, M., et al. (2001). Insight into patient dissatisfaction with asthma treatment. Archives Internal Medicine, 161, 379-384. 

  16. Mogil, J. (2007). Many asthma patients experience persistent symptoms despite appropriate clinical and guideline-based treatment with inhaled corticosteroid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9, 459-470. 

  17. Molimard, M., Raherison, C., Lignot, S., Depont, F., Abouelfath, A., & Moore, N. (2003). Assessment of handling of inhaler devices in real life: An observational study in 3,811 patients in primary care. Journal of Aerosol Medicine, 16, 249-254.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January 19). Analysis of patients with environmental disease in 2007. Retrieved July 20, 2009, from http:// www.nhic.or.kr/cms/ board/ board/Board.jsp?actVIEW&communityKeyB0070 &boardId489 

  19.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7, August 28).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Expert Panel Report III: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Retrieved July 8, 2008, from http://www.nhlbi.nih.gov/guidelines/ asthma/ asthgdln.pdf 

  20. Nunn, A. J., & Gregg, I. (1989). New regression equations for predicting peak expiratory flow in adults. British Medical Journal, 298 (6680), 1068-1070. 

  21. Park, S. Y., Cho, Y. S., Ji, H. S., Lee, J. C., Kim, Y. Y., Lee, T. H., et al. (2003). Evaluation of the inhalation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asthma. The Korean Journal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3, 781-787. 

  22. Prabhakaran, L., Lim, G., Abisheganaden, J., Chee, C. B., & Choo, Y. M. (2006). Impact of an asthma education programme on patients' knowledge, inhaler technique and compliance to treatment. Singapore Medical Journal, 47, 225-231. 

  23. Savage, I., & Goodyer, L. (2003). Providing information on metered dose inhaler technique: Is multimedia as effective as print? Family Practice, 20, 552-557. 

  24. Scarpaci, L. T., Tsoukleris, M. G., & Mcpherson, M. L. (2007). Assessment of hospice nurses' technique in the use of inhalers and nebulizer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0, 665-676. 

  25. Son, H. Y., Kim, M. G., Kwon, M. G., Jung, H. M., & Jin, Y. D. (2007). The assessment of the levels of patient satisfaction and the strategy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in Paik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4, 124-130. 

  26. Song, W. S., Mullon, J., Regan, N. A., & Roth, B. J. (2005). Instruc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by respiratory therapists on metereddose inhaler use leads to decrease in patient errors. Respiratory Care, 50, 1040-1045. 

  27. Yu, S. K., Park, S. I., Park, S. Y., Park, J. K., Kim, S. E., Kim, J. Y., et al. (2007). The effect of repeated education using a computerized scoring system for the proper use of inhalation medicin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 63, 491-4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