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Mother's Adaptation to Breastfeed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2, 2010년, pp.225 - 235  

김선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breastfeeding adaptation from among the following: parity and feeding behavior,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and demographic factors. Methods: The respondents were 179 breastfeeding mot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 to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모유수유 적응과 관련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모유수유 실천 및 지속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위주로 고찰하여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구학적 요인, 출산 및 수유관련 요인, 심리적, 사회적 지지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산후 초기 몇 주 이내로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수유 과정 동안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출산 후 모유수유가 어느 정도 정착되는 시기인 4주 이후부터 12개월 동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모유수유 적응에 대한 이론 개발 및 모유수유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Roy의 적응모형에 따라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어머니의 연관자극(출산 및 수유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과 잔여자극(인구학적 요인)이 모유수유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Figure 1).
  • 초점자극은 어머니와 아기의 직접적인 수유 행동이 되며, 연관자극은 출산 및 수유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을 들 수 있고, 잔여자극은 모유수유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려운 어머니의 인구학적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점자극으로 고려되는 어머니와 아기의 직접적인 수유행동은 측정상의 어려움 때문에 연구대상자를 현재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어머니로만 선별하여 통제하였고, 연관자극과 잔여자극의 요인만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들 자극이 모유수유 적응 과정에 영향을 주는지, 어떤 요인이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산후 초기 몇 주 이내로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수유 과정 동안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야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Roy의 적응 모형을 적용하여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주는 내∙외적 환경 자극 중에 현재 모유수유 비율, 현재 수유문제 유무, 이전 모유 수유 기간, 결혼만족,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의 연관 자극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고, 잔여자극의 요인들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에서는 모유수유 적응 정도와 주요 영향요인을 위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y의 적응 모형을 적용하여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할 때 구체적인 목적은 어떻게 되는가? 첫째, 모유수유하는 어머니의 잔여자극(인구학적 요인) 및 연관자극(출산 및 수유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의 특성, 모유수유 적응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모유수유하는 어머니의 잔여자극과 연관자극에 따른 모유수유 적응의 차이를 확인한다. 셋째, 잔여자극과 연관자극 및 모유수유 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넷째, 모유수유를 하는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다.
초기에 모유수유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6%로 크게 감소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이렇게 초기의 모유수유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것은 모유수유 과정동안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이며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Huggins & Ziedrich, 2007; Kim, 2008).
초기의 수유행동이 정착되기까지 필요한 기간은? 출산 후 모유수유를 하는 어머니들은 수유와 관련된 신체적인 변화를 겪게 되며, 새로운 어머니로서 역할에 적응해야 할 뿐만 아니라 모유수유에 대한 긴장과 불안을 느낀다(Kalnins, Stone, & Touw, 2007). 아기 또한 수유 자세와 젖꼭지를 빨고 삼키는데 익숙해지기까지 서툰 시기를 겪으며, 이러한 초기의 수유행동이 정착되기까지 약 4내지 6주의 기간이 걸린다. 이때 수유 행동이 정착되지 못하면 이 시기가 지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고, 결국 생후 12개월 이전에 모유수유를 중단하게 된다(Huggins & Ziedrich,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Korea. (2006). New mother's guide to breastfeeding. Seoul: $E^*PUBLIC$ . 

  3. Ahluwalia, I. B., Morrow, B., & Hsia, J. (2005). Why do women stop breastfeeding? Findings from the pregnancy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system. Pediatrics, 116, 1408-1412. 

  4. Ahn, O. S. (2005).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among mothers during puerperi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Gyeongju. 

  5. Altemus, M., Deuster, P. A., Galliven, E., Carter, C. S., & Gold, P. W. (1995). Suppression of hypothalmic-pituitary-adrenal axis responses to stress in lactating wome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0, 2954-2959. 

  6. Bandura, A. (2008).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Borenstein, M., Rothstein, H., & Cohen, J. (1997). Power and precision. Englewood, NJ: Lawewnce Erlbaum. 

  8. Choi, G. R. (2007). Family relations. Goyang: Gongdongche. 

  9. Dennis, C. L. (2002). Breastfeeding initiation and duration: A 1990-2000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 12-32. 

  10. Fawcett, J. (2005). Contemporary nursing knowledge: Analysis and evaluation of nursing models and theories (2nd ed.). Philadelphia, PA: F. A. Davis Company. 

  11. Foster, D. A., & McLachlan, H. L. (2007). Breastfeeding initiation and birth setting practic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idwifery &Women's Health, 52, 273-280. 

  12. Hannula, L., Kaunonen, M., & Tarkka, M. T. (2008). A systematic review of professional support interventions for breastfeed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1132-1143. 

  13. Hedberg-Nyqvist, K. H., & Ewald, U. (1999). Infant and matern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breastfeeding behavior and breastfeeding outcome in preterm infants. Acta Paediatrica, 88, 1194-1203. 

  14. Huggins, K., & Ziedrich, L. (2007). The nursing mother's guide to weaning. Boston, MA: The Harvard Common Press. 

  15. Isabella, P. H., & Isabella, R. A. (1994). Correlates of successful breastfeeding: A study of social personal factor. Journal of Human Lactation, 10, 257-264. 

  16. Jang, G. J., Kim, S. H., & Jeong, K. S. (2008). Effect of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by nurse on the breast-feeding preval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72-179. 

  17. Kalnins, D., Stone, D., & Touw, J. (2007). Better breastfeeding: A mother's guide to feeding and nutrition. Toronto: Robert Rose Inc. 

  18. Kim, S. H. (200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evaluate adaptation to breastfee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Kim, S. H. (2009a). Development of a breast feeding adaptation scale (BF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259-269. 

  20. Kim, S. H. (2009b). Factors explaining mothers' breastfeeding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270-279. 

  21. Kronborg, H., & Vaeth, M. (2004). The influence of psychosocial factors on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2, 210-216. 

  22. Lee, S. O. (2003). A study about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problem of breastfeeding in early postpartum period and breastfeeding practi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 179-188. 

  23. Lewallen, L. P., Dick, M. J., Flowers, J., Powell, W., Zickefoose, K. T., Wall, Y. G., et al. (2006). Breastfeeding support and early cessat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 166-172. 

  24. Mezzacappa, E. S., & Katlin, E. S. (2002). Breast-feeding is associated with reduced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 mood in mothers. Health Psychology: Official Journal of the Division of Health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 187-193. 

  25.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July 5).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y. Retrieved October 12, 2007, from http://www.mw.go.kr/front/al/sal0301ls.jsp?PAR_MENU_ID04&MENU_ID0403 

  26. Park, H. M. (1994). A study on parental stress based on the parenting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Rempel, L. A., & Fong, G. T. (2005). Why breastfeed? A longitudinal test of the reasons model among first-time mothers. Psychology & Health, 20, 443-466. 

  28. Riordan, J., & Wambach, K. (2009). Breastfeeding and human lactation (4th ed.).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9. Roy, S. C., & Andrews, H. A. (1999). The Roy adaptation model (2nd ed.). Stamford, CT: Appleton & Lange. 

  30. Yeo, J. H. (2007). Influencing factors in breast feeding dur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142-147. 

  31. Yoon, J. W. (2006).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breastfeeding self-efficacy program for working mo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