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남편의 지지가 모유수유 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renting Stress and Husband's Support on Breastfeeding Adaptation among Breastfeeding Mother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4, 2017년, pp.233 - 242  

허승희 (참조은산부인과) ,  노윤구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ress, husband's support, and breastfeeding adaptation in mothers. Methods: A correlational survey design was utiliz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81 breastfeeding mothers with infants under 12 months of age. Particip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유수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남편의 지지 및 모유수유 적응 수준을 확인하고 양육 스트레스, 남편의 지지가 모유수유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모유수유적응과 양육 스트레스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가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지녔다는 사회적 지지와 건강에 대한 모델에 근거하여, 모유수유 어머니의 가장 가까운 측근인 남편의 지지가 모유수유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는 양육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 남편의 지지, 현재 수유형태가 완전모유수유, 아기월령 순이었다.
  • 또한 정서적 지지가 모유수유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11]은 주변사람의 지지가 모유수유 적응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의 한 부분인 남편의 지지가 모유수유적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적 지지와 건강에 대한 모델이 제시한 사회적 지지가 건강행동에 이르는 잠재성을 연구를 통하여 실증하였다. 남편의 지지 중 점수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내 행동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아기를 안아준다’, ‘내 의견을 잘 들어준다’ 순으로 남편의 지지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지지 영역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수유 중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남편의 지지, 모유수유 적응 정도와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모유수유 적응의 차이를 파악하며, 양육 스트레스, 남편의 지지, 모유수유 적응간 관계를 확인하고, 양육 스트레스, 남편의 지지가 모유수유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 본 연구에서 출산 4주 이후 모유수유 중인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는 양육 스트레스, 남편의 지지, 현재 수유형태(완전 모유수유), 아기월령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 정도와 주요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모유수유 어머니를 대상으로 성공적인 모유수유 적응 및 어머니와 모유수유아의 건강증진의 일환으로 양육 스트레스와 남편의 지지가 모유수유 적응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유수유 적응이란? 모유수유 적응이란 어머니와 아기가 모유수유를 하는 과정에서 생리적, 자아개념, 역할기능, 상호의존 양상에 적응하는 과정이다[8]. 초기의 성공적인 모유수유는 모유수유를 지지하는 배우자, 가족, 건강전문가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9].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완전모유수유의 우리나라 현황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생후 6개월까지는 이유식의 보충 없이 완전모유수유를 하도록 권고하며, 생후 6개월부터 만 2세까지는 적절한 이유식과 함께 모유수유를 하는 것이 이상적인 것으로 권장하고 있다[3]. 그러나 모유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의 완전모유수유율은 생후 4주에 55.6%로 가장 높다가, 생후 3개월에 47.2%, 생후 5개월에 28.8%로 감소하여 생후 6개월에는 9.4%로 감소하는 아주 낮은 실천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4]. WHO에 따르면 모유수유는 아기의 건강과 생존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6개월 미만 아기의 40%만이 완전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
모유수유의 효과는? 모유수유는 영양학적으로나 면역학적으로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우수한 영양방법으로 성장 후 비만과 성인병을 예방하며 지속적인 모유수유는 어머니와 아기의 사회심리적인 측면의 건강과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생후 6개월까지는 이유식의 보충 없이 완전모유수유를 하도록 권고하며, 생후 6개월부터 만 2세까지는 적절한 이유식과 함께 모유수유를 하는 것이 이상적인 것으로 권장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he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Korea. About breastfeeding, breast milk [Internet]. Seoul: Author; 2006 [cited 2016 October 10]. Available from: http://www.bfmed.co.kr/sub.html?cate1 

  2. Haku M. Breastfeed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ntinuation of breastfeeding, the current situation in Japan,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The Journal of Medical Investigation. 2007;54(3-4):224-234. 

  3. World Health Organization. Exclusive breastfeeding for six months best for babies everywhere [Internet]. Geneva: Author; 2011 [cited 2016 October 10].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news/statements/2011/breastfeeding_20110115/en/ 

  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survey in 2015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6 October 10].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common/filedown.do?seq35448 

  5. World Health Organization. 10 facts on breastfeeding [Internet]. Geneva: Author; 2017 [cited 2017 Sept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features/factfiles/breastfeeding/en/ 

  6. Yeo JH. Maternal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breast feeding practi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3):149-156. 

  7. Huggins K, Ziedrich L. The nursing mother's guide to weaning. 2nd ed. Boston, MA: The Harvard Common Press; 2007. 190 p. 

  8. Kim SH. Development of a breastfeeding adaptation scale (BF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2):259-269. 

  9. Ingram J, Johnson D, Greenwood R. Breastfeeding in Bristol: teaching good positioning, and support from fathers and families. Midwifery. 2002;18(2):87-101. 

  10. Yang HJ, Seo JM. A structural model for primiparas' breastfeed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99-408. 

  11. Kim ES, Jeong MJ, Kim S, Shin HA, Lee HK, Shin KY, et al. Maternal psychosocial factors that affect breastfeeding adaptation and immune substances in human milk.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14-28. 

  12. Kim SH. Factors affecting mother's adaptation to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225-235. 

  13. Ahn SH, Kim YM. Association of parenting stresses, maternal role adjustment, and types of feeding during hospital stays at birth to breastfeeding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262-271. 

  14. Mulsow M, Caldera YM, Pursley M, Reifman A, Huston AC.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02;64(4):944-956. 

  15. Dewey KG. Maternal and fetal stress are associated with impaired lactogenesis in humans. The Journal of Nutrition. 2001;131(11):3012S-3015S. 

  16. Kendall-Tackett K. A new paradigm for depression in new mothers: The central role of inflammation and how breastfeeding and anti-inflammatory treatments protect maternal mental health. 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2007;2:6. 

  17. Lee YM, Lee JE. The effects of temperament of mother, parenting stress, and spouse support on the development of 3 months infant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4;86:259-281. 

  18. Cutrona CE. Social support in couples: Marriage as a resource in times of stress. London: Sage Publications; 1996. 127 p. Cited by Kim SJ. Mediation effect of work-family enri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in dual earner couples: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5. 184 p. 

  19. Glanz KE, Rimer BK, Viswanath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8. p. 189-210. 

  20. Kim SY, Choi HY.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y their children's emotionality and their husbands' support on parenting.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7;45(8):1-11. 

  21. Mayr S, Erdfelder E, Buchner A, Faul F. A short tutorial of G* Power. Tutorials in Quantitative Methods for Psychology. 2007;3(2):51-59. 

  22. Song JE. A structural model of postpartum fatigue of the primipara in Korea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147 p. 

  23. Bai JY.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2;11(4);572-587. 

  24. Kim YK. Adaptaion of breastfeeding and maternal self-efficacy of mothers with infa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0. 62 p. 

  25. Li J, Kendall GE, Henderson S, Downie J, Landsborough L, Oddy WH. Maternal psychosocial wellbeing in pregnancy and breastfeeding duration. Acta Paediatrica. 2008;97(2):221-225. 

  26. Boutet C, Vercueil L, Schelstraete C, Buffin A, Legros JJ. Oxytocin and maternal stres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In Annales d'Endocrinologie. 2006;67(3):214-223. 

  27. Lee SY, Kwon IS. A comparative study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infant's feeding meth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12(3):231-239. 

  28. Lee JS.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3;23(3):5-19. 

  29. Clifford J, McIntyre E. Who supports breastfeeding? Breastfeeding Review. 2008;16(2):9-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