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르베린이 마우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rberine on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in Mic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8 = no.124, 2010년, pp.1276 - 1280  

정수룡 (동의대학교 동의의료원 내과) ,  최명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박인달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김광혁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berberine이 전염증성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TNF-$\alpha$, IL-$1{\beta}$, 그리고 IL-6생성을 정량하였다. 마우스 비장세포에 berberine을 작용시켰을 때 TNF-$\alpha$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마우스 생체 내에서 LPS에 의한 TNF-$\alpha$의 상승이 berberine에 의해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IL-$1{\beta}$의 생성에 있어서도 berberine을 고농도(3.0 ${\mu}g/ml$)로 작용시켰을 때 억제되었고 LPS에 의한 IL-$1{\beta}$의 상승이 고농도의 berberine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IL-6의 생성은 berberine에 의해서 억제되었으며 낮은 berberine 농도(0.3 ${\mu}g/ml$)에서 LPS에 의한IL-6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berberine이 TNF-$\alpha$, IL-$1{\beta}$, 그리고 IL-6와 같은 전염증성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하향 조절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rberine has shown a number of beneficial effects, including anti-tumor, anti-inflammation, and vasodilatory effects.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rberine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1{\beta}$, and IL-6 in mic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berberine을 이용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그리고 IL-6의 생성을 마우스 비장세포 배양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erberine이란? Berberine은 황백(Phellodendri cortex) 및 황련(Coptis rhizoma)의 주성분인 isoquinoline 계 알칼로이드 물질로 항염증작용[12], 항부정맥작용[13], 항암작용[1,3,7,9,18], 면역억제작용[16], 항당뇨[20], 항고지혈작용[11,22] 등의 약리활성과 Candida albicans 등의 여러 가지 곰팡이, 박테리아, 원충, 바이러스, 기생충에 대항하여 항균작용[2,5,6,17]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rberine은 약제내성을 보이는 C.
Berberine의 약리활성 기능은? Berberine은 황백(Phellodendri cortex) 및 황련(Coptis rhizoma)의 주성분인 isoquinoline 계 알칼로이드 물질로 항염증작용[12], 항부정맥작용[13], 항암작용[1,3,7,9,18], 면역억제작용[16], 항당뇨[20], 항고지혈작용[11,22] 등의 약리활성과 Candida albicans 등의 여러 가지 곰팡이, 박테리아, 원충, 바이러스, 기생충에 대항하여 항균작용[2,5,6,17]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rberine은 약제내성을 보이는 C.
정상마우스의 비장에서 분리된 세포 부유액에 농도별 berberine을 작용시켰을 때 생성되는 TNF-α의 양을 측정한 결과는? 정상마우스의 비장에서 분리된 세포 부유액에 berberine을 작용시켰을 때 생성되는 TNF-α의 양을 측정하였다. Berberine, 0.3μg/ml을 작용시켰을 때 6시간 배양에서 TNF-α가 35.14 pg/ml, 24시간 배양에서는 61.43 pg/ml을 나타내어 대조군보다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1.0 μg/ml을 작용시켰을 때는 6시간 배양에서 대조군보다 낮았으나 24시간 배양에서는 대조군보다 높았다. Berberine, 3.0 μg/ml을 작용시켰을 때에는 6, 24시간째 모두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Table 1). 마우스 비장세포에 LPS를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is, K. V., N. V. Rajeshkumar, and R. Kuttan. 2001. Inhibition of chemical carcinogenesis by berberine in rat and mice. J. Pharm. Pharmacol. 53, 763-768. 

  2. Creasey, W. A. 1979. Biochemical effects of berberine. Biochem. Pharmacol. 28, 1081-1084. 

  3. Iizuka, N., K. Miyamoto, K. Okita, A. Tangoku, H. Hayashi, S. Yoshino, T. Abe, T. Morioka, S. Hazama, and M. Oka. 2000. Inhibitory effect of Coptidis Rhizoma and berberine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esophageal cancer cell lines. Cancer Lett. 148, 19-25. 

  4. Iizuka, N., K. Miyamoto, S. Hazama, S. Yoshino, K. Yoshimura, K. Okida, T. Hukumoto, S. Yamamoto, A. Tangoku, and M. Oka. 2000. Anticachectic effect of Coptidis rhizoma, an antiinflammatory herb, on esophageal cancer cells that produce interleukin 6. Cancer Lett. 158, 35-41. 

  5. Ikram, M. 1975. A review on the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genus Berberis. Planta Med. 28, 353-358. 

  6. Ivanovska, N. and S. Phillip. 1996.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of Berveris vulgaris root extract, alkaloid fractions and pure alkaloids. Int. J. Immunopharmacol. 18, 553-561. 

  7. Jantova, S., L. Cipak, M. Cernakova, and D. Kost'alova. 2003. Effect of berberine on proliferation, cell cycle and apoptosis in HeLa and L1210 cells. J. Pharm. Pharmacol. 55, 1143-1149. 

  8. Kallapur, S. G. and A. H. Jobe. 2006. Contribution of inflammation to lung injury and development.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91, 132-135. 

  9. Kettmann, V., D. Kosfalova, S. Jantova, M. Cernakova, and J. Drimal. 2004. In vitro cytotoxicity of ververine against HeLa and L1210 cancer cell lines. Pharmazie 59, 548-551. 

  10. Kim, S. M., Y. Kim, J. E. Kim, K. H. Cho, and J. H. Chung. 2008. Berberine inhibits TPA-induced MMP-9 and IL-6 expression in normal human keratinocytes. Phytomedicine 15, 340-347. 

  11. Kong, W. J., Z. Y. Zuo, Y. M. Wang, D. Q. Song, X. F. You, L. X. Zhao, H. N. Pan, and J. D. Jiang. 2008. Combination of simvastatin with berberine improves the lipid-lowering efficacy. Metab. Clin. Exp. 57, 1029-1037. 

  12. Kuo, C. L., C. W. Chi, and T. Y. Liu. 2004. The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berberine in vitro and in vivo. Cancer Lett. 203, 127-137. 

  13. Lau, C. W., X. Q. Yao, Z. Y. Chen, W. H. Ko, and Y. Huang. 2001. Cardiovascular actions of berberine. Cardiovasc. Drug Rev. 19, 234-244. 

  14. Lee, C. H., J. C. Chen, C. Y. Hsiang, S. L. Wu, H. C. Wu, and T. Y. Ho. 2007. Berberine suppresses inflammatory agents-induced interleukin-1 $\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productions via the inhibition of I $\kappa$ B degradation in human lung cells. Pharmacol. Res. 56, 193-201. 

  15. Liu, Y., H. Yu, C. Zhang, Y. Cheng, L. Hu, X. Meng, and Y. Zhao. 2008. Protective effects of berberine on radiation-induced lung injury via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ar-1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Eur. J. Cancer 44, 2425-2432. 

  16. Marinova, E. K., D. B. Nikolova, D. N. Popova, G. B. Gallacher, and N. D. Ivanovska. 2000. Suppression of experimental autoimmune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in BALB/C mice by berberine. Immunopharmacol. 48, 9-16. 

  17. Shvarev, I. F. and A. L. Tsetlin. 1972. Anti-blastic properties of berberine and its derivatives. Farmakol. Toksikol. 35, 73-75. 

  18. Sun, Y., K. Xun, Y. Wang, and X. Chen. 2009. A systematic review of the anticancer properties of berberine, a natural product from Chinese herbs. Anticancer Drugs 20, 757-769. 

  19. Xu, Y., Y. Wang, and L. Yan. 2009. Proteomic analysis reveals a synergistic mechanism of fluconazole and berberine against fluconazole-resistant Candida albicans: endogenous ROS augmentation. J. Proteome Res. 8, 5296-5304. 

  20. Yin, J., H. L. Xing, and J. P. Ye. 2008. Efficacy of berberin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Metab. Clin. Exp. 57, 712-717. 

  21. Yu, H. H., K. J. Kim, J. D. Cha, H. K. Kim, Y. E. Lee, N. Y. Choi, and Y. O, You.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berberine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mpicillin or oxacillin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Med. Food 8, 454-461. 

  22. Zhao, W., Z. X. Zhou, W. J. Kong, and J. D. Jiang. 2008. Reduction of blood lipid by berberine in hyperlipidemic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or liver cirrhosis. Biomed. Pharmacother. 62, 730-7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