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련(Coptis chinensis) 추출물의 항균, 항진균 효과와 BCOP 분석을 이용한 안전성 검증
Antimicrobial, antifungal effect and safety verification using BCOP assay of extracts from Coptis chinensi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3, 2018년, pp.297 - 304  

김은희 (Department of Cosmeceutical Science, Daegu Haany University) ,  장영아 (Department of Cosmeceutical Science, Daegu Haany University) ,  김솔비 (Department of Cosmeceutical Science, Daegu Haany University) ,  김한혁 (Medical Convergence Textile Center, Reasearch & Certification Team, Gyeongbuk Technopark) ,  이진태 (Department of Cosmeceutical Science, Daegu Haany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련은 한의학에서 진정, 소염, 항균 및 해열에 쓰이고 있으며, 주성분인 berberine은 강력한 항균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련에 대한 피부상재균 및 주거환경의 실내 낙하균에 대한 항균효과와 주거 환경에서 검출빈도가 높은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효과 및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황련 열수 추출물(CW)은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각기 다른 4곳에서 포집된 실내 낙하균에 대해서도 항균효과를 보였다. 100 mg/mL의 농도에서 42일까지 항균의 지속력과 열처리 후에도 항균력의 변화가 없는 열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CW의 MIC와 MBC는 S. aureus는 0.03, 0.05 mg/mL, S. epidermidis는 0.50, 0.75 mg/mL, P. acne는 0.10, 0.15 mg/mL 였다. 주변 환경에서 검출빈도가 높은 5종의 곰팡이 중 4종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며, 균사 생장의 100%를 억제할 수 있는 최저 농도로 결정하여 MIC를 측정한 결과 Gliocladium virens는 65 mg/mL이었다. Aureobasidium pullulans에 대한 MIC는 90 mg/mL, Penicilium pinophilum 및 Chaetomium globosum에 대한 MIC는 100 mg/mL로 측정되었다. 피부자극 테스트인 패치테스트와 안자극 테스트인 ocular mucous membrane irritation evaluation test에서도 CW는 자극을 보이지 않는 안전한 추출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황련(Coptis chinensis)은 항균, 항진균 활성 및 인체 안전성을 가지는 화장품 및 주거 환경 산업의 소재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ptis chinensis is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soothing, anti-inflammation, antimicrobial and antipyretic properties, and its main ingredient berberine is known to have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Coptis chinen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능성 신소재의 탐색과 검증을 위한 연구가 이어져오고 있으며 최근 합성 보존료가 첨가된 제품의 사용을 기피하게 되면서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 항균성 물질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2]. 본 연구에서는 황련의 항균, 항진균의 활성을 가지는 안전한 소재로서의 활용을 검토하기 위해 시료를 열수 추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련 열수추출물은 피부상재균인 P.
  • 이전의 연구에서 황련의 항균 효과는 충분히 진행되었으나, 주거환경에 존재하는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검증은 미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련의 항균성, 항진균성에 대해 조사하고, 화장품 및 주거 환경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천연 소재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 소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피부상재균 이외에도 화장품을 변질시키는 세균도 피부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주거공간 내의 곰팡이 발생은 질병을 유발한다. 이를 사멸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나 방부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물질들은 인체에 알레르기를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항균성, 방부력을 가진 천연 소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Aureobasidium pullulans의 위험성은? 최종태 등은 병원에서의 공기 중 미생물 분포에 대해 조사하여 병원의 각 구역별 농도분포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된 진균에 대해 보고하였고[14], 정윤희 등은 건물 내 환기와 세균 및 진균의 농도관계에 대해 조사 및 보고하였다[15]. Aureobasidium pullulans는 토양, 목재 및 집안 먼지와 같은 환경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16], 가습기나 에어컨을 통해 A.pullulans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과민성 폐렴이나 “가습기 폐”로 이어질 수 있다[17]. Gliocladium virens는 Hypocreaceae의 자엽 곰팡이이며, 인간에 대한 원인균은 Gliocladium과 같은 mitosporic이다[18].
방부제의 역할은? 천연 항균제의 보고인 식용식물의 항균활성 물질의 경우 alkaloid계, essential oil, flavonoid계, tannin을 비롯하여 대부분이 terpenoid계와 quinone계, volatile oil 및 phenolic compound 등의 이차대사산물이거나 그 유도체들로 알려져 있다[4]. 방부제는 미생물 증식을 방지하거나 지연시켜 제품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성분으로. 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에서 사용되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Tabance N, Kirimer N, Demirci F, Baser K (2001) Composo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Micromeria cristata subsp. phrygia and the enantiomeric distribution of borenol. J Agric Food Chem 49: 4300-4303 

  2. Sofos JN, Beuchat LR, Davidson PM, Johns EA (1998) Naturally ocurring and miscellaneous food antimicrobials. Regul Toxicol Pharmacol 28: 71-72 

  3. Conner DE, Beuchat IR (1984) Effest of essential oils from plants on growth of food spoilage yeasts. J Food Sci 49: 429 

  4. Woo WS (2001) Natural Product Chemistry Research Act.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2-45 

  5. Oh DH, Ham SS, Park BK, Ahn C, Yu JY (199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 borne disease microorganisms. J Kor Food Sci Technol 30: 957-963 

  6. Cho MH, Bae EK, Ha SD, Park JY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J Food Sci & Industry 38: 36-45 

  7. Cho JY, Choi I, Hwang EK (2003) Antimicrobial act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Escherichia coli. Kor J Vet Res 43: 625-631 

  8. Kim HJ, Ahn MS, Kim GH, Kang MH (2006) Antioxidative from different aerial part. Kor J Food Sci Technol 38: 799-804 

  9.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Kim SJ, Lee SJ, Lee CJ, Ahn DH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a., J Kor Soc Food Sci Nutr 38: 14-18 

  10. Eftekhar NS (1973) The Surgeon and Clean Air in the Operating room. Clinical Orthopacdics and Related Research 96: 188-194 

  11. Johnson MD, Kim HR, Chesler L, Taao-Wu G, Bouck N, Polverini PJ (1994) Inhibition of angiogenesis by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J Cell Physiol 160: 194-202 

  12. Robbins CA, Swenson L (2000) Health Effects of Mycotoxins in Indoor Air: A Critical Review. J Occup Environ Hyg 15: 773-784 

  13. Clark NM, Ammann HM, Brunekreef B, Eggleston P, Fisk WJ, Fullilove RE, Guernsey J, Nevalainen A, Von Essen SG, Brennan T, Douwes J (2004) Damp indoor spaces and health (executive summary),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14. Choi JT, Kim YS (1993) Investigation on Concentration of Airborne Microbes in a Hospital. Kor J Env Hlth Soc 19: 30-36 

  15. Chung YH, Hong JB, Chang YH (2001) Study on the microbial air pollution of urban living and indoor environment. Kor J Env Hlth Soc 27: 1-9 

  16. Perez RI, Chacon J, Fidalgo A, Martin J, Paraiso V, Munoz-Bellido JL (1997) Peritonitis by Aureobasidium pullulans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Nephrol Dial Transplant 12: 1544-1545 

  17. Bolignano G, Criseo G (2003) Disseminated Nosocomial Fungal Infe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var. melanigenum: a Case Report. J Clin Microbiol 41: 4483-4485 

  18. Miller JH, Giddens JE, Foster AA (1957) A survey of the fungi of forest and cultivated soils of Georgia. Mycologia 49: 779-808 

  19. Buommino E, Tirino V, De Filippis A, Silvestri F, Nicoletti R, Ciavatta ML, Pirozzi G, Tufano MA (2011) 3-O-methylfunicone, from Penicillium pinophilum, is a selective inhibitor of breast cancer stem cells. Cell Prolif 44: 401-409 

  20. Provost N, Shi C, She Y, Cyr T, Miller D (2013) Characterization of an antigenic chitosanase from the cellulolytic fungus Chaetomium globosum. Med Mycol 51: 290-299 

  21. Samson RA, Houbraken J, Summerbell RC, Flannigan B, Miller JD (2011) Common and important species of fungi and actinomycetes in indoor environments. Microogranisms in Home and Indoor Work Environments, pp 321-511 

  22. Ji YJ, Lee JW, Lee IS (2007) Antimicrobial effect of medicinal plants against methic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J Life Sci 17: 412-419 

  23. Kim BS, Jang HS, Choi CS, Kim JS, Kwon GS, Kwun IS, Son KH, Sohn HY (2008) Antifungal activity of Zanthaxylum schinifolium against Fusarium graminearum, a barley powdery mildew fungus. J of Life Sci 18: 974-979 

  24. Mobley HLT, Cortesia MJ, Roseuthal LE, Jones BD (1988) Characterization of urease from Campylobacter pylori. J Clin Microbiol 26: 831-836 

  25. Yun NR, Jeong IY, Lee YN, Lim JY (2008)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acetate on bacteria associated with food-borne disease. J Chitin Chitosan, 13: 30-35 

  26. Park KM, You JS, Lee HY, Baek NI, Hwang JK (2003) Kuwanon G: an antibacterial agen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against oral pathogens. J thnopharmacol 84: 181-185 

  27.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NCCLS) (2002) Reference Method 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 Approved Standard M7-A6. NCCLS, Wayne 

  28. ASTM G-21 (2009) Standard Practice for Determining Resistance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to Fungi,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29. Vinale F, Marra R, Scala F, Ghisalberti EL, Lorito M, Sivasithamparam K (2006) Major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two commercial Trichoderma strains active against different phytopathogens. Lett Appl Microbiol 43: 143-148 

  30. Yamamoto A, Serizawa S, Ito M, Sato Y (1991) Stratum corneum lipid abnormalities in atopic dermatitis. Arch Derm Res 283: 219-223 

  31. Cazedey ECL, Carvalho FC, Fiorentino FAM, Gremiao MPD, Salgado HRN (2009) $Corrositex^{(R)}$ , BCOP and HET-CAM as alternative methods to animal experimentation. Braz J Pharm Sci 45: 759-766 

  32. Donahue DA, Kaufman LE, Avalos J, Simion FA, Cerven DR (2011) Survey of ocular irritation predictive capacity using Chorioallantoic Membrane Vascular Assay (CAMVA) and Bovine Corneal Opacity and Permeability (BCOP) test historical data for 319 personal care products over fourteen years. Toxicol In Vitro 25: 563-572 

  33. Kim SJ, Yang HY, Lee SG (2009) Antimicrobial Effect and Cytotoxicity of Chinensis Gall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3: 412-415 

  34. Mehnaz P, Md Abul H, Lim BO (2013)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ccinium corymbosum L. leaf extract. Asian Pac J Trop Dis 3: 444-453 

  35. Kim YH, Lee SM, Cheon SJ, Jang MJ, Jun DH, Choi HJ, Cho WA, Lee JT (2007)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y of four kinds of Korea herb medicine materials. J Kor Soc F & B 5: 130-138 

  36. Kim BC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edicated diet approach of Sulgidduk added with Gamcha(Hydranea serrata SERINGE) powder.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37. Lee SG, Lee SH, Park EJ (2015)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Korean J food cook sci 31: 515-523 

  38. Lee NK, Jung BS, Na DS, Yu HH, Kim JS, Paik HD (2016) The impact of antimicrobial effect of chestnut inner shell extracts against Campylobacter jejuni in chicken meat. Food Sci Technol 65: 746-750 

  39. Jang MJ, Kim YH, An BJ, Lee CE, Lee JT, Kim SH, Lee BG, Lee DH (2008) Study on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s as a cosmetic material. J Korean For Soc 97: 215-220 

  40. Han SH (2011) Antimicrobial effect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Dissert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41. Park HS (2011) Cultivation of Mushroom(phellinus linteus Mycelium) on Brown Rice Investig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42. Yun JJ (2016)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Curcuma longa Linne. Dissert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43. Hong SB, Lee CH (2015) Antimicrobial activity of Houttuynia cordata ethanol extract against major clinical resistant microorganisms. Korean J Clin Lab Sci 47: 140-146 

  44. Oh YO (2016) A study of anti-oxidative, anti-melanogenic, antimicrobial from teatree(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 under water, ethanol extract condition.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45. Lee SJ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Coptis chinesis Franch extract. Dissertation, Kyung Sang University 

  46. Kim HJ (2010) Antimicrobial activity and bactericidial potency of Galla rhois extracts.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47. Cox CS (1989) Airborne bacteria and viruses. Sci Prog 73: 469-499 

  48. Park HS, Kang IS, Kim JW, Eo HJ (2004) A study of airborne microbes in the NSICU according to number of persons who pass through every hour. J Kor Acad Funda Nurs 11: 41-48 

  49. Chung KH, Kim JT, Lee SH, Lee YC (2001) Antmicrobial activity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0: 127-132 

  50. Lee SY, Ahn DH, Hong YK, Kim KBWR, Kim SJ, Lee SJ, Lim SM, Song EJ, Yoon S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Sargassum thunbergii. J Kor Soc Food Sci Nutr 38: 502-508 

  51. Lee CE, Jo JK, Kim JD, Lee DG, Kim WS, Lee SH (2017) Verific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riental herbal medicine extracts. J Life Sci 27: 611-6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