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일부 심부전 환자의 영양소 섭취량 평가 연구
The Assessment for Nutrient Intakes of Korea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3, 2010년, pp.224 - 232  

이혜란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보름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혜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양팀) ,  도현주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지선 (질병관리본부 만성병 조사팀) ,  배순화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석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혈관연구소) ,  신민정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심부전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식이 섭취 빈도법을 통한 영양소 섭취량 조사를 시행하여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에너지와 단백질, 철분의 평균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에 비해 충분히 섭취하고 있었으나 나트륨 섭취가 과다하고, 칼륨 섭취가 부족한 불균형의 영양문제가 파악되었다. 2) 칼슘의 섭취가 부족한 환자들이 상당수 존재하여 심부전 환자의 골연화증 및 골다공증 위험이 높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비타민 $B_{12}$, 엽산의 섭취가 부족하며, 이외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등의 비타민 섭취 부족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도 칼륨, 칼슘, 비타민 $B_{12}$, 엽산의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부족 현상은 고령 환자에서 더욱 심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국내 심부전 환자의 경우 무기질, 비타민 등의 미량 영양소의 섭취 부족이라는 영양문제가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 결핍 문제가 지속된다면 심부전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므로 영양섭취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 측면에서의 영양 섭취 평가 및 영양관리 대책과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alence of heart failure (HF) is increasing globally and growing evidence has shown that dietary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and improving prognosis of HF. However, little data on nutrient intake in Korean HF patients which are available to develop dietary guidelines for H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심부전 환자들에 있어 다양한 비타민 섭취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타민 B12, 엽산,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섭취량이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에 미달되는 환자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2) 국내의 경우도 심부전 환자에 있어 근거 중심 (evidencebased)의 영양관리 지침 및 식사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심부전 환자의 영양문제 및 영양소 섭취 현황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도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일부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고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함으로써 미량 영양소를 포함한 영양소 결핍 양상 및 영양 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심부전 환자의 영양관리 지침 및 식사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우리나라 일부 심부전 환자의 영양소 섭취량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체 대상자에 있어 다량 영양소의 평균 섭취량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고 미량 영양소도 평균적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섭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부전이란 무엇인가? 1) 미국의 경우 매년 500만명의 심부전 환자가 발생되고 있으며,2) 우리나라의 경우 그 유병율이 20만명에서 100만명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3) 심부전은 심박출량의 감소로 호흡곤란과 피로감, 말초 조직과 주요기관의 산소부족이 초래될 뿐 아니라 심하면 사망에 까지 이르게 되는 질환으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 제와 베타차단제를 사용하는 약물요법이 치료의 가장 중심을 이루고, 심장세동 제거기 이식 및 심근 재동기화 등 수술적 요법 등이 시도될 수 있다. 또한 비약물적 치료요법으로 적절한 영양관리를 비롯해서 금연, 금주, 운동 등을 포함하는 생활습관 개선이 심부전 치료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4) 이들을 통해 심부전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는 것은 환자의 증세를 완화시키고 저하된 삶의 질을 개선시키며 사망률 감소에 기여할 뿐 아니라 의료비 절감에도 크게 기여한다고 할 수 있겠다.
현재 미국 심장협회에서 제시하는 심부전 환자에 대한 치료 지침의 한계는? 이렇듯 심부전의 발병과 진행에 있어서 여러 심각한 영양문제와 직면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심부전 환자들을 위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영양관리 및 식사지침 마련이 필수적으로 요망된다. 현재 미국 심장협회에서 제시하는 치료 지침이 있기는 하지만 식사요법 내용은 구체적이지 못하고 주로 나트륨 제한과 수분 조절에 대해서만 집중되어 있어 다각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임상적 효과에 대한 근거도 부족하다.12) 국내의 경우도 심부전 환자에 있어 근거 중심 (evidencebased)의 영양관리 지침 및 식사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심부전 환자의 영양문제 및 영양소 섭취 현황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도 전무한 실정이다.
심부전의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심장질환의 마지막 단계에 발생되는 심부전 (Heart Failure, HF)은 진단법의 발달, 노인인구의 증가 및 허혈성 심장 질환 환자의 생존률 증가 등으로 인해 최근 10여년간 그 발생율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1) 미국의 경우 매년 500만명의 심부전 환자가 발생되고 있으며,2) 우리나라의 경우 그 유병율이 20만명에서 100만명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Van Jaarsveld CH, Ranchor AV, Kempen GI, Coyne JC, Van Veldhuisen DJ, Sanderman R. Epidemiology of heart failure in a community- based study of subjects aged > or 57 years: incidence and long-term survival. Eur J Heart Fail 2006; 8(1): 23-30 

  2. MM Redfield. Heart failure-an epidemic of uncertain proportions. N Engl J Med 2002; 347(18): 1442-1444 

  3. Song EK, Kim CJ, Yoo IY, Kim GY, Ju HY, Ha JW. Factors influencing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 Korean Acad Nurs 2006; 36(5): 853-862 

  4. John J V McMurray, Marc A Pfeffer. Heart failure. Lancet 2005; 365(9474): 1877-1889 

  5. RC Davis, FD R Hobbs, GY H Lip. ABC of heart failure: history and epidemiology. BMJ 2000; 320(7226): 39-42 

  6. Adams KF, Arnold JMO, BakerDW. HFSA 2006 comprehensive heart failure practice guidelines. J Card Fail 2006; 12(1):e29-e37 

  7. Gorelik O, Almoznino-Sarafian D, Feder I, Wachsman O, Alon I, Litvinjuk V, Roshovsky M, Modai D, Cohen N. Dietary intake of various nutrients in older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Cardiology 2003; 99(4): 177-181? 

  8. Witte KK, Clark AL, Cleland JG. Chronic heart failure and micronutrients. J Am Coll Cardiol 2001; 37(7): 1765-1774 

  9. De Lorgeril M, Salen P, Accominotti M, Cadau M, Steghens JP, Boucher F, de Leiris J. Dietary and blood antioxidants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importance of selenium in heart failure. Eur J Heart Fail 2001; 3(6): 661- 669 

  10. Witte KK, Nikitin NP, Parker AC, von Haehling S, Volk HD, Anker SD, Clark AL, Cleland JG. The effect of micronutrient supplementation on quality-of life and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Eur Heart J 2005; 26 (21): 2238-2244 

  11. Shane E, Mancini D, Aaronson K, Silverberg SJ, Seibel MJ, Addesso V, McMahon DJ. Bone mass, vitamin D deficiency and hypoparathyroidism in congestive heart failure. Am J Med 1997; 103 (3): 197-207 

  12. Colin Ramirez E, Castillo Martinez L, Orea Tejeda A, Rebollar Gonzalez V, Narvaez David R, Asensio Lafuente E. Effects of a nutritional intervention on body composition, clin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Nutrition 2004; 20 (10): 890-895 

  13. Shim JS, Oh KW, Suh I, Kim MY, Shon CY, Lee EJ, Nam CM. A study on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f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 (4): 484-494 

  14. Institute of Food and Nutrition Science in Yonsei University,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foods, Shin Gwang Press; 1995 

  15.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Food composition table, 5th Revision; 1996 

  1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1996 

  1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18. Berry C, Clark AL. Catabolism in chronic heart failure. Eur Heart J 2000; 21(7): 521-532 

  19. Poehlman ET, Scheffers J, Gottlieb SS, Fisher ML, Vaitekevicius P. Increased resting metabolic rate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nn Intern Med 1994; 121(11): 860-862 

  20. Riley M, Elborn JS, McKane WR, Bell N, Stanford CF, Nicholls DP.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chronic cardiac failure. Clin Sci 1991; 80(6): 633-639 

  21. Toth MJ, Gottlieb SS, Fisher ML, Poehlman ET. Daily energy requirements in heart failure patients. Metabolism 1997; 46(11): 1294-1298 

  22. Pasini E, Aquilani R, Gheorghiade M, Dioguardi FS. Malnutrition, muscle wasting and cachexia in chronic heart failure: the nutritional approach. Ital Heart J 2003; 4(4): 232-235 

  23. Filippatos GS, Anker SD, Kremastinos DT. Pathophysiology of peripheral muscle wasting in cardiac cachexia.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2005; 8(3): 249-254 

  24. Horwich TB, Kalantar-Zadeh K, MacLellan RW, Fonarow GC. Albumin levels predict survival in patients with systolic heart failure. Am Heart J 2008; 155(5): 883-889 

  25. Curtis JP, Selter JG, Wang Y, Rathore SS, Jovin IS, Jadbabaie F, Kosiborod M, Portnay EL, Sokol SI, Bader F, Krumholz HM. The obesity paradox: body mass index and outcom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rch Intern Med 2005; 165(1): 55-61 

  26. Suzanne L, Nancy A. Nutrition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Academic press; 2001. p.325-333 

  27. Greger JL. Dietary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regard to zinc of institutionalized aged. J Gerontol 1977; 32(5): 549-553 

  28. Sullivan JF, Blotcky AJ, Jetton MM, Hahn HK, Burch RE. Serum levels of selenium, calcium, copper, magnesium, manganese and zinc in various human diseases. J Nutr 1979; 109(8): 1432-1437 

  29. Ripa S, Ripa R, Giustiniani S. Are failured cardiomyopathies a zinc-deficit related disease? A study on Zn and Cu in patients with chronic failured dilated and hypertrophic cardiomyopathies. Minerva Med 1998; 89(11-12): 397-403 

  30. Golik A, Cohen N, Ramot Y, Maor J, Moses R, Weissgarten J, Leonov Y, Modai D. Type II diabetes mellitus, congestive cardiac failure and zinc metabolism. Biol Trace Elem Res 1993; 39(2-3): 171-175 

  31. Coudray C, Charlon V, de Leiris J, Favier A. Effect of zinc deficiency on lipid peroxidation status and infarct size in rat hearts. Int J Cardiol 1993; 41(2): 109-113 

  32. Kang YJ. The antioxidant function of metallothionein in the heart. Proc Soc Exp Biol Med 1999; 222(3): 263-273 

  33. Anker SD, Clark AL, Teixeira MM, Hellewell PG, Coats AJ. Loss of bone mineral in patients with cachexia due to chronic heart failure. Am J Cardiol 1999; 83(4): 612-615 

  34. Zittermann A, Schleithoff SS, Koerfer R. Markers of bone metabolism in congestive heart failure. Clin Chim Acta 2006; 366 (1-2): 27-36 

  35. Maclaughlin J, Holick MF. Aging decreases the capacity of human skin to produce vitamin D3. J Clin Invest 1985; 76(4): 1536- 1538 

  36. Dalery K, Lussier-Cacan S, Selhub J, Davignon J, Latour Y, Genest JJr. Homocystein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in French Canadian subjects: relation with vitamins B12, B6, pyridoxal phosphate and folate. Am J Cardiol 1995; 75(16): 1107-1111 

  37. Kang SS, Wong PW, Norusis M. Homocysteinemia due to folate deficiency. Metabolism 1987; 36(5): 458-462 

  38. Nygord O, Refsum H, Ueland PM, Vollset SE. Major lifestyle determinants of plasma total homocysteine distribution: the Hordaland Homocysteine study. Am J Clin Nutr 1998; 67(2): 263-2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