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학업성취 발달궤적에 대한 사교육의 시간 의존적 효과
The Time-dependent Effects of Changes in Private Education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Early Adolescen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6, 2010년, pp.1 - 13  

이주리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time-dependent effects of changes in private education on the trajectories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early adolescents. Five-wave data was employed from the KYPS; the participants being 2844 (1524 boys, 1320 girls). All were 4th graders in 2004 and became 8th graders in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고등학생들은 하루 일과에서 정규 학교 수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어서 사교육을 수강할 시간이 초, 중학생들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을 시발점으로 하여 중학교 2학년에 이르는 5년의 종단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학업성취에 대하여 5년의 반복측정을 이루는 무조건 모형(그림 1)을 통해 그 발달궤적을 검증한 후, 두 번째 단계에서 5개년도의 사교육 변인들을 설정하여 분석 하게 된다(그림 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선행연구들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5년간의 종단자료를 통해 사교육의 효과가 시간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는지 혹은 시간 의존적인 특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5년의 기간 동안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으로 성장하게 된다.
  • 본 연구에서는 5년의 종단 자료를 통해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었던 사교육의 시간 의존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교육은 학년 시기에 따라 그 효과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증명하였으며, 특히 초등학교 시기부터 이미 사교육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을 뿐 아니라 학업성취 초기치가 아동의 학업성취 발달 궤적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교육의 활성화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이처럼 전체적으로 학력이 매우 높아지면서 단순히 대학 졸업으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다는 분위기가 사회 전반에 형성되었다. 청소년 들은 보편적인 대학 진학을 넘어 다른 사람보다 더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불안감 속에서 더욱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고, 이는 사교육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한국의 사교육 시장은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사교육비 지출이 OECD 평균의 4배 이상을 넘어섰다.
사교육의 활성화의 긍정적인 효과의 예는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선행연구들은 사교육이 대체적으로 청소년들의 학업성취 향상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다(김주후․남궁지연, 2008; 김청자, 2001; 박동준․백경문, 2009; 이은우, 2006; 이주리, 2009; 이주리, 2010; 정윤경․이민혜․우연경․봉미미․김성일, 2010). 예를 들어, 이은우(2006)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가정 중학생들의 평균 성적 차이의 32.9%는 사교육비의 차이에 기인하며, 공부를 열심히 한 정도와 더불어 사교육 여부가 성적에 통계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다른 조사 연구인 박동준과 백경문(2009)의 연구에서도 응답자들 사이에서 성적에 대한 사교육의 영향이 나타났다. 그들은 A와 B 두 중학교에서 사교육 참여 여부를 조사한 결과, 두 학교 모두에서 사교육 참여자들의 성적 평균이 비 참여자들의 평균보다 최소 20점 이상을 웃도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교육의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현재의 과도한 사교육 열풍은 청소년들에게는 학업적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부모들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켰으며 이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들은 한 개인과 가정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선행연구들은 사교육이 대체적으로 청소년들의 학업성취 향상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다(김주후․남궁지연, 2008; 김청자, 2001; 박동준․백경문, 2009; 이은우, 2006; 이주리, 2009; 이주리, 2010; 정윤경․이민혜․우연경․봉미미․김성일,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주후. 남궁지연(2008).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문제, 14(1), 153-166. 

  2. 김청자(2001). 과외 수업이 학교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8(2), 61-89. 

  3. 박동준.백경문(2009). 수학과목 학업성취요인 -부산.경남의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23(3), 523-543. 

  4. 이숙정(2006).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 풍토 간의 관계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20(1), 197-218. 

  5. 이은우(2006). 중학교 가정의 소득 및 사교육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6), 247-273. 

  6. 이주리(2009). 수준별 이동수업과 지각된 수업특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인간발달연구, 16(2), 51-65. 

  7. 이주리(2010). 가족 지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부모 양육태도와 사교육의 매개효과 차이검증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137-146. 

  8. 정윤경.이민혜.우연경.봉미미.김성일(2010). 사교육 시간에 따른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도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6(2), 103-124. 

  9. Enders, C. K., & Bandalos, D. L. (2001).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3), 430-457. 

  10. Grych, J. H., Harold, G. T., & Miles, C. J. (2003).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appraisals as mediators of the link between interparen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74(4), 1176-1193. 

  11. Kim. S. (2010). Globalisation and individuals: The political economy of South Korea's educational expansion.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40(2), 309-328. 

  12.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993). Study of Korean Educational Enthusiasm, Seoul :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3.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08). Annual Report of Education, Seoul :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4. OECD (2006). "Education at a Glance," Paris : OECD, http : //www.thepresidency.gov.za/learning/reference/factbook/pdf/09-02-02.pdf.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