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성주의에 기초한 과학.미술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vist Science Education Integrated with Ar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6, 2010년, pp.51 - 69  

김정현 (예지원 어린이집) ,  김선영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olved the conducting of an experiment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constructivist science education when integrated with art experience and constructivist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ty-one children of five years of age in two daycare center cl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성주의 접근에서의 과학 활동을 미술 활동과 접목시키는 것이 의미 있고 가능성 있는 시도임을 시사한다. 특히, 과학 활동이 많은 관찰을 필요로 하고, 사물의 운동과 변화를 표상할 수 있으며, 물질의 변형이 나타나고 물질을 혼합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면 미술과 통합했을 때 더 효과적이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에 기초한 과학 교육의 통합적 접근으로서의 미술과의 통합 활동과 구성주의에 기초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은 과학 활동을 한 후 그리기 활동을 하는 등의 과학적 현상의 탐색 후 이를 미술로 표현해보는 병렬식의 통합이 주를 이루었다.
  • 선행연구들은 과학 활동을 한 후 그리기 활동을 하는 등의 과학적 현상의 탐색 후 이를 미술로 표현해보는 병렬식의 통합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 활동을 함으로써 과학적 탐색이 이루어지고 과학적 탐색을 함으로써 미술 활동이 이루어지는 과학과 미술이 서로 연관된 실질적인 통합 활동을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과학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과학 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과학 관련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 외에도 과학은 인간의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이용되고, 언어와 논리, 문제 해결 기술 등의 타 교과영역의 학습의 토대를 제공하며, 민주사회 시민으로서 결정을 내릴 때에도 과학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Michaels, Shouse, & Schweingruber, 2008). 오늘날 학교 과학교육의 목표는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93];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6]).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은 자연세계 속에서 과학과 기술의 영향을 끊임없이 받고 살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필요하다.
미국의 국가연구위원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가과학교육기준에 따르면 탐구란 어떻게 구분되는가? 미국의 국가과학교육기준에 따르면 탐구로서의 과학은 중요하며, 탐구는 아동들이 건전한 과학적 탐구를 위해 필요한 능력과 반드시 알아야만 하는 과학적 탐구에 대한 이해로 구분된다(Charlesworth & Lind, 2010). 이러한 탐구를 위해 필요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과정기술이 필요하다.
과학 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 세계에서 증대되고 있는 과학의 중요성은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과학 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과학 관련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 외에도 과학은 인간의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이용되고, 언어와 논리, 문제 해결 기술 등의 타 교과영역의 학습의 토대를 제공하며, 민주사회 시민으로서 결정을 내릴 때에도 과학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Michaels, Shouse, & Schweingruber, 2008). 오늘날 학교 과학교육의 목표는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93];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강주희 (2005). 동화를 통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미숙.최미숙(2005).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1-20. 

  3. 김선영.이종희(2002). 유아 과학교육 목표로서의 과학적 사고에 대한 재조명. 유아교육연구, 22(2), 247-269. 

  4. 김신곤(2009).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57, 53-73. 

  5. 김은희.김선영 (2007) 구성주의 접근의 그림자 활동이 유아의 그림자 개념 발달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 28(2), 19-37. 

  6. 김인숙.신인숙(2008). 구성주의에 기초한 미술도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37-161. 

  7. 김정주(2007), 문학을 통한 통합적 접근법에 의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0, 229-252. 

  8. 김현재(1998). 과학과 열린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9. 류재만(2001). 구성주의 미술교육의 이론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사향미술교육논총, 8, 101-137. 

  10. 박영란(1999). 구성주의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혜원(2008). 구성주의 과학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18(3), 401-424. 

  12. 서영숙.채혜선.김영명.박진옥.이정란(2010). 표준보육과정과 보육프로그램 활용 및 효과 분석(11-1352000-000013-01).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13. 안경숙(2003). 유아 과학 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안경숙.이옥주(2003). 소리에 대한 음악과 과학교육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24, 1-17. 

  15. 안정희(2008). 유아 미술과 과학 통합 활동이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오숙현.이순자(2008). 구성주의에 기초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소규모 학급 유아의 미술에 대한 태도 및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07-135. 

  17. 유경숙(1999).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 태도의 차이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유희정.김희진.김문정.조혜주(2007). 육아지원기관의 교육.보육활동 분석(연구보고 2007-04).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19. 이경민(2000).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경민(2004). 유아과학교육. 서울: 정민사. 

  21. 이기숙(2008). 유아교육과정(개정판). 서울: 교문사. 

  22. 이연란(2001). 과학 교육과 미술 교육을 연계한 특별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정화.배소정(2003). 문학을 통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61-83. 

  24. 이정화.이정은(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들의 과학교육 실태 및 인식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6(4), 103-123. 

  25. 이정화.한희승(2010). 악기를 활용한 음악.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및 과학적 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3(1), 283-300. 

  26. 조재은(2006). 미술활동을 통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물'에 대한 개념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채영란.신수경(2008). 그리기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지, 17(4), 601-608. 

  28. Abruscato, J. (1992). Teaching children science : A Discovery approach (3rd ed.). Boston, MA : Allyn & Bacon. 

  29. Abruscato, J. (2000). Teaching children science : A discovery approach (5th ed). Boston : Allyn and Bacon. 

  3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NY : Oxford University press. 

  3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in science lilteracy. Washington, DC : Author. 

  32. Bredekarnp, S., & Copple, C. (Eds.).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2nd ed.). Washington, DC :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3. Chaille C., & Britain, L. (2000). 유아과학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이종희.김선영(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1997년 원저 발간). 

  34. Charlesworth, R., & Lind, K. K. (2010). Math and science for young children(6th ed.). Belmont, CA : Wadsworth, Cengage Learning. 

  35. DeVries, R., Edmiaston, R., Zan, B., & Hildebrandt, C.(2007). 구성주의 교육이란 무엇인가? : 정의와 교수원리. ln R. DeVries, B. Zan, C. Hildebrandt, R. Edmiaston, & C. Sales (Eds.),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pp. 51-71)(곽향림.허미화.김선영 공역). 서울: 창지사. (2002년 원저 발간). 

  36. Fischer, E. P. (2005/2010). 아인슈타인과 피카소가 만나 영화관에 가다. 유영미(역). 서울: 들녘. (2005년 원저 발간). 

  37. French, L. (2004). Science as tne center of a coherent, intergrat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 138-149. 

  38. Harlan, J. D. (1992).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5th ed.). New York, NY : Macmillan. 

  39. Harlan, J. D., & Rivkin, M. S. (2000). Science experience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 An Integratedapproach (7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 Prentice-Hall. 

  40. Johnston, J. (2005). Early explorations in science (2nd ed). Maidenhead : Open university press. 

  41. Kamii, C., & DeVries, R. (1978).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ion : Implications of Piaget's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 Hall. 

  42. Kilmer, S. J., & Hofman, H. (1995) Transforming science curriculum. ln S. Bredkamp & T. Rosegrant (Eds.), Reaching potentials :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ssessment (pp. 43-63). Washington, DC :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43. Kohl, M., & Potter, J. (2005). 미술활동을 통한 유아과학교육. 김선영. 최수경(공역). 서울: 학지사. (1993년 원저 발간). 

  44. Lind, K. K. (2005).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4th ed.). Belmont, CA : Delmar. 

  45. Martin, D. J., Jena-Sigur, R., & Schmidt, E. (2005). Process-oriented inqury-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 Teaching teachers to do scien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7(2), 13-26. 

  46. Michaels, S., Shouse, A. W., & Schweingruber, H. A. (2008). Ready, set, science! : Putting research to work in K-8 science classrooms.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47. Monhardt, L., & Monhardt, R. (2006). Creating a context for the learning of science process skills through picture book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4(1), 67-71. 

  4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49. Thompson, C. M. (1995). Transforming curriculum in the visual arts. In S. Bredekamp, & T. Rosegrant (Eds.), Reaching potentials :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ssessment : Vol. 2. Washington, DC :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50. Waite-Stupiansky, S. (1997). Building understanding together :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lbany, NY : Delma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