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가 만 3-6세 아동의 언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단기효과성 평가 연구
The Effect of an Improvement Service for Child Cognitive Abilit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linguistic Ability i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6 Years : An Evaluation for Short-term Effectivenes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6, 2010년, pp.107 - 123  

이봉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낭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현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 term effectiveness of a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service for children, which is one of the 'Investment activities for Local Community Services' conducted by the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nger the period of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정부정책으로서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의 실효성을 입증하고자, 언어발달이 핵심적인 주요 발달과업인 만 3-6세 아동을 대상으로, 단기 효과성을 분석하는 차원에서 서비스이용이 아 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향후 빈곤세습화 차단이라는 장기효과성 평가를 대비한 탐색적 검토를 위해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되어진 단순상관관계 분석결과 및 그 외 변수들의 관계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를 통해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차적으로 아동인지능 력향상서비스의 주목표인 서비스이용이 아동의 언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간명하게 살펴보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아동연령에 따라 가정내 자극환경에 변화가 나타나는지(Hart & Risley, 1995), 그렇다면 어떠한 연령대 아동에게 서비스의 효과가 가장 극대화되는지 분석하여 연령대에 따른 서비스 대상자 선정에 정책적 제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현재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시행 중인 지역선택형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하나 인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 단기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2008 년 12월 현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 중 만 3-6세 이하의 전국 남녀아동 9,18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 보다 장기적으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통 해 향후 빈곤세습화를 예방할 수 있을지 사전 진단해 보는 과정 역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정책으로서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의 실효성을 입증하고자, 언어발달이 핵심적인 주요 발달과업인 만 3-6세 아동을 대상으로, 단기 효과성을 분석하는 차원에서 서비스이용이 아 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향후 빈곤세습화 차단이라는 장기효과성 평가를 대비한 탐색적 검토를 위해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 제공기관 들은 정부정책의 성과에 관심을 두기보다 서비스 이용아동수, 서비스 제공횟수, 채용인력수 등 주로 ‘산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실제적으로 해당 서비스가 아동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정책적 효과를 입증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표준화된 척도를 활용하여 전국단위 표집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타당하고 신뢰도 높은, 그리고 성과분석에 기반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함의를 찾을 수 있다
  • 서비스이용이 아동의 언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영역별로 살펴보기 위하여, 언어능력을 언어이해, 언어표현, 읽고쓰기 변수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추가적으로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서비스이용이 아동의 언어능력(언어이해, 언어표현, 읽고쓰 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외 여러 나라에서는 조기개 입프로그램이자 인적자본투자의 일환으로 책 읽기 프로젝트가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데 그 중 영국의 사례는? 영국, 미국, 독일, 호 주, 태국, 일본 등 해외 여러 나라에서는 조기개 입프로그램이자 인적자본투자의 일환으로 책읽 기 프로젝트가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다. 영국 의 예를 들면, 민간기업과 독립자선단체인 ReadThe Reading Agency가 함께 추진하고 있는 범국가 적 책읽기 그룹 프로젝트(Reading Group Project) 인 Chatterbooks를 비롯하여, 가정 내에서 아동에 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지원하는 국가적 차원의 전략인 Family Reading Matters(FRM), Book Start, Booktime, Booked up, 그리고 The Letterbox Club 등으로 운영되는 범국가적 책증정 프로그램 (national bookgifting programmes)인 Book Trust 운동 등이 진행 중에 있다. 미국의 경우는 캘리 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 공공도서관에서 진행하 고 있는 독서진흥프로그램 GAB(Grandparents and Book), 1990년부터 교육당국과 Washington Reading Corps(WRC)의 협조 하에 시작된 Book For Kids 운동, 그리고 전국 소아과 치료실에 온 부모에게 크게 읽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 조언 해 주고 아이에게 새로운 책을 나눠줌으로써 조기 문해능력을 증진시키는 Reach Out and Read (ROR) 활동 등이 추진되고 있다(문화관광부, 2005; 2007).
책읽어주기인 아동인지능 력향상서비스는 무엇에 근거를 두고 있는가? 주요서비스 내용이 책읽어주기인 아동인지능 력향상서비스는 언어발달과 인지발달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근거를 두고 있다. Vygotsky(1962)에 의하면, 인지와 학습은 복잡한 역동관계에 있 는데 학습이 발달을 주도하기 때문에 언어발달이 인지발달을 가져온다고 정의내리고 있다.
아동의 빈곤의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 하기 위한 개입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유형으로는? 국내외 연구에 의하면, 아동기 빈곤은 아동의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인지․정서․사회성 등 아동발달의 전반적인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 을 끼치며,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낮은 학업성 취도와 비행 등 행동적인 문제로 연결되고, 궁극 적으로 성인기의 열악한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rooks-Gunn & Duncan, 1997; Corcoran, 2000; McLoyd, 1998; 구인회, 2003; 김재엽․이익섭․박수경, 1998; 박현선, 1999;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 소, 2005). 그러한 빈곤의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 하기 위한 개입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유형으로 아동발달 조기개입프로그램이 대표되고 있는데 (Heckman & Lochner, 2000), 조기개입프로그램 은 아동의 언어, 행동, 인지, 사회심리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저소득층 아동에 게 그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asto & Mastropieri, 1986; Heinicke, Beckwith, & Thompson, 1988; Olds & Kitzman, 1993; Sandall, 1990; Waldfogel, 2006). 뿐만 아니라 비 용-편익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사회에 매우 큰 이 익을 가져온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 된 바 있다(Karoly & Bigelow, 2005; Karoly, Kilbum, & Canno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구인회(2003). 경제적 상실과 소득수준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3, 7-30. 

  2. 김두섭.강남준(2000). 회귀분석 : 기초와 응용. 나남출판. 

  3. 김미애(1999). 어머니에 대한 그림책 읽어주기 훈련이 유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민화.곽금주.김연수(2009). 여가활동이 빈곤아동과 일반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여가레크리에이션연구, 33(3), 231-243. 

  5. 김안나.권민균(2010). 여성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기 자녀의 언어능력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아동교육, 19(1), 163-178. 

  6. 김재엽.이익섭.박수경(1998).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가정환경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지, 6, 54-82. 

  7. 김태련.이경숙(1993). 이화-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EWHA-VABS)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특수아동임상연구, 3, 133-151. 

  8. 마송희(1998). 이야기 들려주기가 유아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8(2), 215-237. 

  9. 문화관광부(2005). 독서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10. 문화관광부(2007). 독서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11. 박찬화.김명순(2010). 그림책읽기 언어중재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아동학회지, 31(3), 117-138. 

  12. 박현선(1999). 고위험 빈곤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사회복지학, 37, 195-216. 

  13. 배병렬(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 

  14. 배소영.장유경.곽금주.성현란.심희옥(2004). MCDI-K를 통해 본 한국유아의 표현어휘발달과 성차. 언어청각장애연구, 9(1), 45-56. 

  15. 보건복지가족부(2009a). 2009년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안내. 

  16. 보건복지가족부(2009b). 사회서비스정책 주요 통계자료. 

  17. 보건복지부(2008). 2008년 지역사회서비스혁신사업 안내. 

  18.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05). 한국복지패널조사 1차년도 기초분석 보고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 성현란.배기조.곽금주.장유경.심희옥(2006). 인지적 중재프로그램이 영아의 인지발달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9(2), 41-59. 

  20. 신경혜.황상민(1994). 성별가 사회경제적 환경이 학령전 아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 도형과 색을 이용한 언어검사를 통해 평가된 언어능력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7(2), 74-91. 

  21. 신은수(2005). 3, 4, 5세의 마음이론 발달과 가장놀이, 언어표상능력, 실행기능, 그리고 중앙통합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1), 65-90. 

  22. 우현경.정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희(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에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23. 유재열(1983). 빈민층 아동의 언어능력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어휘 습득량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봉주.곽금주,김낭희,김현민(2009).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보건복지가족부.서울대학교 산학협력재단.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5. 이은해.장영애(1982). 가정환경변인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교육학연구, 20(1), 49-63. 

  26. 이재원(2008),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대영문화사. 

  27. 이지연.곽금주(2008). 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21(3), 151-165. 

  28. 이현진.박영신.김혜리(2001). 언어발달 제2판. 시그마프레스. 

  29. 장석례(2001). 개별적으로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태도 및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장영애(1981). 가정환경 변인과 4-6세 아동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장영애(1987a). 아동의 지적능력가 환경변인 간의 인과 모형분석. 아동학회지, 8(1), 83-112. 

  32. 장영애(1987b). 가정환경변인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인과 모형 분석. 아동학회지, 8(2), 17-44. 

  33. 장영애(1995). 가정환경자극, 사회인구론적 변인과 아동의 언어능력간의 인과모형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3(4), 173-188. 

  34. 장영애.서용선(1983). 가정환경 자극검사(HOME)와 학령 전 아동발달 수준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4, 1-10. 

  35. 장유경.최유리(2009). 영아기 가정의 책읽기 경험과 지능발달 : 종단연구, 아동학회지 30(4), 47-56. 

  36. 허만영(2009). 사회복지 이데올로기 정향 분석 : 서울시민의 복지의식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2), 99-118. 

  37. Amsel, E., Byrnes, J. P., Jean Piaget Society. Netlibrary, I., Jean Piaget, S., & NetLibrary, I. (2002). Language, literacy,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of symbolic communication.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8. Anderson, G. (1984). A Whole Language Approach To Reading. New York. :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9. Atkinsin, L. (1990). Intellectual and Adaptive Fuctioning; some tables for interpreting the vineland in combination with intellegence test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2), 198-203. 

  40. Bee, H. L., & Boyd, D. R. (2004). The developing child (10th ed.). Boston, MA : Allyn and Bacon. 

  41. Bernstein, B. (2003). Class, Codes and Control : the structuring of pedagogic discourse. Routledge. 

  42. Bomstein, M. H., Hahn, C. S., Suwalsky, J. T. D., & Haynes, O. M. (2003). Socioeconomic status,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 The Hollingshead four-factor index of social status and the socioeconomic index of occupations. In M. H. Bomstein, & R. H. Bradley (Eds), Socioeconomic status,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29-82 . 

  43. Brooks-Gunn, J., & Duncan, J. (1997).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The Future of Children, 7, 55-71. 

  44. Burchinal, M. R., Campbell, F. A., Bryant, D. M., Wasik, B. H., & Ramey, C. T. (1997). Early intervention and mediating processes in cognitive performance of children of low-income African American Families. Child Development, 68(5), 935-954. 

  45. Casto. G., & Mastropieri, M. (1986). The efficacy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s : A meta-analysis. Exceptional Children, 52, 417-424. 

  46. Cochran-Smith, M. (1984). The making of a reader. Norwood, NJ : Ablex. 

  47. Corcoran, M. (2000). Mobility, persistence, and the intergenerational determinants of children's success. Focus, 21(2), 16-20. 

  48. Elardo, R., Bradley, R., & Caldwell, B. M. (1975).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Mental Test Performance from Six to Thirty-Six Months : A Longitudinal Analysis. Child Development, 46(1), 71-76. 

  49. Elardo, R., Bradley, R., &: Caldwell, B. M. (1977).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Language Development at Age Three. Child Development, 48(2), 595-603. 

  50. Gilbert, N., & Terrell, P. (2005). De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6th ed. 남찬섭.유태균 역. 사회복지정책론 : 분석 틀과 선택의 차원. 서울 : 나눔의집. 

  51. Han, B., & Risley, T. R. (1995). Meaningful differences in everyday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Baltimore. MD : Paul Brooks Publishing Co. 

  52. Heckman, J. J., & Lochner, L. (2000). Rethinking myths about education and training : understanding the sources of skill formation in a modern economy. In Sheldon Danziger and Jane Waldfogel, eds. Securing tht future : investing in children from birth to college. New York : Russell Sage. 

  53. Heinicke, C. M., Beckwith, L., & Thompson, A. (1988). Early intervention in the family system : A framework and review.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9(2), 112-141. 

  54. Hocking, R. R., & Pendleton, O. J. (1983). The regression dilemma. Communication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12(5), 497-527. 

  55. Karoly, L. A., & Bigelow, J. H. (2005). The Economics of Investing in Universal Preschool Education in California. Los Angeles, CA : RAND Corporation. 

  56. Karoly, L. A., Kilbum, M. R., & Cannon, J. S. (2005). Early Childhood lnterventions. Los Angeles. CA : RAND Corporation. 

  57.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 Guilford Press. 

  58. Lawton, B. (1999). Social Class, Language & Education. Routledge. 

  59. McCormick, M. C. (1989). Long-term follow-up of infants discharged from neonated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tht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1, 1767-1772. 

  60. McGlone, J. (1980). Sex differences in human brain asymmetry : A critical survey.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3, 215-263. 

  61. McLoyd, V. C. (1998).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Child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3(2), 185-204. 

  62. Middleton, H., Keene, R., & Brown, G. (1990). Convert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of the 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 and the revised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AJMR, 94(6), 669. 

  63. Neuman, S. B. (1996). Child engaging in storybook reading : The influence of access to print resources, opportunity, and parental interac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 495-513. 

  64. Olds, D. I., &: Kitzman, H. (1993). Review of research on home visiting for pregnant women and parents of young children. The Future of Children, 3(3), 53-92. 

  65. Rossi, P., Lipsey, M., & Freeman, H. (2004). Evaluation : A systematic approach. 7th ed. Sage Publications, Inc. 

  66. Sanacore, J. (1991). Expository and Narrative Text. Childhood Education, 67(4), 213. 

  67. Sandall, S. R. (1990). Developmental interventions for biologically at-risk infants at home.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0(4), 1-13. 

  68. Scarborough, H. S., &: Dobrich, W. (1994). Early Literacy Interventions : the relative roles of storybook reading, alphabetic activities, and their combination. Reading and Writing, 19, 489-515. 

  69. Senechal, M. (1993). Preschooler's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development. New Orleans. 

  70. Sparrow, S. S., Cicchetti, D. V., & Balla, D. A. (2005).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Second Edition (Vineland-II). Pearson. 

  71. Teale, W. H. (1988). Developmental appropriate. assessment of reading and writing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Elementary School Journal, 89, 173- 183. 

  72. U. S. Department of Education. (1995). To assure the free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of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73. Vasta, R., Haith, M. M., & Miller, S. A. (1999). Child psychology : the modern science(3rd ed.). NY : John Wiley & Sons. 

  74. Vygotsky, L. (1962). Thought and Language (ed & Trans by E. Hanfmann and G. Vaker). Cambridge, MA : MIT Press. 

  75. Waldfogel, J. (2006). What Children Need.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