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9 no.3, 2010년, pp.455 - 469  

김정현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성미영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  정현심 (국민체육진흥공단어린이집) ,  권윤정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adjustment to school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14 preschool children (5 boys and 9 girls) participated in th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은 효과 검증을 통해 다문화가정 미취학 자녀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였는지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실제로 다문화가정 미취학 자녀들에게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되므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갖는 효과를 직접적으로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외에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 또래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 역시 제시되었다(김혜진, 2009; 서정희, 2008; 이승미, 2007).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적응능력 향상에 관한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한국어 능력 향상과 더불어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한국어능력과 적응행동을 이후 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학교에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는 핵심 개념으로 선정하고, 이상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적응능력 향상에 관한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한국어 능력 향상과 더불어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한국어능력과 적응행동을 이후 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학교에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는 핵심 개념으로 선정하고, 이상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들이 또래로부터 따돌림을 당하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로 한국어 능력 부족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므로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한국어 능력과 적응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학교생활적응에 대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적응을 언어능력과 적응행동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언어능력은 표현언어와 수용언어, 읽기 능력을 통해 양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적응행동은 교육활동에서의 태도, 성인과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를 통해 질적인 측면으로 접근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언어능력 및 적응능력 향상에 실제적인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양적 변화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 이전에 프로그램 참여 아동을 대상으로 어휘 및 읽기검사를 사전검사로 실시하고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동일한 검사를 사후검사로 실시하여 참여 아동의 언어능력 변화를 검증하였다.
  • 이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적응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 나타난 적응행동의 변화를 질적인 측면에서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질적인 접근을 취한 이유는 참여 아동의 가족배경이 동질적이기보다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다문화가정 출신 아동이며, 연령 또한 단일하지 않아 특정 변수를 선택적으로 택해 나머지 변수를 배재하는 양적인 방법보다 아동의 적응 행동 양상을 최대한 포착하여 과정적으로 살펴보는 질적인 방법(조용환, 2006)이 보다 적합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능력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뒤떨어진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입학 이전의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이 앞으로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학업성취, 또래관계, 의사소통 능력 등에서 겪게 될 어려움을 사전에 완화시키고자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이러한 여름학교 형태의 프로그램 구성은 캐나다 British Columbia의 다문화가정 문해교육프로그램인 “Families in Motion"과 유사한 형태이다. 이 프로그램은 부모와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개별 교육활동과 상호작용 활동을 동시에 제공하였다. 특히, 유아에게는 신체, 인지, 언어, 정서, 사회성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고, 부모-자녀 상호작용 시간을 통해서 부모와 자녀가 만들기, 이야기나누기, 음률활동 등에 함께 참여하였다.
  •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에 의한 효과검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외생변수의 통제가 엄격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내적 타당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했다는 점(정옥분, 2008)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적 효과검증 방법을 보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양적 효과검증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기존의 효과검증 연구들(선우현, 김하정, 2009; 이양희 외, 2008)에서도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비교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므로 이를 보완한 후속연구의 수행을 통해 내적 타당도를 확보한 효과검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에 개발된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은 어떤 한계가 있는가? 이처럼 기존에 개발된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유아를 각각 별도로 교육대상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이나 교재를 개발하였거나, 어머니와 유아가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더라도 실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기존 프로그램과 달리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2주일 동안의 여름학교 형태로 구성되었다.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어떤 것을 위주로 개발되었나? 다문화가정과 그 자녀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크게 실태 조사(교육인적자원부, 200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와 교재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국립국어원, 2007, 2008)을 중심으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교육프로그램, 그리고 탄력성 증진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등을 위주로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경우에는 2007년 국립국어원에서 방송매체를 이용한 다문화가정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였고, 2008년에는 웅진씽크빅과 공동으로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한국어 방문교육 교재를 개발하였다.
자녀의 언어발달 지연을 보완하기 위한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에게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외에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의 만 3세에서 만 5세 사이의 자녀 중 68%가 언어발달 지체의 가능성을 보였으며(정은희, 2004), 만 3세부터 만 6세까지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언어발달 지체가 더 크게 나타났다(채혜경, 2008). 이상에서 살펴본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발달 특성 및 어머니와 자녀의 언어발달 관련성을 통해 볼 때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부족은 자녀의 발달, 특별히 언어발달 지연에 원인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자녀의 언어발달 지연을 보완하기 위한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에게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다문화가정 부모자녀 통합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2. 교육인적자원부. (2006).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실태 조사. 

  3. 국립국어원. (2007). 방송매체를 이용한 다문화가정 한국어 교재 개발. 

  4. 국립국어원. (2008).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한국어 방문교육 교재 개발. 

  5. 김민화, 신혜은. (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6. 김선정. (2007).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33, 423-446. 

  7.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1994). 그림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8. 김혜진. (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미경, 엄정애. (2007). 결혼이민자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10.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89).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K-WPPSI).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11.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12. 서정희. (2008).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선우현, 김하정. (2009).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아동교육, 18(4), 143-155. 

  14. 송선진. (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안혜령, 이순형. (2009). 여성결혼이민자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업성취 비교. 아동학회지, 30(1), 1-10. 

  16. 여성가족부. (2007).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향후 추진 계획. 

  17.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18. 우현경, 정현심, 최나야, 이순형, 이강이.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19. 이승미. (2007). 점토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 이양희, 정병수, 박수린, 황새라, 김상원, 조수연.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33. 

  21. 이차숙, 노명환. (2000). 유아언어 교육론. 서울: 동문사. 

  22. 정옥분. (2008). 아동학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3. 정은희. (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교육학연구, 37(1), 389-406. 

  24. 정현영. (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 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조수진, 윤희원, 진대연. (2008).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학습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 이중언어학, 37, 235-264. 

  26.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 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7. 조용환. (2006).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8. 채혜경. (2008). 결혼이민자가정 유아의 문해능력과 가정문해환경.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최나야, 이순형. (2007). 음운론적 인식과 처리능력이 4-6세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4), 73-95. 

  3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실태와 교사.학생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31. 행정안전부. (2009). 다문화가정 관련 통계자료. 

  32. Bogdan, R., & Biklen, S.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Boston: Allyn & Bacon. 

  33.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1999).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pp. 89-111). New York: Guilford Press. 

  34. Cunningham, A. E., & Stanovich, K. E. (1997). Early reading acquisition and its relation to reading experience and ability 10 years later.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34-945. 

  35. Hoff, E., & Naigles, L. (2002). How children use input acquiring a lexicon. Child Development, 73(2), 418-433. 

  36. Ladd, G. W., & Mize, J. (1983). A cognitive-social learning model of social-skill training. Psychological Review, 90(2), 127-157. 

  37. National Adult Literacy Database (2009). Canada's Literacy and Essential Skills Network, Retrieved 2009. 7. 20, from http://www.nald.ca. 

  38.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4). Multiple pathways to early academic achieve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74(1), 1-29. 

  39. Ramey, C. T., & Ramey, S. L. (2004). Early learning and school readiness: Can early intervention make a difference? Merrill-Palmer Quarterly, 50(4), 471-491. 

  40. Weizman, Z. O., & Snow, C. E. (2001). Lexical input as related to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 of sophisticated exposure and support for mea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7(2), 265-2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