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식호흡이 조기진통임부의 상태불안, 스트레스, 진통억제제 투여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State Anxiety, Stress, and Tocolytic Dosage for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3, 2010년, pp.442 - 452  

유우정 (단국대학교병원) ,  송주은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state anxiety, stress and tocolytic dosage for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0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who were hospitalized from April to July, 2009. Thirty particip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식호흡의 효과를 밝힘에 있어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복식호흡의 처치방법과 처치횟수를 통제하여 복식호흡을 수량화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복식호흡의 효과를 대상자의 불안과 스트레스 등의 주관적 측정뿐 아니라 진통조절의 객관적인 지표로서 설명될 수 있는 진통억제제 투여량의 측면에서 검증함으로써, 복식호흡이 조기진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근거로 임상에서 복식호흡을 조기진통임부의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식호흡의 효과를 밝힘에 있어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복식호흡의 처치방법과 처치횟수를 통제하여 복식호흡을 수량화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복식호흡의 효과를 대상자의 불안과 스트레스 등의 주관적 측정뿐 아니라 진통조절의 객관적인 지표로서 설명될 수 있는 진통억제제 투여량의 측면에서 검증함으로써, 복식호흡이 조기진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근거로 임상에서 복식호흡을 조기진통임부의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진통임부에서 복식호흡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점수가 낮을 것이다.
  • 1) 제1가설: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후상태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
  • 2)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조기진통 스트레스점수가 낮을 것이다.
  • 2) 제2가설: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후 조기진통 스트레스점수가 낮을 것이다.
  • 3)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진통억제제 투여량이 적을 것이다.
  • 3) 제3-1가설: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리토드린 투여량이 적을 것이다.
  • 3-1)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리토드린 투여량이 적을 것이다.
  • 3-2)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아토시반 투여량이 적을 것이다.
  • 4) 제3-2가설: “복식호흡을 시행한 실험군은 복식호흡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아토시반 투여량이 적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산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05). 조산의 원인은 자연적인 조기진통, 임부나 태아의 내과적 적응증, 출혈, 유전적 요인, 감염 등이 있고, 그 중 조기진통이 50%이상을 차지하며, 조기진통으로 인한 조산은 신생아 사망률의 50-70%를 차지하므로(Cunningham, Leveno, Bloom, & Hauth, 2009), 조기진통은 관리해야 될 중요한 건강문제가 된다.
프로스타글란딘이 방출되었을 때 효과는? 우선 임부는 입원으로 인한 가족과의 이별, 가족 상황의 변화, 역할 변화로 인한 자존감의 저하, 건강에 대한 관심, 자기 신체상의 변화로 인한 심각한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경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기진통으로 인한 상황적 위기에 대한 불안은 태아의 혈액 순환에도 영향을 미쳐 임부와 태아 모두는 유해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Lee & Yu, 1996). 심리적 반응과 연관된 생리적 기전으로는 조기진통의 스트레스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촉진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을 자극하여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 Tropin Hormone, ACTH)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이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을 방출시키는데, 이는 자궁경부를 숙성시키며 평활근의 세포질 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자궁수축을 증가시키는데 기여를 한다(Cunningham et al., 2009).
임부가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적 반응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조기진통과 관련하여 임부는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경험하게 된다. 우선 임부는 입원으로 인한 가족과의 이별, 가족 상황의 변화, 역할 변화로 인한 자존감의 저하, 건강에 대한 관심, 자기 신체상의 변화로 인한 심각한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경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기진통으로 인한 상황적 위기에 대한 불안은 태아의 혈액 순환에도 영향을 미쳐 임부와 태아 모두는 유해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Lee & Yu, 1996). 심리적 반응과 연관된 생리적 기전으로는 조기진통의 스트레스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촉진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을 자극하여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 Tropin Hormone, ACTH)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이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을 방출시키는데, 이는 자궁경부를 숙성시키며 평활근의 세포질 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자궁수축을 증가시키는데 기여를 한다(Cunningh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 J. D. (2004). The effect of Taekwondo players' stress decrease on abdominal breathing and medit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8, 172-187. 

  2. An, S. E. (2008).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anxiety and labor time in primipara women.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4, 196-204. 

  3. Bastani, F., Hidarnia, A., Kazemnejad, A., Vafaei, M., & Kashanian, M. (2005).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applied relaxation training on reducing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Midwifery and Women's Health, 50, 36-40. 

  4. Chang, S. B., Kim, H. S., Ko, Y. H., Bae, C. H., & An, S. E. (2009).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anxiety, blood pressure, peripheral skin temperature and saturation oxygen of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5, 32-43. 

  5. Chang, S. B., Park, H. J., Bae, C. H., & Shim, J. O. (2007). Th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preterm labor anxiety and frequency of uterine contrac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31-41. 

  6. Cunningham, F. G., Leveno, K. J., Bloom, S., & Hauth, J. C. (2009). Williams obstetrics (2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7. Debra, P. J. (1996). The nursing management of women experiencing preterm labor: Clinical guidelines and why they are neede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Neonatal Nursing, 26, 569-573. 

  8. Jacobson, E. (1974). Progressive relaxation: A physiological and clinical investigation of muscular states and their significance in psychology and medical practice (2nd ed.).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Jang, M. S., Ha, Y. S., Jeong, J. S., & Yu, B. H. (2004). The effect of biofeedback-assisted relaxation on the clinical symptoms and stress responses in patients with chronic headach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3, 697-705. 

  10. Janke, J. (1999). The effect of relaxation therapy on preterm labor outcom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8, 255-263. 

  11. Joyce, A. M., Brady, E. H., Paul, D. S., Stephanie, J. V., Fay, M., Martha L. M., et al. (2005). Final data for 2003,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Hyattsville: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12. Kim, H. K. (2003). Stress and copying style of women with preterm lab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 1220-1223. 

  14. Kim, K. S., Lee, S. W., Choe, M. A., Yi, M. S., Choi, S., & Kwon, S. H. (2005).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training using bio-feedback on stress, immune respons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295-1303. 

  15. Kim, M. A., Kho, H. J., Park, K. M., Kwon, Y. S., Kim, C. N., Park, Y. S., et al. (2001). Psycho-neuro-immunological effects of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low back pain. Journal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5, 29-42. 

  16. Kim, M. O. (2008). The effect of a mind-body therapeutic program for infertile women repeating IVF treatment on uncertainty, anxiety, and implantation r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07). Live births by period of pregnancy: Provinces. Retrieved January 19, 2009, from http://www.kosis.kr 

  18. Lee, P. S., & Yu, E. G. (1996). A study on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tus, and nursing needs of the pregnant women hospitalized by premature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2, 76-91. 

  19. Mason, L. J. (1985). Guide to stress reduction. Berkeley: Celestial Arts. 

  20. Moon, D. H. (2006). The comparative study with fatigue, anxiety and stress between full-term and preterm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21. Moon, H., & Park, O. I. (2006). The effect of the Yoga exercise in expectant mother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 96-99. 

  22. Park, S. H., Lee, P. S., & Han, K. S. (2004). Effect of relaxation therapy on anxiety through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 317-323. 

  23. Satyapriya, M., Nagendra, H. R., Nagarathna, R., & Padmalatha, V. (2009). Effect of integrated Yoga on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pregnant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104, 218-222. 

  24. Shim, J. O., & Chang, S. B. (2005). Th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preterm labor anxi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2, 106-114. 

  25. Shin, I. H., Park, J. W., Kim, H. K., Kim, T. Y., Kang, E. G., Lee, I. H., et al. (2008). Solution medical statistics. Seoul: Kunja. 

  26.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NY: Academic Press. 

  27. Teixeira, J., Martin. D., Prendiville, O., & Glover, V. (2005). The effects of acute relaxation on indices of anxiety during pregnancy.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26, 271-276. 

  28. Yang, M. S. (2007). Experience in daily life related to the preterm labor of mother.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laitative Research, 6, 65-69. 

  29. Yen, S. C., & Jaffe, R. B. (1991). Reproductive endocrinology (2nd ed.). West Washington Square, PA: W. B Saunder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